사동궁(寺洞宮)은 현재 서울특별시 종로구 관훈동 196번지 일대에 있었던 대한제국 고종의 둘째 황자이자 황족 독립운동가 의친왕 이강의 궁궐이자 의왕부(義王府)이다.

사동궁 양관
사동궁 양관
사동궁 이화문

역사

편집

사동궁은 의친왕 이강의 사저로 관훈동 196번지 일대에 있던 궁으로 양옥 1동과 한옥 수십동으로 구성된 대저택이었다. 1906년 사동궁에 의왕부(義王府)가 설치되었다.[1]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체결 후에 이강이 일본 제국 정부가 대한제국 황실의 황족에 대해 규정한 신분인 공족으로 분류되어 의친왕에서 이강 공으로 격하되면서 사동궁은 일제강점기 '이강공저'(公邸)로 불리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의친왕 이강을 1919년 상하이 임시정부로 망명하려다 실패하였던 대동단 사건과 그 후로도 지속적인 다양한 의병양성과 항일운동의 영향으로 1930년에 '공'작위를 박탈하여 평민으로 격하시켜 일본으로 압송하게 되고, 장남 이건이 뒤를 이어 공가를 세습하게 되면서 ‘이건공저’로 불리었다. 그러나 정작 이건은 일본에 살고 있었으므로 실제로 사동궁에 산 적은 없다.

의친왕은 한국기원의 모태인 한성기원이 자리를 잡지 못할 때 자신의 사위 이학진(李鶴鎭)의 주선으로 사동궁의 한옥 15칸을 기원으로 제공하였고, 사동궁에 자리를 잡으며 조선기원으로 명칭을 바꾸었다.[2][3]

1917년 《경성부관내지적목록》에 따르면 사동궁은 대지가 총 7880m2에 달하였지만 점차 축소되어가다 1947년에 민간에 불하되었다.[4][5] 해방 후 이승만 정권의 황실 견제로 <구황실자산국유화법>을 제정하여 황실 자산 대부분을 국유화하여 민간에 불하 하였고, 사동궁 건물들은 1955년 민간에 매각되어 ‘도원’이라는 요정으로 사용되었다. 2005년 종로구청이 토지와 건물을 매입하여 구 사동궁 건물을 철거하고 공영주차장을 조성하였다. 서울시는 보존 상태가 양호한 건물 1동을 보수하여 현재 인사동 관광홍보관으로 사용 중에 있으며, 그 이외 건물은 공영주차장 조성을 위해 철거되었다.[6]

사동궁의 역대 수장

편집

사동궁 궁주

편집
  • 제1대 : 의친왕 이강(義親王 李堈, 1877년 ~ 1955년)
  • 제2대 : 이건(李鍵, 1909년 ~ 1990년)
  • 제3대 : 이곤(李錕, 1920년 ~ 1984년)
  • 제4대 : 이준(李準, 1961년 ~ )

각주

편집
  1. 고종실록 (1906년 7월 22일). “민철훈을 의왕부 총판에 임명하다”. 국사편찬위원회. 2013년 10월 12일에 확인함. 
  2. 한송희 (2009년 11월 16일). “<부음> 한국 바둑계의 큰 별 이학진 옹 타계”. 엑스포츠뉴스. 2013년 10월 12일에 확인함. 
  3. 이청 (2013년 2월 20일). “(사동궁 기원) 근대와 현대 그리고 바둑 - 2”. 2013년 10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12일에 확인함. 
  4. 박주연 (2011년 9월 20일). “<국감초점> "의친왕궁은 주차장, 日장교관사는 문화재?". 뉴시스. 2013년 10월 12일에 확인함. 
  5. 권세진 (2013년 2월). “<추적> 대한제국 皇室 재산 소송, 전국 곳곳에 숨어 있는 황실재산, 주인은 누구?”. 월간조선. 2013년 10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12일에 확인함. 
  6. 문화재청 (2011년 11월 3일). “2011년도 국정감사 서면질의 답변서”. 2019년 9월 2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

틀:대한제국의 궁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