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비니인

고대 이탈리아족

사비니인(라틴어: Sabini; 고대 그리스어: Σαβῖνοι 사비노이[*], 이탈리아어: Sabini)은 고대 이탈리아아펜니노산맥 중부 지역에 살았던 이탈리아족이며, 로마 건국 이전에는 안니오강 북쪽 라티움에도 거주했었다.

사비니어
퀴리날레 언덕에 있던 세모 산쿠스 성소의 세모 산쿠스 조각상
퀴리날레 언덕에 있던 세모 산쿠스 성소의 세모 산쿠스 조각상
사용 지역 중부 사비니움
사멸 주로 기원전 1세기의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를 통해서 어휘의 흔적들만 남음
문자 라틴 문자화된 것을 제외하곤 쓰여진 것 없음
언어 계통 인도유럽어족
 이탈리아어파
  오스크움브리아어군
   사비니어
언어 부호
ISO 639-3 sbv 사비니인
링귀스트 리스트 sbv
글로톨로그 sabi1245[1]
사비니인의 위치 나타내는 지도. 남쪽으로는 라티움을 접하고 있는 경계는 아니에네강이지만, 사비니인들의 영역은 가비족 근처의 레길루스 호수 남쪽까지 약간 뻗어 있었을 수도 있다.
사비니인의 위치 나타내는 지도. 남쪽으로는 라티움을 접하고 있는 경계는 아니에네강이지만, 사비니인들의 영역은 가비족 근처의 레길루스 호수 남쪽까지 약간 뻗어 있었을 수도 있다.

사비니인들은 로마의 전설에서 전해진 바에 의하면 로마 건국 이후에 두 집단으로 나뉘었다. 그럼에도 사비니인들의 이 분열 자체는 전설은 아니었다. 로마 근처에 있던 집단은 새롭게 건설된 로마라는 도시로 이주했고 기존에 있던 로마 시민들과 융합하여, 사비니인에서 기원했으나 또한 라틴화가 이뤄진, 새로운 유산을 발생시켰다. 다른 집단은 산악 부족 국가로 남았고, 자주권을 두고 다른 모든 이탈리아족계 부족들과 같이 로마와 결국에 전쟁으로 이어졌다. 전쟁에서 진 후로는 로마 공화국으로 흡수되었다.

언어

편집

사비니인들의 언어에 대한 기록은 거의 존재하지 않으나, 고대 주해자들이 남긴 일부 주해들이 존재하며, 하나 혹은 두 개의 비문들이 잠정적으로 사비니어로 쓰였다고 여겨진다. 또한 사비니인들의 지역에서 나온 라틴어로 된 비문들에 사용된 사비니식 인명들이 존재하긴 하지만 라틴어 형태로 나타나 있다. 로버트 시무어 컨웨이는 그의 저서 Italic Dialects에서, 사비니어로 분명히 증명된 것에서부터 사비니어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까지 다양한 약 100개의 단어들을 제시했다. 이 외에도, 그는 사비니어에서 전래한 지명을 제시했고, 때로는 사비니어 형태로 복원하려는 시도도 하였다.[2] 모든 증거들을 근거로 하여, 링귀스트 리스트는 사비니어를 인도유럽어족의 갈래인 이탈리아어파움브리아어 계열로 잠정적으로 분류하였다.

역사지리학

편집

라틴어 화자들은 오늘날 움브리아주, 라치오주, 아브루초주에 걸쳐 있었던 사비니인들의 본거지를 사비눔 (Sabinum)이라 불렀다. 오늘날에 있어, 사비나라는 이탈리아어 형태에 이 옛 이탈리아족의 이름이 남아있다. 오늘날 라치오주 (또는 라티움)내에 속하는 사비나는 리에티 일대인 로마의 북동쪽에 위치한 하위 지역을 구성한다.

기원

편집
 
사비니족이 세운 고대 도시 아미테르눔(Amiternum)

문헌적 증거

편집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소스에 의하면, 많은 로마 역사가들 (포리쿠스 카토, 가이우스 셈프로니우스를 포함)은 토착 로마인들의 기원이 그리스인이라 생각했다고 전했지만, 이러한 그들의 지식은 그리스의 전설상의 기록들에서 전래한 것이었다.[3]

디오니시오스는 아보리기네스족의 모도시를 리스타 (Lista)라고 생각했다.[4] 고대 역사가들은 사비니인들의 정확한 기원에 대해서 논쟁했었다. 트로에젠의 제노도토스는 사비니인들이 본래는 펠라스기인들에게 리에티 지역에서 밀려난 뒤에 이름을 바꾼 움브리아인들이라 주장하였다. 하지만, 포르키우스 카토는 사비니인들이 산쿠스 [Sancus, 이따금식 유피테르 피디우스 (Jupiter Fidius)라고 불리던 이 지역의 신]의 아들인 사부스 (Sabus)의 이름에서 붙여진 집단이라 주장하였다.[5] 디오니소스의 저서에 언급된 다른 기록들에선, 라케다이몬인 집단이 리쿠르고스의 규칙들이 너무나 강압적이라 여겨 스파르타를 떠났다고 전한다. 이탈리아에서, 이들은 포로니아 (Foronia, 포멘티네 평야 인근)라는 스파르타 식민지를 세웠고 포로니아의 일부가 사비니인들로 정착했다고 한다. 이 기록에 따르면, 투쟁적 (적극적이구나 호전적인 성향)이고 검소한 (낭비하지 않으려는 신중성) 사비니인들의 습성들은 스파르타인들한테서 전래된 것으로 알려져있다.[6] 플루타르코스 역시도 누마 폼필리우스의 생애에서, "사비니인들, 라케다이몬의 식민지라 자처하는 자들"라고 언급한다. 플루타르코스는 올림픽 풋 레이스 우승자였던 스파르타의 피타고라스가 누마가 로마 정부를 조성하는 것을 돕고 많은 스파르타 관습들이 누마와 로마인들에게 도입되도록 했다고 가록했다.[7]

로마에서

편집

사비니 여인들에 관한 전설

편집
 
로마의 팽창 시작 시점의 중부 이탈리아의 언어 지도

전설에 의하면 로마인들은 새롭게 세워진 로마의 인구 부양을 위해 사비니 여성들을 납치했다고 한다. 이 결과로 인한 전쟁은 사비니 여성들이 자신들의 몸과 아이들을 자신들의 아버지의 군대와 남편들의 군대 사이에 내던지고나서야 끝이 났다. 사비니 여성의 납치는 예술에서 흔한 소재가 되었으며, 전쟁을 끝내는 여성들은 그렇게 잦지는 않지만 여전히 다시 등장하는 소재이다.

리비우스에 따르면, 분쟁이 끝나고, 사비니인들과 로마인들의 나라가 합쳐졌고, 사비니족의 왕 티투스 타티우스는 그가 5년 뒤에 사망할 때까지 로물루스와 공동으로 로마를 다스렸다고 한다. 사비니족의 왕 타티우스의 이름을 딴 이들을 포함하여, 새로운 삼백명에퀴테스들이 로마에 받아들여졌다고 한다.

이 이야기의 변형 형태가 위서 세페르 하야샤르에 기록되기도 하였다 (참조 Jasher 17:1–15).

전승

편집

전승에서는 초기 로마 왕정 시대의 인구가 사비니인들과 다른 민족들의 결합의 결과라고 제시한다. 코그노멘 혹은 아그노멘으로서 사비누스 (Sabinus)를 가졌던 클라우디아 씨족처럼, 로마 공화정 시기의 씨족 일부는 자신들의 사비니 혈통을 자랑스러워 했다. 특히나 세모 산쿠스, 퀴리누스 등 일부 사비니의 신들과 종교들이 로마에 알려지게 되었고, 최소한 로마의 한 지역, 사비니족의 신들이 배치된 신전이 있는 퀴리날레는 한때 사비니족의 중심지였다. 꿈을 통한 조점술, 점복미네르바마르스에 대한 숭배가 사비니인들한테 비롯했다는 바로키케로의 터무니없는 주장들은 이런 행동들이 로마와 사비니의 두 번째 왕인 누마 폼필리우스가 신봉하던 것들이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이탈리아족과 라틴족의 관습일뿐만 아니라 에트루리아의 관습이기 때문에, 논쟁의 여지가 있다.[8]

종교

편집

국가

편집

고대 로마의 팽창 기간에, 사비니인들과 일련의 분쟁들이 있었다. 마니우스 쿠리우스 덴타투스는 기원전 290년에 사비니인들을 정복했다. 선거권을 제외한 시민권이 같은 해에 사비니인들에게 주어졌다.[9] 선거권은 기원전 268년에 사비니인들에게 주어졌다.[10]

저명한 사비니인

편집

사비니 기원 씨족

편집

사비니 혈통 로마인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참고 자료

편집

고대

편집

현대

편집

각주

편집
  1.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Sabine〉.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 컨웨이, 로버트 시무어 (1897). 《The Italic Dialects Edited with a Grammar and Glossa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1–369쪽. 
  3.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소스. 〈Book 1.11〉. 《Roman Antiquities》. 로마 역사가들 중에 가장 학식있던 자들 중에 이탈리아 도시들에 대한 "기원"에 대단한 공을 들여 책을 편찬하였던 포르키우스 카토 (Porcius Cato), 가이우스 셈프로니우스 (Gaius Sempronius)와 다른 많은 역사가들은 그들이 [아보리기네스족]이 아카이아에 살았던 그리스인들이며, 트로이 전쟁 이전에 많은 세대들을 이주시켰다고 말하였다. 그렇지만 이들은 로마 원주민들이 속한 그리스 부족이나 도시의 이름이나, 이주 시기 혹은 식민지 지도자, 무엇이 고향땅을 두고 떠나게 했는지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로마 역사가들이 그리스 전설을 다루기는 했지만, 이들은 자신들의 권위를 위한 어떠한 그리스 역사가들을 인용하지 않았다. 따라서 사건의 진상이 무엇인지는 확실치 않다. 
  4.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소스. 〈Book I.14〉. 《Roman Antiquities》. 앞서 언급했던 도시에서 24 스타디온 거리에 아보리기네스족의 모도시 리스타가 서 있었는데, 이곳은 일찍이 사비니인들이 아미테르눔에서 시작한 야간 기습 공격으로 점령했다. 
  5.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소스. 〈Book II.49〉. 《Roman Antiquities》. 그러나 역사가인 트로에젠의 제노도토스는 토착 민족인 움브리아인들이 속칭 리에티 지역에 최초로 거주했었고, 펠레스기인들에게 그곳에서 밀려난, 이들은 그들이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지역으로 오게 되었으며 그들의 거주지와 함께 자신들의 이름을 바꾼 움브리아인들은 사비니인들이라 불렸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포르키우스 카토는 사비니 민족들은 그 지역의 신 산쿠스의 아들 사부스에게 이름을 수여받았고, 이 산쿠스는 일부에선 유피테르 피디우스라고 불렸다고 하였다. 
  6.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소스. 〈Book II.49〉. 《Roman Antiquities》. 사비니인들의 기원 역사에 대하여 전한 또다른 기록들 역시도 존재하는데, 조카인 에우노모스의 후견인이었던 리쿠르고스가 스파르타에 그의 법률들을 적용하자, 라케다이몬인의 식민지 사람들이 사비니인으로 정착했다는 것이었다. 이 이야기는 리쿠르고스의 법률의 가혹함을 싫어했고 나머지 스파르타인들과 떨어져 나갔던, 일부 스파르타인들에서 시작되었는데, 이들은 도시를 완전히 떠나, 방대한 바닷길을 참아낸 후, 오랜 기간 육지에 대한 그리움에 시달리자, 자신들이 도달하게 될 최초의 땅에 정착하겠노라고 신들에게 맹세를 했다. 마침내 그들은 포멘티네 평야 인근에 자리 잡은 이탈리아 지역에 도달했고 그들이 처음으로 상륙한 곳을 자신들이 바다를 거쳐서 온 것을 기념하여 포로니아라고 불렀으며, 그들이 맹세했던 여신 포로니아를 위한 신전을 지었다. 이 여신은, 글자 하나가 바뀌어, 지금은 페로니아라고 부른다. 그리고 그 시기부터 시작하여, 그들 중 일부가 사비니인들 사이에 정착하였다. 그들이 말하길, 사비니인들의 많은 습성들, 특히 전쟁에 대한 이들의 선호 및 삶의 모든 행동들에 있어 검소함과 간소함들이 스파르타적인 것이 바로 이 이유라고 말한다. 이것으로 사비니 민족에 대해 마친다. 
  7. 플루타르코스. 〈1〉. 《Numa》. 제16회 올림피아 대회 (누마가 재위 3년째이던 시절)의 풋 레이스 우승자이자 이탈리아에서 방황하던 스파르타인 피타고라스, 그는 누마에 대해 알게 되었고, 그가 로마 도시 정부를 조성하는 것을 도왔으며, 피타고라스가 스파르타의 관습을 누마에게 가르치면서 그때부터 많은 스파르타의 관습들이 로마인들의 관습과 혼합되었다. 여하튼간에, 누마는 사비니인의 후손이었고, 사비니인들은 자신들이 라케다이몬의 개척자들이었다며 주장했을 것이다. 그러나 기록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데, 특히 올림픽 경기의 우승자들의 이름들을 근거로 할 때, 그 목록이 완전히 믿을만한 근거를 갖추지 못했던 엘리스의 히피아스가 후대에 이르러서야 출판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는 적절한 시점에서 누마의 이야기를 시작할 것이고, 누마의 생애에 대하여 내가 발견한 흥미로운 사실들에 관해 이야기할 것이다. 
  8. Bunbury, Edward Herbert (1857). 〈Sabini〉. Smith, William.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Volume II Iabadius—Zymethus. Boston: Little, Brown and Company. 
  9. 벨레이우스 파테르쿨루스 1.14.6
  10. 벨레이우스 파테르쿨루스 1.14.7

추가 서적 자료

편집
  • Brown, Robert. "Livy's Sabine Women and the Ideal of Concordia."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Philological Association 125 (1995): 291-319. doi 10.2307/284357.
  • MacLachlan, Bonnie. Women In Ancient Rome: A Sourcebook. London: Bloomsbury Academic,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