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배우는사람/문서:아비담심론/제3권

틀:제목



틀:-L


틀:P3
틀:P3
틀:P3║阿毘曇心論卷第三
틀:P3
틀:P3║    尊者法勝造
틀:P3║    晉太元元年僧伽提婆
틀:P3║    共惠遠於廬山譯
틀:P3║  智品第六
틀:P3║ 智慧性能了  明觀一切有
틀:P3║ 有無有涅槃  是相今當說
틀:P3║謂智賢聖品已略說有無。有境界今當說。
틀:P3║ 三智佛所說  最上第一意
틀:P3║ 法智未知智  及世俗等智
틀:P3║此三智攝一切智。於中法智名謂境界。於欲
틀:P3║界苦習滅道無漏智境界。是初受法相故曰
틀:P3║法智。從法智根現見已。非根現亦見未知智。
틀:P3║未知智名謂境界。色無色界苦習滅道無漏
틀:P3║智境界。是後受法相故曰未知智。等智名謂
틀:P3║有漏智。是多取等諦智男女長短為首。
틀:P3║ 苦習息止道  二智如可得
틀:P3║ 此名與四智  解脫師所說
틀:P3║此二智法智未知智。若行於諦如是相似名所
틀:P3║說。苦諦境界說苦智。習諦境界說習智。滅諦
틀:P3║境界說滅智。道諦境界說道智。解脫師所說。
틀:P3║ 若智觀他心  是從三中說
틀:P3║ 盡無生智二  境界在四門
틀:P3║若智觀他心是從三中說者。他心智謂有漏
틀:P3║境界。是等智境界。欲界道是法智境界。色界
틀:P3║道是未知智。盡無生智二者。無學二智盡智
틀:P3║無生智。於中所作已竟受無學智是盡智。不
틀:P3║復更作受無學智。是無生智是亦法智未知
틀:P3║智。問盡智無生智何諦境界。答境界在四門。
틀:P3║此二智四諦境界苦習滅道。已說十智。行今
틀:P3║當說。
틀:P3║ 二智十六行  法智未知智
틀:P3║ 如是行或非  是說為等智
틀:P3║二智十六行法智未知智者。法智性是十六
틀:P3║行四行受。苦四行習四行滅四行道未知智。
틀:P3║色無色界亦爾。如是行或非是說為等智者。
틀:P3║煖頂忍第一法中攝等智行。無漏行二諦所
틀:P3║攝。十六行第一法攝四行聞思。及餘思惟等
틀:P3║智十六行。離此餘等智非十六行。謂施戒慈
틀:P3║如是比。
틀:P3║ 四智有四行  決定行所說
틀:P3║ 正觀他心智  此或是或非
틀:P3║四智有四行決定行所說者。苦智四行如上
틀:P3║說。習滅道智亦如是。正觀他心智此或是或
틀:P3║非者。無漏他心智四行如道智有漏非。
틀:P3║ 盡智無生智  離空無我行
틀:P3║ 說有十四行  受相為最勝
틀:P3║盡智無生智離空無我行說有十四行者。盡
틀:P3║智無生智十四行除空無我行。所以者何。彼
틀:P3║行等諦我已作不復更作。空無我者不以此
틀:P3║行。受相為最勝者。非一切無漏智在十六行。
틀:P3║十六行者是總行。更有無漏智受十六相。如
틀:P3║身意止是自相智。不在十六行前受十六行。
틀:P3║此自相行於諸無漏智前受故勝。已說十六
틀:P3║行。如此智所得今當說。
틀:P3║ 第一無漏心  或有成就一
틀:P3║ 二或成就三  於上增益一
틀:P3║第一無漏心或有成就一者。第一無漏心苦
틀:P3║法忍相應。未離欲成就一等智。已離欲成就
틀:P3║他心智。二或成就三者。第二無漏心苦法智
틀:P3║相應。未離欲成就三法智苦智等智。已離欲
틀:P3║成就他心智。於上增益一者。於上四時增
틀:P3║說一。四時得苦未知智。得未知智習法智。得
틀:P3║習智滅法智。得滅智道法智。得道智。忍中不
틀:P3║得智。問此智何地所攝。答。
틀:P3║ 九智聖所說  依倚於上地
틀:P3║ 禪中有十智  無色地中八
틀:P3║九智聖所說依倚於上地者。未來禪中間禪。
틀:P3║無他心智根本禪攝故。禪中有十智者。根本
틀:P3║四禪中有十智無色地中八者。無色中有八
틀:P3║智除法智他心智。法智者境界。於欲界不以
틀:P3║無色境界。於欲界他心智行。乘色無色中
틀:P3║無色。已說地。修今當說。修有二種得修行修。
틀:P3║得修者。謂功德未曾得而得。得已諸餘功德
틀:P3║彼所倚。亦得得已後時不求而生。行修者。謂
틀:P3║曾得功德今現在前行。問此諸智云何修。答。
틀:P3║ 若以得為修  智者諸聖見
틀:P3║ 彼即當來修  諸忍亦如是
틀:P3║若已得為修智者諸聖見彼即當來修者。見
틀:P3║諦道中謂智現在前修。即彼當來修法智乃
틀:P3║至道智。諸忍亦如是者。忍亦如是苦法忍現
틀:P3║在前修。即苦法忍當來修。非智非餘忍如是
틀:P3║一切。
틀:P3║ 是於三心中  得修於等智
틀:P3║ 或修七或六  最後心所說
틀:P3║是於三心中得修於等智者。即見諦道中。三
틀:P3║心須當來修等智。苦未知智。習未知智。滅
틀:P3║未知智。行此三諦時得修等智。所以者何。此
틀:P3║三諦習已觀非道諦。謂地見道即彼地等智
틀:P3║及欲界。或修七或六最後心所說者。道未知
틀:P3║智離欲修七智。謂阿那含果所攝。未離欲修
틀:P3║六智除他心智。彼中非想非非想道得沙門
틀:P3║果。是以不修等智。
틀:P3║ 十七無漏心  於上思惟道
틀:P3║ 當知修於七  六修增益根
틀:P3║十七無漏心於上思惟道當知修於七者。須
틀:P3║陀洹果上思惟道。十七心須修七智。此道
틀:P3║未來禪所攝是以無他心智。盡智無生智是
틀:P3║無學。以故無餘七智必修。所以者何。彼意
틀:P3║此功德常不空。若不修者曾得已捨復未更
틀:P3║得。於其中間應空而不空是以必修。六種增
틀:P3║益根者。增益根名謂信解脫。增益諸根逮得
틀:P3║見到。彼有九無礙道九解脫道。是一切無礙
틀:P3║道一切解脫道修六智。此說未離欲是以無
틀:P3║他心智。爾時學道不學斷煩惱。彼未曾得修
틀:P3║功德非已曾得。是以不修等智。
틀:P3║ 得不還果時  遠離於七地
틀:P3║ 思學諸通道  解脫修習八
틀:P3║得不還果時者。若得不還果修八智彼中要
틀:P3║得根本禪是以修他心智餘智如前。遠離於
틀:P3║七地者。四禪三無色離欲時。一切九解脫道
틀:P3║修八智。於中一切修下地禪。思學諸通道解
틀:P3║脫修習八者。三通如意足天眼天耳。一切九
틀:P3║解脫道修八智。所以者何。攝根本禪故。
틀:P3║ 此無礙道中  及滅第一有
틀:P3║ 彼八解脫道  說者修習七
틀:P3║七地離欲時一切無礙道中。修七智除他心
틀:P3║智。所以者何。此無礙道修滅結。智他心智
틀:P3║非滅結。以故不修非想非非想處第一有。彼
틀:P3║離欲時八解脫道中修七智除等智。所以者
틀:P3║何。等智於非想非非想處轉。還以非離故。
틀:P3║ 離於第一有  六修無礙道
틀:P3║ 乘上應當知  修習於下地
틀:P3║離於第一有六修無礙道者。第一離欲時九
틀:P3║無礙道中。修六智除他心智及等智。乘上應
틀:P3║當知修習於下地者。此修一切地當知修自地
틀:P3║諸智。及下地所攝。謂依初禪離欲彼修二地
틀:P3║功德。自地所攝及未來禪。如是至無所有處。
틀:P3║ 漏無漏一切  諸地修功德
틀:P3║ 初無學心中  此未知智意
틀:P3║漏無漏一切諸地修功德初無學心中者。得
틀:P3║無著果時九地及自地。亦一切諸地於中修。
틀:P3║所以者何。非想非非想處地煩惱相違。一切
틀:P3║地有煩惱意不明淨。無煩惱意明淨。是以離
틀:P3║彼修一切。問此無學初心何智相應。答此未
틀:P3║知智意。是初無學心未知智相應。彼作是念
틀:P3║我生已滅。是非想非非想處生緣。所以者
틀:P3║何。最後盡故是以苦未知智相應。問又世尊
틀:P3║言見智慧此三為一種為種種。答此是慧之
틀:P3║差別慧性所有。但以事故世尊或說見或說
틀:P3║智。問此義云何。答。
틀:P3║ 謂決定能知  諸忍非智性
틀:P3║ 盡智則非見  無生智亦然
틀:P3║謂決定能知諸忍非智性者。修行八忍能求
틀:P3║故見能視故慧。但非智不決定故。所以者何。
틀:P3║用始緣故。盡智則非見無生智亦然者。盡智
틀:P3║無生智視故慧決定故智。但非見不求故無
틀:P3║所為故。餘無漏慧種三性所有見智及慧。
틀:P3║ 善俗有漏智  在意及諸見
틀:P3║ 當知此則見  說一切是慧
틀:P3║善俗有漏智在意及諸見當知此則見者。意
틀:P3║識地中善有漏慧。三性見智及慧。五見煩惱
틀:P3║性此見所有觀察故。亦不離智及慧。餘有漏
틀:P3║慧種非見性所有。所以者何。無記意識相應
틀:P3║慧種。非見性所有不觀察故。穢污慧種亦非
틀:P3║見性。所有煩惱所壞故。五識相應慧種亦非
틀:P3║見性。所有不觀察故亦不離智性。說一切是
틀:P3║慧者。謂前所說離如忍中。離智盡智無生智
틀:P3║離見。除善意識地及五見已餘有漏慧離見
틀:P3║慧不如是。所以者何。一切智種一切見種即
틀:P3║是慧種故。問一一智幾智緣。答。
틀:P3║ 法智未知智  曉了於九智
틀:P3║ 因智及果智  是二智境界
틀:P3║法智未知智曉了於九智者。法智觀九智緣九
틀:P3║智除未知智。所以者何。未知智者非欲界果
틀:P3║非欲界因非欲界滅非欲界道。未知智亦如
틀:P3║是九智緣除法智。因智及果智是二智境界
틀:P3║者。習智是因智。彼有漏他心智及等智緣同
틀:P3║習故。餘非緣無漏故。苦智亦如是此即果智。
틀:P3║ 道智是九智  解脫智無緣
틀:P3║ 餘一切境界  決定智所說
틀:P3║道智是九智者道智境界九智不緣等智有漏
틀:P3║故。餘盡緣同道諦故。解脫智無緣者。解脫智
틀:P3║是滅智。非緣智緣無為故。餘一切境界決
틀:P3║定智所說者餘有四智緣一切十智。等智緣
틀:P3║十智境界一切法故。他心智亦緣十智。具他
틀:P3║心境界故。盡智無生智亦緣十智。一切有為
틀:P3║境界故。問又世尊言。未知智如離非想非非
틀:P3║想處得無著果。未知智是彼道。非以此可知
틀:P3║未知智。是彼道非餘耶。答亦有法智是色無
틀:P3║色界道。問何者。答。
틀:P3║ 若息止及道  法智之所行
틀:P3║ 是滅於三界  非欲未知智
틀:P3║若息止及道法智之所行是滅於三界者。謂
틀:P3║滅法智及道法智。在思惟道是滅於三界結。
틀:P3║或有法智離色無色界欲。謂此重見惡是於
틀:P3║欲界思惟滅及道。離色無色界欲非苦智非
틀:P3║習智。所以者何。不同苦習同於滅道故。問頗
틀:P3║有未知智滅欲界不。答非欲未知智。無有未
틀:P3║知智能滅於欲界。所以者何。無彼重見惡而
틀:P3║悲此。問神通智性所有彼。亦應當說一一幾
틀:P3║智。答。
틀:P3║ 如意足等智  天眼耳亦然
틀:P3║ 六於宿命中  五說他心智
틀:P3║如意足等智天眼耳亦然者。如意足說等智
틀:P3║天眼天耳亦如是。無漏智不以此行。六於宿
틀:P3║命中者。宿命通有六智。法智憶法智分未知
틀:P3║智憶未知智分等智憶俗。苦智憶過去苦習
틀:P3║智。憶過去習道智憶過去道。五說他心智者。
틀:P3║他心智通有五智。法智知他心中法智及彼
틀:P3║相應心心數法未知智亦如是。等智知他俗
틀:P3║心心數法。道智知他無漏心心數法他心智
틀:P3║五。
틀:P3║ 九智漏盡通  聖人之所說
틀:P3║ 八境界於身  法十九智二
틀:P3║九智漏盡通聖人之所說者。漏盡通無漏九
틀:P3║智。一切漏相違故。問又世尊言。身身觀意止
틀:P3║觀者。是慧此意止何智所有。答八境界於
틀:P3║身八智觀身色假名為身。是八智所知除他
틀:P3║心智及滅智。若智緣色者是身意止。此二智
틀:P3║不緣色。法十者。法意止有十智離色痛心餘
틀:P3║法。謂法是境界有十智自相界。及一切總
틀:P3║如是法意止。九智二者。痛及心九智除滅
틀:P3║智。謂智緣痛是痛意止。謂智緣心是心意止。
틀:P3║問諸如來有智力。云何如來力施設智。及如
틀:P3║來四無所畏智性。所有如所說我等正覺。此
틀:P3║諸法未等正覺不見此相。如是一切此亦應
틀:P3║當分別。一一幾智性所有。答。
틀:P3║ 是處非處力  及無畏第一
틀:P3║ 此是佛十智  餘此中差別
틀:P3║是處非處力及無畏第一此是佛十智者。佛
틀:P3║有十智是處。非處力。是處智名受諸法真實
틀:P3║相真實行。受知此法如是相如是行。是謂是
틀:P3║處智非處智。名諸法他相他行不可得。則知
틀:P3║非此法如是相如是行是名非處智。是佛十
틀:P3║智初無畏。亦十智等正受故。餘此中差別者。
틀:P3║是處非處力差別有十力初無畏差別。有四
틀:P3║無所畏處非處智。是境界差別故十種分別。
틀:P3║初無畏亦境界差別故四種分別。問四辯亦
틀:P3║智性所有。此亦應當分別。一一幾智。答。
틀:P3║ 法辯辭辯一  應義辯俱十
틀:P3║ 願智是七智  智最勝所說
틀:P3║法辯辭辯一者。法辯名覺諸法名是等智。非
틀:P3║以無漏智受名。世俗中名是假號。無漏智不
틀:P3║以此行。辭辯名覺正說。此亦等是俗中假智
틀:P3║號。應義辯俱十者。應辯名觀及現無所罣礙
틀:P3║方便智是十智義辯名覺諸法真實。彼亦十
틀:P3║智受真實相故(其人云辭應二辭應一等智法義二辯十智也)。問願智有
틀:P3║幾智。答願智是七智智最勝所說。願智有七
틀:P3║智除他心智盡智無生智。願智者利捷疾境
틀:P3║界。於三世受一切諸法。是七智性所有(其人云一等智)。
틀:P3║  定品第七
틀:P3║問如是知諸智。此智當云何。答。
틀:P3║ 智依於諸定  行無罣礙行
틀:P3║ 是以思惟定  欲求其真實
틀:P3║智依於諸定行無罣礙行者。如燈依油離風
틀:P3║處光焰甚明。如是智依於定意離諸亂。智光
틀:P3║甚明必定無疑行於緣。是以思惟定欲求其
틀:P3║真實。
틀:P3║ 決定說四禪  及與無色定
틀:P3║ 此中一一說  雜味淨無漏
틀:P3║決定說四禪及與無色定者。有八定四禪及
틀:P3║四無色定。此中一一說雜味淨無漏者。初禪
틀:P3║有三種味相應淨無漏。如是一切諸定門。云
틀:P3║何味相應。云何淨。云何無漏。答。
틀:P3║ 善有漏是淨  無熱謂無漏
틀:P3║ 氣味愛相應  最上無無漏
틀:P3║善有漏是淨者。謂善是淨故說淨。無熱謂無
틀:P3║漏者。煩惱假名熱謂定無煩惱是無漏。氣味
틀:P3║愛相應者。謂禪無色定愛相應。是具足共
틀:P3║相應共行是說味相應。最上無無漏者。最上
틀:P3║非想非非想處彼中無無漏。不揵疾行故是
틀:P3║有三種餘各三種。問禪何性所有。答。
틀:P3║ 五枝有覺觀  亦復有三痛
틀:P3║ 若干種四心  謂之是初禪
틀:P3║五枝者。謂五枝攝受初禪令堅固。亦從此
틀:P3║得名覺觀。喜樂一心覺名。當入定時生善
틀:P3║功德。始麤心思惟觀名。令心細相續相連喜
틀:P3║名。於定中悅樂名。已悅於身心中安隱快樂
틀:P3║一心名。於緣中心專不散。此種住定時是
틀:P3║枝及入時捨時是故五枝。初禪有覺觀者。
틀:P3║有覺有觀即是初禪。問以受五枝今覺觀何
틀:P3║用。答枝者謂善是於五枝中。說穢污及無記。
틀:P3║亦有覺有觀而不是善。亦復有三痛者。初禪
틀:P3║有三痛樂根喜根護根。於痛中樂根是身痛。
틀:P3║喜根是意地。護根在四識。若干種者梵世中
틀:P3║若干種有上有下。是說具足生處。四心者初
틀:P3║禪有四心。眼識耳識身識意識。謂之是初禪
틀:P3║者。此一切諸法謂是初禪。已說初禪。第二
틀:P3║今當說。
틀:P3║ 二痛若干種  二禪有四枝
틀:P3║ 五枝是第三  此禪說二痛
틀:P3║二痛者。第二禪有二痛喜根及護根。若干種
틀:P3║者。於中身有若干種。已離覺觀有若干心。或
틀:P3║時入喜根或時入護根。但喜是根本邊有護
틀:P3║根。二禪有四枝者。第二禪有四枝。內淨喜樂
틀:P3║一心內淨名。是信於離中生信。已得初禪離
틀:P3║便作是念。一切可離餘枝如前說。此種於第
틀:P3║二禪是枝。五枝是第三者。第三禪有五枝樂
틀:P3║護念智一心。樂者意識地中樂根。護者已樂
틀:P3║於樂不求餘(其人云護雖有義不應云枝也)念者。是護方
틀:P3║便不捨智者不令樂。一心者定此種於第三
틀:P3║禪中是枝。此禪說二痛者。第三禪有二痛。
틀:P3║樂根及護根。樂根是根本。護根是邊。
틀:P3║ 離息入息出  第四有四枝
틀:P3║ 此枝謂說善  亦復分別種
틀:P3║離息入息出者。息入者來息出者去。是第四
틀:P3║禪中無。所以者何。彼由定力故身諸毛孔合。
틀:P3║第四有四枝者。第四禪有四枝。不苦不樂護
틀:P3║淨念。一心求離苦樂。不苦不樂餘如前說。
틀:P3║問何禪是枝相應。答此枝謂說善。善禪枝
틀:P3║相應枝非穢污亦非無記。亦復分別種者。謂
틀:P3║種隨處已說。當知是餘處不應有。如初禪有
틀:P3║覺有觀。四心說此種餘一切地無。第四禪離
틀:P3║息入息出。是三中無不應說。已說四禪四無
틀:P3║色定。謂餘今當說。問如世尊言。有根本依。
틀:P3║若未離欲。未有根本依。而有無漏功德。是無
틀:P3║漏功德何地所攝。答未來禪所攝。又世尊所
틀:P3║說有三定。有覺有觀無覺少觀無覺無觀。於
틀:P3║中初禪是有覺有觀。第二禪是無覺無觀。謂
틀:P3║無覺少觀。定是何地所攝。答是中間禪所攝。
틀:P3║是未來禪中間禪相今當說。
틀:P3║ 相應有覺觀  俱在未來禪
틀:P3║ 觀相應中間  明智之所說
틀:P3║相應有覺觀俱在未來禪者。未來禪中有覺
틀:P3║有觀。觀相應中間明智之所說者。中間禪少
틀:P3║有觀而無覺。彼漸漸心息止。
틀:P3║ 無依而二種  除其味相應
틀:P3║ 中禪有三種  俱為說一痛
틀:P3║無依而二種除其味相應者。未來禪一向善
틀:P3║有漏及無漏。有漏者淨。無漏即無漏。中禪
틀:P3║有三種者。中間禪有三種味淨無漏生死居
틀:P3║故。俱為說一痛者。未來禪及中間禪俱有一
틀:P3║痛護根非根本地故。已說諸定餘功德。於中
틀:P3║攝今當說。
틀:P3║ 三摩提有通  無量修一切
틀:P3║ 除入及諸智  解脫於中起
틀:P3║三摩提者。三三摩提空無願無相。無漏心繫
틀:P3║縛故。有通者。有六通如意足智天耳智他心
틀:P3║通智憶宿命智生死智漏盡通智。無量者。四
틀:P3║無量慈悲喜護。無量眾生境界故曰無量。修
틀:P3║一切者。十一切入。地一切入。水火風青黃
틀:P3║赤白一切入。無量空處一切入。無量識處
틀:P3║一切入。盡具解故一切入。除入者。八除
틀:P3║入內未除色想不淨觀少境界。一無量境界。
틀:P3║二除色相少境界。三無量境界。四復除色
틀:P3║想青黃赤白觀除入。除淨境界故故曰除入。
틀:P3║及諸智者。諸智有十如前說。解脫者。八解
틀:P3║脫未除色想不淨思惟一。除色想不淨思惟
틀:P3║二。淨思惟三。四無色及滅盡定。境界背不
틀:P3║向故說解脫。於中起者。此諸功德九地中
틀:P3║可得及於中起(其人云應十地)。已說諸功德隨地可得
틀:P3║今當說。
틀:P3║ 一慧悲及護  慈亦有五通
틀:P3║ 說遍四禪中  六中有現智
틀:P3║一慧悲及護慈亦有五通說遍四禪中者。一
틀:P3║慧謂他心智三無量。及五通是一切功德根
틀:P3║本四禪中非餘。六中有現智者。現智是法智。
틀:P3║六地中有根本四禪未來禪中間禪。
틀:P3║ 除入中說四  於中亦有喜
틀:P3║ 初解脫及二  功德初二禪
틀:P3║前四除入喜等初第二解脫。此功德初第二
틀:P3║禪中非餘。
틀:P3║ 除入謂有餘  及與解脫一
틀:P3║ 亦八一切入  佛說最上禪
틀:P3║後四除入淨解脫前八一切入。是功德第四
틀:P3║禪中非餘。
틀:P3║ 餘脫即名說  二一切亦然
틀:P3║ 滅盡最在後  餘九謂無漏
틀:P3║餘脫即名說二一切亦然者。餘四解脫自名
틀:P3║所說。及二一切入亦如是。無量空處解脫無
틀:P3║量空處一切入。於無量空處中所攝如是至
틀:P3║非想非非想處。滅盡最在後者。滅盡定非想
틀:P3║非非想處所攝。所以者何。謂未離彼欲亦入。
틀:P3║餘九謂無漏者。謂餘無漏法九地所攝。如三
틀:P3║三摩提七智漏盡通是九地所攝。四禪三無
틀:P3║色未來。及中間等智是十地所攝。此亦非想
틀:P3║非非想處可得以定數故。問此功德幾有漏
틀:P3║幾無漏。答。
틀:P3║ 三解脫當知  有漏及無漏
틀:P3║ 定智已分別  謂餘盡有漏
틀:P3║三解脫當知有漏及無漏者。無量空處無量
틀:P3║識處。無所有處解脫是有漏無漏。定智無
틀:P3║分別者。定如契經品說。無漏智及諸通如智
틀:P3║品說。謂餘盡有漏者。餘一切功德一向有漏。
틀:P3║如三通威儀法故色聲受相故。無量眾生緣
틀:P3║故。一切入意解希望故。三解脫亦如是。非
틀:P3║想非非想處非揵疾行故。想智滅離覺觀故。
틀:P3║除入亦意解希望故。已說諸功德。相成就今
틀:P3║當說。
틀:P3║ 未能度於欲  成就味相應
틀:P3║ 度下未至上  成就淨諸定
틀:P3║未能度於欲成就味相應者。謂地若未離欲。
틀:P3║於彼地成就味相應度。下未至上成就淨諸
틀:P3║定者。謂離欲界欲。若未生梵世上地。彼成
틀:P3║就淨初禪。及初禪地有漏功德。如是一切盡
틀:P3║當知。
틀:P3║ 住上應當知  無漏成就禪
틀:P3║ 求得諸功德  知非無欲中
틀:P3║住上應當知無漏成就禪者。謂離下地欲彼
틀:P3║住上地。亦成就下地無漏。如見諦離欲住梵
틀:P3║世上地。成就無漏初禪。及初禪地定等諸無
틀:P3║漏功德。如是一切盡當知。世俗功德繫在隨
틀:P3║生處。無漏在斷中。是以離生處捨有漏功德
틀:P3║不捨無漏。求得諸功德知非無欲中者。已說
틀:P3║離下地欲成就上功德。當知非一切功德離
틀:P3║欲時得。如如意足智天眼智天耳智無記性。
틀:P3║所有欲及滅盡定此求得。非離下地欲時
틀:P3║得。已說成就因緣今當說。定種有二十三。八
틀:P3║味相應八淨七無漏。問此一一種幾種因。
틀:P3║答。
틀:P3║ 妙無漏無染  七種謂之因
틀:P3║ 淨味相應禪  當知因有一
틀:P3║妙無漏無染七種謂之因者。一一無漏七種
틀:P3║自然因。自地相應因共因。淨味相應禪。當知
틀:P3║因有一者。味相應初禪。於味相應初禪因非
틀:P3║餘。非善因不相似故。非餘地穢污因行相違
틀:P3║故。淨初禪於淨初禪因。非穢污因不相似故。
틀:P3║非無漏因亦不相似故。非餘地淨因自地果
틀:P3║報故。及自地繫縛故。如是一切盡當知。已說
틀:P3║因緣次第緣。今當說。問一一次第生幾種。答。
틀:P3║ 無漏禪次第  興起六種禪
틀:P3║ 七八九有十  起禪亦空定
틀:P3║無漏初禪次第生六種自地淨及無漏。如是
틀:P3║第二第三禪無漏。無所有處次第生七。自地
틀:P3║二下地四上地一。無漏第三禪次第生八。自
틀:P3║地二下地二上地四。無漏無量識處次第生
틀:P3║九。自地二下地四上地三。餘無漏次第生十。
틀:P3║自地二下地四上地四。
틀:P3║ 淨六有七八  九十生十一
틀:P3║ 味相應諸禪  興二乃已十
틀:P3║淨六有七八九十生十一者。淨非想非非想
틀:P3║處次第生六。自地味相應及淨下地四。淨無
틀:P3║漏無所有處無量識處。非味相應離欲故。如
틀:P3║是一切盡當知。一切自地味相應。味相應諸
틀:P3║禪興二乃以十者。味相應禪次第生二。自地
틀:P3║味相應及淨不生餘。各各相違故。如是一
틀:P3║切自地二下地一淨(其人云不應有下地一淨)。一切味相應
틀:P3║死時生。已說次第緣緣。今當說問一一幾
틀:P3║種緣。答。
틀:P3║ 淨以無漏禪  必緣一切地
틀:P3║ 穢污相應禪  獨緣於己地
틀:P3║淨以無漏禪必緣一切地者。淨及無漏禪一
틀:P3║切地緣一切種。穢污相應禪獨緣於己地者。
틀:P3║味相應禪緣於自地味相應禪及淨。非無漏
틀:P3║愛無無漏緣。亦不樂於他地。
틀:P3║ 無色無有力  緣下有漏地
틀:P3║ 善有根本地  穢污如味禪
틀:P3║無色無有力緣下有漏地者。無色定不能緣
틀:P3║下地有漏法極寂靜故。問何謂無色不能緣
틀:P3║下地有漏法。答善有根本地淨。及無漏根本
틀:P3║無色。是自地緣及上地非下地緣。穢污如味
틀:P3║禪者。如味相應說無色亦然。
틀:P3║ 謂餘於色界  無量等功德
틀:P3║ 是必欲界緣  世尊之所說
틀:P3║謂色界餘功德如無量等。一切入除入及解
틀:P3║脫。唯緣欲界緣無量苦眾生。青等諸色此則
틀:P3║欲界。所以者何。神通二界緣故。問世尊所說
틀:P3║勳禪是云何。答勳一切四禪無漏者。勳有
틀:P3║漏是無漏力故。受淨居果報。問若一切四禪
틀:P3║勳者。以何等故下三禪中無淨居果。答。
틀:P3║ 若能勳諸禪  是依第四禪
틀:P3║ 三地愛盡故  淨居果實中
틀:P3║若得第四禪是能勳禪。第四禪者先勳餘
틀:P3║者後。謂得第四禪離三禪欲。以是故下地無
틀:P3║有淨居果實中。有問世尊言。有願智是云何。
틀:P3║答謂。
틀:P3║ 無著性不動  是得一切定
틀:P3║ 彼由定力故  能起頂四禪
틀:P3║於中若彼意生功德。願智不諍辯首諸功德。
틀:P3║願智者如所願入定。或過去或未來或現在。
틀:P3║或有為或無為是一切盡知。不諍者。欲令他
틀:P3║意不起諍。便不起辯者。諸法義及味決定。
틀:P3║無疑不罣礙無所畏。問是願智不諍及辯何
틀:P3║地攝。答。
틀:P3║ 三地有願智  無諍依五地
틀:P3║ 法辭辯依二  二辯依於九
틀:P3║三地有願智者。願智三地所攝。第四禪初禪
틀:P3║及欲界。入第四禪知初禪及欲界。說無諍依
틀:P3║五地者。無諍五地可得根本四禪四及欲界。
틀:P3║欲令一切不諍。法辭辯依二者。法辯名緣味
틀:P3║是欲界及梵天世。非上地離覺觀故。辭辯名
틀:P3║是味撰智。彼亦二地中可得。欲界及梵天世。
틀:P3║二辯依於九者。義辯及應辯九地中可得。四
틀:P3║禪四無色及欲界。已說初禪。當知已說未來
틀:P3║及中間。此是初禪眷屬故。問云何得此定。答。
틀:P3║ 斷欲亦復生  而得於淨禪
틀:P3║ 穢污退及生  無漏唯斷欲
틀:P3║斷欲亦復生而得於淨禪者。淨初禪二時得。
틀:P3║離欲時及上地沒生梵天世。如是一切盡當
틀:P3║知。穢污退及生者。穢污味相應是退時得。若
틀:P3║欲界及梵天世纏退於爾時得。味相應初禪
틀:P3║生時得者。若上地命終生欲界及梵天世於
틀:P3║爾時得。味相應初禪如是一切盡當知。無漏
틀:P3║唯斷欲者。無漏唯斷欲時得。謂聖得離欲
틀:P3║於爾時得無漏初禪。如是一切盡當知。問此
틀:P3║功德誰能除煩惱。答。
틀:P3║ 無漏除煩惱  亦復定中間
틀:P3║ 一切定中間  相應於護根
틀:P3║無漏除煩惱者。無漏初禪八地除煩惱。如是
틀:P3║一切盡當知。亦復定中間者。定中間名謂下
틀:P3║地除欲。以方便道故終不得根本生。未得
틀:P3║離欲餘不能除。一切定中間相應於護根者。
틀:P3║一切定中間護根相應終不得喜至不得義。
틀:P3║問變化心有幾。謂有如意足能變化答八。
틀:P3║四禪果欲界。四禪果初禪地。問彼誰成就。
틀:P3║答。
틀:P3║ 下地變化意  成就彼種果
틀:P3║ 若合三種心  上地應當說
틀:P3║下地變化意成就彼種果者。謂若成就禪
틀:P3║是成就彼果下地變化心。問如說初禪有
틀:P3║四心。住於上地欲聞欲見。彼云何見聞。答。
틀:P3║梵世地識現在前。問彼幾時成就。答若合三
틀:P3║種心上地應當說。若時彼識現在前。若眼識
틀:P3║若鼻識若耳識若身識。爾時成就彼識。若
틀:P3║不現在前即滅爾時不成就。
틀:P3║阿毘曇心論卷第三

아비담심론 > 아비담심론 제3권 > 6. 지품(智品) > 69 - 78쪽
K.959 (28-355), T.1550 (28-809)
[69 / 142] 쪽
  
  
아비담심론 제3권
  
  
  법승 지음
  승가제바ㆍ혜원 공역
  김 재천 번역
  
  
  
6. 지품(智品)
  
  지혜의 본질[性] 능히 깨닫고
  밝게 관찰하니 모든 유와
  유ㆍ무유(無有)의 열반 있으니
  그 모습을 이제 설명하겠다.
  
  이른바 지혜는「현성품」에서 간단하게 설명하였으니, 여기에서는 유ㆍ무유를 경계로 하는 것을 설명하겠다.
  
  세 가지 지(智)란 부처님의 말씀으로
  최상이고 으뜸가는 뜻이니,
  법지(法智)와 미지지(未知智)와
  세속의 등지(等智)이다.
  
   이 세 가지 지혜는 일체의 지혜를 포함하고 있다. 그 중에서 법지라는 것은 경계를 말하는 것이다. 곧 욕계의 고ㆍ습ㆍ멸ㆍ도인 무루지의 경계를 가리키는 것이다. 이것은 법상을 처음 받아들이기 때문에 법지라고 말한 것이다. 그런데 법지를 따른다면 근(根)이 나타나서 이미 보이는 것이다. 그러나
  
[70 / 142] 쪽
  근이 나타나지 않았는데도 역시 보이므로 미지지(未知智)1)이다. 미지지도 경계를 가리키는 말이다. 즉 색계ㆍ무색계의 고ㆍ습ㆍ멸ㆍ도인 무루지의 경계를 말한다. 이것은 법상을 뒤에 받아들이므로 미지지라고 말한다. 등지(等智)는 일컬어 유루지라고 한다. 이것은 대부분 세속의 지혜[等諦]를 취하여 남녀ㆍ장단을 아는 것을 첫째로 한다.
  
  고ㆍ습ㆍ식지(息止)ㆍ도에서
  두 가지 지혜에 따라 얻을 수 있으니
  이것에 4지(智)라고 이름을 부여하는 것은
  해탈사(解脫師)의 말씀이다.
  
  이 두 가지 지혜인 법지와 미지지가 만약 제(諦)에서 행하면 이와 같은 서로 비슷한 이름으로 불리게 된다. 고제를 경계로 하는 것을 고지(苦智)라 하고, 습제를 경계로 하는 것을 습지(習智)라고 하고, 멸제를 경계로 하는 것을 멸지라고 하며, 도제를 경계로 하는 것을 도지라고 하니, 해탈하신 스승께서 말씀하신 바이다.
  
  지혜로써 다른 사람의 마음을 관찰하는 것은
  이것은 세 가지를 따라서 말하게 되니,
  진(盡)ㆍ무생지(無生智)의 두 가지가 있고
  경계는 네 가지 문(門)에 있다.
  
  ‘지가 다른 사람의 마음을 관찰하는 이것은 세 가지를 따라서 말한다’고 함은 타심지(他心智)가 소위 유루를 경계로 하는 것은 등지이고, 욕계도를 경계로 하는 것은 법지이고, 색계도를 경계로 하는 것은 미지지라는 것이다.
  ‘진ㆍ무생지 두 가지가 있다’고 함은 무학의 두 가지 지인 진지와 무생지가
  
  
1) 범어로는 ajñtam ājñāsyāmi indriyaṃ. ‘아직 모르던 것을 알고자 하는 근’이라는 뜻이다. 미지당지근(未知當知根)이라고도 한다.
[71 / 142] 쪽
  있다는 것이다. 그 중에서 할 일을 이미 마치고 무학의 지혜를 받아들이는 것은 진지이고, 또 다시는 짓지 않으면서 무학의 지혜를 받아들이는 것은 무생지이니, 이 역시 법지와 미지지이다.
  [문] 진지와 무생지는 어떠한 진리[諦]를 경계로 하는가?
  [답] 경계는 네 가지 문에 있다. 이들 두 가지 지혜는 고ㆍ습ㆍ멸ㆍ도의 4제를 경계로 한다.
  이미 열 가지 지를 설명했으니, 이제 행을 설명하겠다.
  
  두 가지 지(智)는 십육 행이니
  법지와 미지지이다.
  이와 같은 행이거나 혹 아닌 것은
  이것을 등지라고 말한다.
  
  ‘두 가지 지는 십육 행이니, 법지와 미지지이다’고 함은 법지의 성품은 십육 행인데 네 가지 행으로 고를 받고, 네 가지 행으로는 습을 받으며, 네 가지 행으로는 멸을 받고, 네 가지 행으로는 도를 받는다는 것이다. 미지지의 색계ㆍ무색계도 역시 그러하다.
  ‘이와 같은 행이거나 혹 아닌 것은 이것을 등지라고 말한다’고 함은 난(煖)2)ㆍ정(頂)ㆍ인(忍)ㆍ제일법 중에 포섭하는 등지행과 무루행의 두 가지 진리3)가 포섭하는 것은 십육 행이고, 제일법이 포섭하는 것은 네 가지 행이며, 문(聞)ㆍ사(思), 그리고 나머지 사유(思惟)의 등지는 십육 행이고, 이를 떠난 나머지 등지는 십육 행이 아니라는 것이다. 말하자면 시(施)ㆍ계(戒)ㆍ자(慈)는 이와 같은 부류[比]이다.
  
  네 가지 지혜에는 네 가지 행이 있으니
  결정행(決定行)에서 설명한 것이다.
  다른 이의 마음을 바르게 관찰하는 지혜는
  
  
2) 원문의 연(煙)을 난(煖)으로 고쳐 읽는다.
3) 등제와 진제를 가리킨다.
[72 / 142] 쪽
  혹은 이것이거나 혹은 아니다.
  
  ‘네 가지 지혜에는 네 가지 행이 있으니 결정행에서 설명한 것이다’고 함은 고지(苦智)에는 네 가지 행이 있으니 위에서 말한 것과 같으며 습ㆍ멸ㆍ도의 지혜도 이와 같음을 말한다.
  ‘다른 이의 마음을 바르게 관찰하는 지혜는 혹은 이것이거나 혹은 아니다’고 함은 무루의 타심지에는 네 가지 행이 있으니 도지(道智)와 같고, 유루는 아니라는 것이다.
  
  진지와 무생지는
  공과 무아행을 떠나
  열네 가지 행이 있다고 말하니
  받아들이는 모습이 가장 뛰어나다.
  
  ‘진지와 무생지는 공ㆍ무아행을 떠나 열네 가지 행이 있다고 말한다’고 함은 진지와 무생지에는 열네 가지 행이 있어서 공ㆍ무아행은 제외된다는 것이다. 그것은 왜냐하면 그것은 등제(等諦)에서 자신이 이미 지었거나4) 다시 짓지 않는 것5)을 행하는데, 공ㆍ무아행이란 이러한 행을 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이다.
  ‘받아들이는 모습이 가장 뛰어나다’고 함은 일체의 무루지는 열여섯 가지 행에 있는 것이 아니고 열여섯 가지 행인 것이 바로 총행인데, 다시 무루지가 열여섯 가지 행을 받아들이는 것이 있으니 신의지(身意止)6)와 같으며, 이것은 자상지(自相智)로서 열여섯 가지 행에 있지 않고 전에 열여섯 가지 행을 받는데 이들 자상행은 모든 무루지보다 먼저 받기 때문에 뛰어나다고 한 것이다.
  이미 열여섯 가지 행을 설명하였으니, 이제 이와 같은 지혜로 얻는 것을
  
  
4) 이른바 진지를 가리킨다.
5) 이른바 무생지를 가리킨다.
6) 범어로는 kāya-smṛty-upasthāna. 신념주(身念住)라고도 한다.
[73 / 142] 쪽
  설명하겠다.
  
  첫 번째의 무루심은
  혹은 하나를 성취하기도 하고
  두 번째는 혹은 셋을 성취하기도 하며
  위에서 말한 것보다 하나를 더하기도 한다.
  
  ‘첫 번째의 무루심은 혹은 하나를 성취하기도 한다’고 함은 첫 번째의 무루심은 고법인(苦法忍)과 서로 호응하는 자로서 아직 욕탐을 여의지 않은 자라면 하나의 등지(等智)를 성취한다는 것이다. 이미 욕을 여읜 자는 타심지를 성취한다.
  ‘두 번째는 혹은 셋을 성취하기도 하며’라고 함은 두 번째의 무루심은 고법지(苦法智)가 상응하므로 아직 욕탐을 여의지 않은 자는 법지와 고지와 등지의 셋을 성취한다는 것이다. 이미 욕을 여읜 자는 타심지를 성취한다.
  ‘위에서 말한 것보다 하나를 더하기도 한다’고 했는데, 위의 네 가지를 얻을 때에 늘어나는 것을 ‘하나’라고 하는 것이다. 네 가지 때란 고미지지(苦未知智)를 얻어 미지지를 얻고, 습법지로서 습지를 얻고, 멸법지로서 멸지를 얻고, 도법지로서 도지를 얻는 것이다. 인(忍) 중에서는 지를 얻지 못한다.
  [문] 이러한 지는 어떠한 지(地)에 포섭되는가?
  
  [답] 아홉 가지 지혜[智]는 성인의 말씀이며
   위의 경지[地]에 의지한다.
   선(禪) 중에는 열 가지 지가 있고
   무색지(無色地)에는 여덟이 있다.
  
  ‘아홉 가지 지혜는 성인의 말씀이며, 위의 경지에 의지한다’고 함은 미래선과 중간선에는 타심지가 없어서 근본선에 포섭되기 때문이다.
  ‘선 중에는 열 가지 지혜가 있다’고 함은 근본 4선 중에는 열 가지 지혜가 있다는 것이다.
  
[74 / 142] 쪽
  ‘무색지 중에는 여덟이 있다’고 했는데, 무색지 중에는 여덟 가지 지혜가 있으니 법지와 타심지를 제외한다. 법지는 욕계를 경계로 하고 무색계로써 하지는 않는다. 욕계를 경계로 하고 타심지를 행하여 색계에 오르니 무색지 중에는 색이 없기 때문이다.
  이미 지(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니 이제 수(修)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수에는 두 가지가 있으니 득수(得修)와 행수(行修)이다. 득수는 말하자면 공덕으로서 아직 얻지 못한 것을 얻고, 얻은 뒤에는 모든 공덕으로서 그 의지하는 것도 얻으며, 얻고 나서는 나중에 구하거나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이다. 행수란 이른바 이미 얻은 공덕을 지금 현재 앞에서 행하는 것이다.
  [문] 이러한 여러 지혜[智]를 어떻게 하여 수행(修行)하는가?
  
  [답] 만약 이미 얻은 것으로서 닦게 된다면
   지자(智者)의 모든 성스러운 견해라 하며
   그것으로 곧 미래에 닦나니
   모든 인(忍)도 역시 이와 같다.
  
  ‘만약 이미 얻은 것으로서 닦게 된다면 지자의 모든 성스러운 견해라 하며 그것으로 곧 미래에 닦는다’고 함은 견제도(見諦道)에서 소위 지혜를 현재 앞에서 닦으면 곧 그것을 내세에 닦는다는 것이니, 법지(法智)에서부터 도지(道智)까지를 말한다.
  ‘모든 인도 역시 이와 같다’고 함은 인도 역시 이와 같다는 것이다. 고법인(苦法忍)을 현재 앞에서 닦으면 곧 고법인을 미래에 닦게 되나니, 지(智)도 아니고 나머지 인도 아니다. 모든 것이 이와 같다.
  
  이러한 세 가지 마음 중에서
  등지(等智)를 득수하나니
  일곱이나 혹은 여섯을 닦기도 하나니
  최후심(最後心)께서 하신 말씀이다.
  
[75 / 142] 쪽
  ‘이러한 세 가지 마음 중에서 등지를 득수한다’고 함은 곧 견제도 중의 세 가지 마음이 내세에 등지를 닦는다는 것이니 고미지지ㆍ습미지지ㆍ멸미지지이다. 이들 세 가지 진리를 행할 때에는 등지를 득수한다. 그것은 왜냐하면 이들 세 가지 진리를 익히고 나면 관(觀)이 있거니와 도제(道諦)에서는 아닌 것이다. 말하자면 지(地)의 견도에서는 그 지의 등지와 욕계의 것이 있다.
  ‘일곱이나 혹은 여섯을 닦기도 하나니 최후심께서 하신 말씀이다’고 함은 도미지지의 경우 욕을 여읜 자는 이른바 일곱 가지 지혜를 닦아 아나함과에 포섭되고, 아직 욕탐을 여의지 못한 자라면 여섯 가지 지혜를 닦는데 타심지를 제외하고 그 중 비상비비상도로서 사문과를 얻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등지를 닦지 않는다.
  
  열일곱 가지 무루심은
  위의 사유도(思惟道)에서
  일곱 가지를 닦는다고 알아야 하고
  여섯 가지 수행은 근(根)을 증익시킨다.
  
  ‘열일곱 가지 무루심은 위의 사유도에서 일곱 가지를 닦는다고 알아야 한다’고 함은 수다원과(須陀洹果)는 위에 있는 사유도의 열일곱 가지 심(心)7)의 무렵에서 일곱 가지 지혜를 닦는다는 것이다. 이 도는 미래선에 포섭되므로 타심지는 없다. 그리고 진지(盡智)ㆍ무생지(無生智)는 무학이므로 없다. 나머지 일곱 가지 지혜는 반드시 닦아야 한다. 그것은 왜냐하면 그 마음[意]에는 이 공덕이 항상하여 공(空)하지 않으므로 만약 닦지 않으면 일찍이 얻었던 것을 이미 버려 다시는 얻지 못하고, 그 중간에는 마땅히 공이어야 하지만 공이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닦아야 한다는 것이다.
  ‘여섯 가지 수행[修]8)은 근을 증익시킨다’고 함에서 ‘근을 증익시킨다’는 것은 신해탈(信解脫)에 있어서 모든 근을 더하여 견도(見到)를 체득하는 것을 말한다. 그것에는 아홉 가지 무애도와 아홉 가지 해탈도가 있다. 이 일체
  
  
7) 아홉 가지 무애도심과 여덟 가지 해탈도심을 가리킨다.
8) 원문의 종(種)을 수(修)로 고쳐 읽는다.
[76 / 142] 쪽
  의 무애도와 일체의 해탈도에서 여섯 가지 지혜[智]를 닦는다. 이는 욕을 여의지 못한 것을 말하므로 타심지는 없다. 그 때에는 학도(學道)이어도 번뇌를 끊는 것을 배우지는 않는다. 그것은 아직 공덕을 닦아 얻지 못했고, 이미 얻은 것도 아니므로 등지를 닦지 않는다.
  
  불환과(不還果)를 얻었을 때는
  일곱 가지 지(地)를 멀리 여의고
  여러 신통의 도(道)를 사유하고 배우니
  해탈을 닦고 익히는 여덟 가지이다.
  
  ‘불환과를 얻었을 때’란 만약 불환과를 얻으면 여덟 가지 지를 닦는다는 것이다. 그 중에서는 반드시 근본선을 얻기 때문에 타심지를 닦는다. 나머지 지혜에 대해서는 앞에서와 같다.
  ‘일곱 가지 지를 멀리 여읜다’고 함은 4선(禪)과 3무색(無色)에서 욕탐을 여읠 때 일체의 아홉 가지 해탈도로는 여덟 가지 지혜를 닦는다는 것이다. 그 중에서 모든 것은 아래 경지의 선을 닦는다.
  ‘여러 신통의 도를 생각하고 배우니, 해탈을 닦고 익히는 여덟 가지이다’라고 함은 세 가지 통인 여의족ㆍ천안(天眼)ㆍ천이(天耳)의 모든 아홉 해탈도는 여덟 가지 지혜를 닦는다는 것이다. 그것은 왜냐하면 근본선에 포섭되기 때문이다.
  
  이 무애도 가운데
  첫 번째 유(有)를 멸하는
  저 여덟 해탈도는
  일곱 가지를 닦아 익힌다고 말한다.
  
  일곱 가지 지(地)에서 욕을 여읠 때에 일체의 무애도 중에서는 일곱 가지 지혜[智]를 닦는데 타심지는 제외된다. 그것은 왜냐하면 이 무애도로써 닦는다면 속박은 멸하지만 타심지를 익혀서는 속박을 멸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
  
[77 / 142] 쪽
  이다. 그러므로 닦지 않는다고 한 것이다.
  비상비비상처가 으뜸가는 유(有)이다. 그것은 욕을 여읠 때의 여덟 가지 해탈도 중에서 일곱 가지 지혜를 닦는데 등지는 제외된다. 왜냐하면 등지는 비상비비상처에서 변화되나니 돌아와도 적(敵)9)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으뜸가는 유를 떠나
  여섯 가지를 닦는 무애도가 있으니,
  위의 경지에 올라가서도
  아래 경지를 닦아 익힘을 알아야 한다.
  
  ‘으뜸가는 유를 떠나 여섯 가지를 닦는 무애도가 있다’고 함은 제일가는 유에서 욕을 떠난 때는 아홉 가지 무애도 중에서 여섯 가지 지혜를 닦는 것을 말하니, 타심지와 등지는 제외된다.
  ‘위의 경지에 올라가서도 아래 경지를 닦아 익힘을 알아야 한다’고 함은 일체의 지(地)를 닦으므로 자신의 경지의 모든 지혜와 밑의 경지에 포섭되는 것을 닦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초선(初禪)에 의지하여 욕을 여의면 그것은 두 가지 지(地)의 공덕을 닦는 것이니, 자신의 지에 포섭되는 것과 미래선인 것이다. 이와 같이 해서 무소유처에 이른다.
  
  누ㆍ무루는 모두
  모든 지(地)에서 공덕을 닦는다.
  맨 처음 무학심 중에서 모든 지혜 생기니
  이는 미지지(未知智)의 마음이다.
  
  ‘누ㆍ무루 일체가 지에서 공덕을 닦는다. 맨 처음 무학심 가운데’라고 함은 무착과(無著果)10)를 얻을 때는 아홉 지(地)와 자신의 지(地) 또한 일체의 모든 지 중에서 닦는다는 것이다. 그것은 왜냐하면 비상비비상처의 경지는 번
  
  
9) 원문의 리(離)를 적(敵)으로 고쳐 읽는다.
10) 아라한과를 가리킨다.
[78 / 142] 쪽
  뇌와 서로 어긋나기 때문이다. 일체의 지에 있어서 번뇌가 있는 마음은 맑고 깨끗하지 못하고 번뇌가 없는 마음은 맑고 깨끗하므로 그것을 떠나 일체를 닦는다는 것이다.
  [문] 이러한 무학의 초심은 어떠한 지(智)와 상응하는가?
  [답] 이것은 미지지의 마음이니, 이런 초무학심은 미지지와 상응한다. 그는 나의 생(生)은 이미 다했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비상비비상처가 생하는 연이다. 그것은 왜냐하면 최후에 다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미미지지와 상응한다.
  [문] 또 세존께서는 견(見)ㆍ지(智)ㆍ혜(慧)를 말씀하셨는데, 이 셋은 하나인가, 여럿인가?
  [답] 이것은 혜의 차별로서 혜성(慧性)의 소유이다. 단지 일에 따라서 세존께서는 혹은 견이라고 말씀하시고, 혹은 지라고 말씀하시는 것이다.
  [문] 그 뜻은 어떤 것인가?
  
  [답] 결정코 능히 알라.
   모든 인(忍)은 지성(智性)이 아니다.
   진지(盡智)는 곧 견이 아니며
   무생지도 역시 그러하다.
  
  ‘결정코 능히 알라. 모든 인은 지성이 아니다’고 함은 여덟 가지 인을 수행하여 구할 수 있으므로 견이고 능히 볼 수 있으므로 지혜이지만 단지 지혜가 아니면, 결정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왜냐하면 처음의 연에 의하기 때문이다.
  ‘진지는 곧 견이 아니고, 무생지도 또한 그러하다’고 함은 진지와 무생지로써 보기 때문에 혜이고 결정하기 때문에 지이지만, 다만 견이 아니면, 구하지 못하기 때문에 하는 바가 없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나머지 무루의 혜의 종류는 세 가지 성품의 소유이니, 견과 지와 혜이다.
  
  선하고 속된 유루의 지혜
  

아비담심론 > 아비담심론 제3권 > 6. 지품(智品) > 79 - 88쪽
K.959 (28-355), T.1550 (28-809)
[79 / 142] 쪽
  마음에 있는 것과 모든 견(見)은
  마땅히 이것을 알면 곧 견이며
  일체는 혜라고 말한다.
  
  ‘선하고 속된 유루의 지혜 마음에 있는 것과 모든 견은 마땅히 이것을 알면 곧 견이다’고 했는데, 의식지(意識地) 중의 선한 유루의 혜는 3성이니 견과 지와 혜이다. 다섯 가지 견(見)의 번뇌성은 견의 소유이니 관찰하기 때문이다. 또한 지와 혜를 여의지 않는다. 나머지 유루 지혜의 종류는 견성의 소유가 아니다. 그것은 왜냐하면 무기(無記)의 의식에 상응하는 지혜의 종류는 견성의 소유가 아니니 관찰하지 않기 때문이다. 더러움의 혜의 종류도 역시 견성의 소유가 아니니 번뇌에 파괴되기 때문이다. 다섯 가지 식(識)에 상응하는 혜의 종류도 역시 견성의 소유가 아니니 관찰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지성(智性)을 여의지 않는다.
  ‘일체는 혜라고 말한다’고 했는데, 말하자면 앞에서 여의었다고 말한 바의 인(忍) 중에서는 지(智)를 여의고, 진지ㆍ무생지는 견을 여의고, 선한 의식지와 다섯 가지 견을 제외하고 난 뒤의 유루의 혜는 견을 여읜 것으로서 혜이고, 이와 같지 않은 것도 (혜라는 것이다). 그것은 왜냐하면 일체의 지의 종류와 일체의 견의 종류는 곧 혜의 종류이기 때문이다.
  [문] 하나하나의 지(智)는 몇 가지의 지를 연(緣)하는가?
  
  [답] 법지와 미지지는
   아홉 가지 지(智)를 깨닫는다.
   인지(因智)와 과지(果智)는
   두 가지 지혜를 경계로 한다.
  
  ‘법지와 미지지는 아홉 가지 지를 깨닫는다’고 함은 법지는 아홉 가지 지혜를 관찰하고 아홉 가지 지혜를 연하는데 미지지는 제외된다는 것이다. 그것은 왜냐하면 미지지는 욕계의 과가 아니고, 욕계의 인도 아니고, 욕계의 멸이 아니고, 욕계의 도도 아니기 때문이다. 미지지도 역시 이와 같이 아홉 가지
  
[80 / 142] 쪽
  지혜를 연하고 법지를 제외한다.
  ‘인지와 과지는 두 가지 지혜를 경계로 한다’고 함은 습지(習智)가 인지인데 그것은 유루의 타심지와 등지를 연하니 습과 동일하기 때문이며, 나머지는 연이 아니니 무루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고지(苦智)도 역시 이와 같으니 이것은 곧 과지이다.
  
  도지(道智)는 아홉 가지 지(智)이고
  해탈지에는 연이 없다.
  나머지는 일체를 경계로 한다는 것은
  결정지(決定智)께서 하신 말씀이다.
  
  ‘도지는 아홉 가지 지혜이다’고 함은 도지는 아홉 가지 지혜를 경계로 한다는 것이다. 등지를 연하지 않으니 유루이기 때문이다. 나머지는 모두 연하니 도제(道諦)와 같기 때문이다.
  ‘해탈지에는 연이 없다’고 했는데, 해탈지란 멸지(滅智)를 말한다. 지혜를 연하는 것이 아니라 무위를 연하기 때문이다.
  ‘나머지는 일체를 경계로 한다는 것이 결정지의 말씀이다’고 함은 나머지에는 네 가지 지(智)가 있는데 일체의 열 가지 지혜를 연한다는 것이다. 등지는 열 가지 지혜를 연하니 일체법을 경계로 하기 때문이다. 타심지도 역시 열 가지 지혜를 연하니 모두 다른 자의 마음을 경계로 하기 때문이다. 진지와 무생지도 역시 열 가지 지혜를 연하니 일체의 유위를 경계로 하기 때문이다.
  [문] 또한 세존께서는, 미지지는 비상비비상처를 떠나는 것과 같이 무착과를 얻는다고 말씀하신다. 따라서 미지지가 곧 그러한 도(道)이지만 이로 해서 미지지가 그러한 도라는 것을 알 수는 없다. 나머지가 곧 있는 것은 아닌가?
  [답] 또한 법지(法智)의 색계ㆍ무색계도가 있다.
  [문] 어떠한 것인가?
  
[81 / 142] 쪽
  [답] 식지(息止)와 도(道)는
   법지의 소행으로,
   그것은 삼계의 번뇌를 멸하나니
   욕계의 미지지는 아니다.
  
  ‘식지와 도는 법지의 소행으로, [그것은] 삼계[의 번뇌]를 멸한다’고 함은 말하자면 멸법지와 도법지의 사유도에 있는 것은 삼계의 번뇌[結]를 없앤다는 것이다. 혹은 법지가 있어 색계ㆍ무색계의 욕을 여읜다. 말하자면 이것은 거듭 악을 보고 욕계에서 멸과 도를 사유하여 색계ㆍ무색계의 욕을 여의나니 고지도 아니고 습지도 아니다. 그것은 왜냐하면 고ㆍ습과 같지 않고 멸ㆍ도와 같기 때문이다.
  [문] 미지지가 욕계를 멸하는 경우도 있는가?
  [답] 욕계의 미지지는 아니다. 미지지로써 욕계를 능히 멸하는 일은 없다. 그것은 왜냐하면 거듭 악을 보고 이것을 슬퍼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문] 신통은 지성(智性)의 소유이다. 그것도 역시 하나하나가 몇 가지 지임을 말해야 할 것이다.
  
  [답] 여의족은 등지이고
   천안(天眼)과 천이(天耳)도 역시 그러하다.
   여섯 가지는 숙명 중에 있고
   다섯 가지는 타심지라고 한다.
  
  ‘여의족은 등지이고, 천안과 천이도 역시 그러하다’고 함은 여의족을 등지라고 말하고 천안과 천이도 역시 그와 같다고 하는 것이다. 무루지는 이러한 것으로써 행하지 않는다.
  ‘여섯 가지는 숙명 중에 있다’고 함은 숙명통에 여섯 가지 지혜[智]가 있다는 것이다. 법지는 법지의 몫을 기억하고, 미지지는 미지지의 몫을 기억하고, 등지는 세속의 것을 기억하고, 고지는 과거의 고(苦)를 기억하고, 습지는 과거의 습관을 기억하고, 도지는 과거의 도를 기억한다.
  
[82 / 142] 쪽
  ‘다섯 가지를 타심지라고 한다’고 함은 타심지통에는 다섯 가지 지혜가 있다는 것이다. 법지는 다른 이의 마음속의 법지와 그것과 서로 호응하는 마음과 마음에 속하는 법을 알고, 미지지도 그와 같다. 등지는 다른 이의 속된 마음과 마음에 속하는 법을 알고, 도지는 다른 이의 무루의 마음과 마음에 속하는 법을 알며, 타심지는 다섯이다.
  
  아홉 가지 지혜[智]는 누진통(漏盡通)이라는 것은
  성인께서 하신 말씀이다.
  여덟 가지는 몸을 경계로 하고
  법은 열 가지이고, 아홉 가지 지혜는 두 가지이다.
  
  ‘아홉 가지 지혜는 누진통이라는 것이 성인의 말씀이다’고 함은 누진통은 무루의 아홉 가지 지혜이니 일체의 누와 다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문] 또한 세존께서는 신신관의지관(身身觀意止觀)11)은 혜라고 말씀하신다. 이 의지는 어떠한 지의 소유인가?
  [답] ‘여덟은 몸을 경계로 한다.’ 여덟 가지 지혜는 몸을 관찰하니 색을 임시로 이름하여 몸이라고 한다. 이는 여덟 가지 지혜에 의해 알려지는 것이니, 타심지와 멸지는 제외한 것이다. 지가 색을 연하는 것이 신의지(身意止)이다. 이 두 가지 지혜는 색을 연하지 않는다.
  ‘법은 열 가지’라고 함은 법의지(法意止)에는 열 가지 지혜가 있으니 색ㆍ통ㆍ심을 여읜 나머지 법을 법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경계로 하는 것에 열 가지 지혜가 있다는 것이다. 자상을 경계로 하고, 또한 일체를 통틀어 경계로 하는 지혜가 법의지이다.
  ‘아홉 가지 지혜는 두 가지’라고 했는데, 통(痛)과 심(心)이 아홉 가지 지혜로, 멸지는 제외된다. 말하자면 지(智)가 통을 연하는 것이 통의지이고, 지가 심을 연하는 것이 심의지이다.
  [문] 모든 여래에게는 지력(智力)이 있다. 무엇이 여래의 힘이며, 시설된 지
  
  
11) 신신관(身身觀)이란 ‘각각의 몸에 대한(pratiśarīram) 관찰’을 의미한다.
[83 / 142] 쪽
  혜인가? 그리고 여래의 네 가지 무소외(無所畏)는 지성(智性)의 소유인가? 말한 것과 같이 우리들은 이러한 모든 법을 바르게 깨달아도 아직 등정각이 되지 못하면 이러한 상을 보지 못한다. 이와 같은 일체도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하나하나는 몇 가지 지성의 소유인가?
  
  [답] 시처비처(是處非處)의 힘과
   첫 번째 두려움 없는 마음
   이것은 부처님의 열 가지 지혜이고
   나머지는 이 중의 차별이다.
  
  ‘시처비처의 힘과 첫 번째 두려움 없는 마음, 이것은 부처님의 열 가지 지혜이다’라고 함은 부처님에게는 열 가지 지혜의 시처비처의 힘이 있다는 것이다. 시처지(是處智)는 모든 법의 진실한 모습과 진실한 행위를 받아, 이 법의 이와 같은 모습과 이와 같은 행위를 받아서 아는 것을 가리키니, 이것을 시처지라고 하는 것이다. 비처지는 모든 법의 다른 모습과 다른 행위가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면 곧 이 법의 이와 같은 모습과 이와 같은 행위가 아님을 아는 것을 가리키고, 이것을 비처지라고 하는 것이다. 이것이 부처님의 열 가지 지혜이다. 첫 번째 무외도 역시 열 가지 지혜이니 한결같이 바르게 받기 때문이다.
  ‘나머지는 이 중의 차별이다’고 함은 시처비처의 힘을 차별한 것에 열 가지 힘이 있고, 첫 번째 무외를 차별한 것에 네 가지 무소외가 있음을 말한다. 처비처지는 경계의 차별 때문에 열 가지로 분별하고, 첫 번째 무외도 역시 경계의 차별 때문에 네 가지로 분별한다.
  [문] 네 가지 변(辯)도 역시 지성의 소유이다. 이것도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하나하나는 몇 가지 지혜인가?
  
  [답] 법변과 사변(辭辯)은 하나이다.
   응(應)과 의변(義辯)은 모두 열이다.
   원지(願智)는 일곱 가지 지혜라는 것은
  
[84 / 142] 쪽
   지혜가 가장 뛰어난 분의 말씀이다.
  
  ‘법변과 사변은 하나이다’고 함에서 법변(法辯)은 모든 법의 이름을 깨닫는 것을 말하는 것이니 이것은 곧 등지이다. 무루지로써 이름을 받는 것이 아니다. 세속 중의 이름은 임시로 부르는 것이고, 무루지는 이것으로써 행하지 않는다. 사변(辭辯)은 바른 말을 깨닫는 것을 말하나니 이것도 역시 등지이다. 이것을 세속 중에서는 임시로 지혜[智]라고 부른다.
  ‘응과 의변은 모두 열이다’고 함에서 응변은 보는 것과 나타나는 것에 장애됨이 없는 방편지를 이름하니, 이것은 열 가지 지혜이다. 의변(義辯)은 모든 법의 진실을 깨닫는 것을 말하고, 그것 역시 열 가지 지혜이니 진실의 모습을 받기 때문이다.
  [문] 원지(願智)에 어떠한 지혜가 있는가?
  [답] 원지는 일곱 가지 지혜이니, 가장 뛰어난 지혜를 가진 분의 말씀이다. 원지에는 일곱 가지 지혜가 있으니, 타심지와 진지와 무생지를 제외한다. 원지는 예리하고 빨라서 3세를 경계로 하여 일체의 모든 법을 받는다. 이것은 일곱 가지 지성(智性)의 소유이다.
  
  
7. 정품(定品)
  
  [문] 이와 같이 모든 지혜를 알았다. 이러한 지혜는 어떠한 것인가?
  
  [답] 지혜는 모든 선정[定]에 의지하고
   거리낌이 없는 행을 한다.
   그러므로 사유와 정으로써
   그 진실을 구해야 한다.
  
  ‘지혜는 모든 선정에 의지하고, 거리낌이 없는 행을 한다’고 함은 등불은 기름에 의지하고 바람을 벗어나야 불꽃이 매우 밝은 것과 같이 지혜도 선정
  
[85 / 142] 쪽
  에 의지해 마음의 모든 산란함을 없애야 지혜의 불꽃이 매우 밝고 반드시 안정되어 대상에 대하여 의심 없는 행을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유와 정으로써 그 진실한 것을 구하는 것이다.
  
  결정(決定)적으로 4선과
  무색정을 설하셨으니
  이 중의 하나하나를 설명하면
  미선[味]과 정선[淨]과 무루선이 섞여 있다.
  
  ‘결정적으로 4선과 무색정을 설하셨다’고 함은 4선과 4무색정의 여덟 가지 선정이 있다는 것이다.
  ‘이 중 하나하나를 설명하면 미선과 정선과 무루선이 섞여 있다’고 함은 초선에 셋이 있으니 미상응과 정과 무루이고, 일체의 선정문이 이와 같다는 것이다.
  [문] 무엇이 미상응이고, 무엇이 정선[淨]이고, 무엇이 무루선인가?
  
  [답] 선한 유루를 정선[淨]이라 하고
   무열(無熱)을 무루라고 한다.
   기미(氣味)는 애상응(愛相應)이다.
   최상에는 무루도 없다.
  
  ‘선한 유루는 정선이다’고 함은 말하자면 선은 깨끗하므로 정선이라고 한다는 것이다.
  ‘무열을 무루라고 한다’고 함은 번뇌를 임시로 열이라고 이름하고 선정[定]에 번뇌가 없는 것을 무루(無漏)라고 한다.
  ‘기미는 애상응이다’고 함은 말하자면 선(禪)ㆍ무색정이 애상응으로서 이것을 빠짐없이 갖춰 함께 서로 호응하고 함께 행하는 것을 미상응(味相應)이라고 한다.
  ‘최상에는 무루도 없다’고 함에서 최상이란 비상비비상처를 말한다. 그 중
  
[86 / 142] 쪽
  에는 무루가 없으니 빠르게 행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에는 세 가지[三種]12)가 있고, 나머지에도 세 가지가 있다.
  [문] 선(禪)은 어떠한 성(性)을 소유하는가?
  
  [답] 다섯 갈래로서 각(覺)과 관(觀)이 있고
   또한 세 가지 통(痛)이 있다.
   약간의 종류와 네 가지 마음[心]이 있으니
   소위 이것이 초선이다.
  
  ‘다섯 갈래’라고 함은, 이른바 다섯 갈래가 초선을 섭수하고 견고하게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것을 따라 각ㆍ관ㆍ희ㆍ락ㆍ일심이라는 이름을 얻는다. 각은 선정에 들어갈 때에 마땅히 선한 공덕을 생하고, 비로소 거친 마음으로 사유하는 것을 말하고, 관은 마음을 미세하게 상속하고 서로 연결시키는 것을 이름한다. 희(喜)는 선정 중에서 기쁘고 즐거워하는 것을 말하고, 낙(樂)은 이미 기뻐하는 몸과 마음 중에서 안온하고 쾌락한 것을 말한다. 일심(一心)은 대상 가운데에 마음을 오로지 하여 흩어지지 않는 것을 말하는 것이니 이는 선정에 머물 때의 종류들이다. 이 지(枝)는 들어갈 때와 나올 때도 있다. 그러므로 다섯 가지는 초선이다.
  ‘각과 관이 있다’고 함은 유각과 유관이 곧 초선이라는 것이다.
  [문] 다섯 갈래를 받는데 지금의 각과 관은 어떻게 쓰이는가?
  [답] 갈래는 선(善)을 말하는 것이다. 이는 다섯 갈래 속에 있다. 더러움과 무기도 역시 각과 관이 있지만 이들은 착한 것이 아니라고 한다.
  ‘또한 세 가지 통이 있다’고 함은 초선에는 낙근과 희근과 호근(護根)의 세 가지 느낌이 있음을 말한다. 통 중에서 낙근은 신통(身痛), 희근은 의지(意地), 호근은 네 가지 식(識)에 있다.
  ‘약간의 종류’라고 했는데, 범세(梵世) 중에는 약간의 종류가 있어서 위가 있고 아래가 있다. 이것을 구족생처(具足生處)라고 말한다.
  
  
12) 이본에는 ‘두 가지[二種]’로 되어 있다.
[87 / 142] 쪽
  ‘네 가지 마음’이란, 초선에 안식ㆍ이식ㆍ신식ㆍ의식의 네 가지 마음이 있는 것을 말한다.
  ‘소위 이것이 초선이다’고 함은 곧 이러한 일체의 모든 법이 초선임을 말한 것이다. 이미 초선을 설명하였으니 이제 제2선을 설명하겠다.
  
  두 가지 통과 약간의 종류가 있으니
  2선(禪)에는 네 갈래가 있다.
  다섯 갈래는 제3[第三]이니,
  이 선에서도 두 가지 통을 말한다.
  
  ‘두 가지 통’이란, 제2선에는 희근ㆍ호근의 두 가지 통이 있음을 말한다.
  ‘약간의 종류’란, 그 중에서 몸에 약간의 종류가 있다는 것이니, 이미 각과 관을 여의었기 때문이다. 약간의 마음이 있어, 혹은 때로 희근에 들어가고 혹은 때로 호근에 들어간다. 단지 희근은 근본이고 가장자리에 호근이 있다.
  ‘2선에는 네 가지가 있다’고 함은 제2선에 내정(內淨)ㆍ희ㆍ낙ㆍ일심의 네 가지 갈래가 있음을 말한다. 내정이란 바로 믿음이니, 여읨에 대하여 믿음을 일으키는 것이다. 이미 초선의 떠남을 얻으면 곧 이러한 생각을 지으니, 일체를 여의어야 하고 나머지 갈래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이런 종류는 제2선에서의 갈래이다.
  ‘다섯 갈래는 제3이다’고 함은 제3선에는 낙ㆍ호ㆍ염ㆍ지(智)ㆍ일심의 다섯 가지 갈래가 있음을 말한다. 낙은 의식지(意識地) 중의 낙근이고, 호(護)는 이미 즐거워졌으며 즐거움에서 나머지를 구하지 않는 것이다[말하기를 ‘호에는 비록 의근[義]이 있으나 갈래라고 부르지 말아야 한다’고 한다]. 염은 호의 방편으로서 버리지 않는 것이요, 지(智)는 즐겁지 않게 하는 것이며, 일심은 선정이니, 이런 종류가 제3선 중에서의 갈래이다.
  ‘이 선에도 두 가지 통을 말한다’고 함은 제3선에 낙근ㆍ호근의 두 가지 통이 있음을 말한다. 낙근은 근본이고, 호근은 가장자리이다.
  
  들이쉬고 내쉬는 숨을 여읜
  
[88 / 142] 쪽
  제4(第)에는 네 갈래가 있다.
  이 갈래는 소위 선(善)을 말하고
  다시 그 종류를 나눈다.
  
  ‘들이쉬고 내쉬는 숨을 여읜다’고 함에서 들이쉰다는 것은 [숨이] 들어오는 것이고 내쉰다는 것은 [숨이] 나가는 것이다. 이는 제4선 중에는 없다. 그것은 왜냐하면 선정의 힘으로 말미암아 몸의 모든 털구멍이 닫히기 때문이다.
  ‘제4에는 네 갈래가 있다’고 함은 제4선에는 불고불락ㆍ호ㆍ정념(淨念)ㆍ일심의 네 갈래가 있음을 말한다. 고락을 여읜 것을 구함이 불고불락이요, 나머지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문] 어떻게 선(禪)은 지와 상응하는가?
  [답] 이 갈래는 소위 선(善)을 말하니, 선한 선(禪)은 지상응(枝相應)으로서, 지는 더러움도 아니고 또한 무기도 아니다.
  ‘또다시 그 종류를 나눈다’고 함은 종류는 곳에 따라 이미 설명했음을 말하는 것이다. 이것은 나머지 곳에는 있지 않다는 것을 꼭 알아야 한다. 초선은 유각과 유관으로서 네 가지 마음과 같다. 이러한 종류를 말하는 것은 그 밖의 일체의 경지에서는 없다. 제4선에서는 들이쉬고 내쉬는 숨을 여의니, 이 세 가지 가운데 말하지 않은 것이 없다.
  이미 4선과 4무색정에 대하여 설명했으니, 이제 그 나머지를 설명해야겠다.
  [문] 세존께서는 근본의(根本依)가 있다고 말씀하셨다. 만약 욕을 여의지 않으면 아직 근본의는 없으나 무루의 공덕은 있다. 이 무루의 공덕은 어떠한 지(地)에 속하는가?
  [답] 미래선(未來禪)13)에 속한다. 또 세존의 말씀에 세 가지 선정[定]이 있으니, 유각유관(有覺有觀)과 무각소관(無覺少觀)과 무각무관(無覺無觀)이다. 그 중에서 초선은 유각유관이고, 제2선은 무각무관이다. 소위 무각소관정은 어떠한 지에 포섭되는가?
  
  
13) 초선에 이르기 직전의 준비과정을 말한다.


아비담심론 > 아비담심론 제3권 > 7. 정품(定品) > 89 - 98쪽
K.959 (28-355), T.1550 (28-809)
[89 / 142] 쪽
  [답] 이것은 중간선(中間禪)에 포섭된다. 미래선과 중간선의 모습을 이제 설명하겠다.
  
  상응하는 각과 관이 있는 것은
  함께 미래선에 해당된다.
  관과 상응의 중간이라는 것은
  밝은 지혜 가지신 분의 말씀이다.
  
  ‘상응하는 각과 관이 있는 것은 함께 미래선에 해당된다’고 함은 미래선 중에는 각이 있고 관도 있다는 것이다.
  ‘관과 상응의 중간이라는 것은 밝은 지혜 가지신 분의 말씀이다’고 함은 중간선에는 약간의 관이 있고 각은 없다는 것이다. 그것은 점점 마음이 그치는 것이다.
  
  무의(無依)인 것은 두 가지이니
  미상응(味相應)은 제외된다.
  중선(中禪)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모두 하나의 통을 말하게 된다.
  
  ‘무의인 것은 두 가지이니, 미상응은 제외된다’고 함은 미래선은 오로지 선한 유루와 무루라는 것이다. [선한] 유루란 정(淨)이고, 무루란 곧 번뇌가 없는 것이다.
  ‘중선에는 세 가지가 있다’고 함은 중간선에는 미(味)ㆍ정(淨)ㆍ무루의 세 가지가 있음을 말하니, 생사가 머물기 때문이다.
  ‘모두 하나의 통을 말하게 된다’고 함은 미래선과 중간선은 모두 한 가지 통이 있어서 호근이라는 것이다. 근본지(根本地)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미 모든 선정[定]을 설명하였다. 나머지 공덕 중에서 포섭하는 것을 이제 설명하겠다.
  
[90 / 142] 쪽
  삼마제(三摩提)가 있고 통(通)이 있으며
  무량이 있고 일체를 닦는다.
  제입(除入)과 여러 지(智)가 있으니
  해탈은 그 중에서 일어난다.
  
  ‘삼마제(三摩提, samādhi)’란 세 가지 삼마제, 곧 공(空)ㆍ무원(無願)ㆍ무상(無相)이니, 무루심에 결부되기 때문이다.
  ‘통이 있다’고 함은 여의족지(如意足智)ㆍ천이지ㆍ타심통지ㆍ억숙명지ㆍ생사지ㆍ누진통지의 여섯 가지 통이 있음을 말한다.
  ‘무량’이란 자ㆍ비ㆍ희ㆍ호(護)의 네 가지 무량을 말하며, 한량없는 중생을 경계로 하기 때문에 무량이라고 말한다.
  ‘일체를 닦는다’고 함은 열 가지 일체입(一切入)을 말하니, 지일체입(地一切入)과 수ㆍ화ㆍ풍ㆍ청ㆍ황ㆍ적ㆍ백일체입과 무량공처일체입ㆍ무량식처일체입이다. 모두 다 해(解)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일체입이다.
  ‘제입(除入)’이란 여덟 가지 제입을 말한다. 안에 아직 색에 대한 생각을 제거하지 않은 부정관(不淨觀)으로, 작은 것을 경계로 하는 것이 첫째요, 무량을 경계로 하는 것이 둘째이며, 색에 대한 생각을 제거하고 작은 것을 경계로 하는 것은 셋째이고, 무량을 경계로 하는 것은 넷째이다. 다시 색에 대한 생각을 제거하고 청ㆍ황ㆍ적ㆍ백을 관찰하는 제입이 있으니, 경계를 제거하여 맑히므로 제입이라고 말한다.
  ‘여러 지’란 열 가지가 있으니,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
  ‘해탈’이란 여덟 가지 해탈을 말한다. 아직 색에 대한 생각을 제거하지 않고 깨끗하지 않은 것을 사유하는 것이 첫째이고, 색에 대한 생각을 제거하고 깨끗하지 않은 것을 사유하는 것이 둘째이며, 깨끗한 것을 사유하는 것이 셋째이고, 네 가지 무색과 멸진정이 있다. 경계를 등진 채 향하지 않으므로 해탈이라고 말한다.
  ‘그 중에서 일어난다’고 함은 이 모든 공덕은 아홉 가지 경지[地]14)에서 얻
  
  
14) 욕계 및 4선ㆍ4무색을 가리킨다.
[91 / 142] 쪽
  을 수 있고, 아울러 가운데에서 일어난다는 것이다[말하기를 ‘10지(地)에 호응한다’고 한다].
  이미 모든 공덕을 설명하였다. 지(地)에 따라 얻을 수 있는 것을 이제 설명하겠다.
  
  하나의 혜(慧)와 비(悲)와 호(護)와
  자(慈)가 있고 또한 5통(通)이 있으니,
  4선(禪) 중에 두루 한다고 말하며
  여섯 가지 가운데 현지(現智)가 있다.
  
  ‘하나의 혜(慧)와 비(悲)와 호(護)와 자(慈)가 있고 또한 5통(通)이 있으니, 4선(禪) 중에 두루 한다고 말한다’고 함은 하나의 지혜인 소위 타심지와 세 가지 무량과 다섯 가지 통은 그 일체의 공덕이 모두 근본 4선 중에 있고 나머지는 아니라는 것이다.
  ‘여섯 가지 가운데 현지가 있다’고 함에서 현지란 법지를 말한다. 이 법지는 여섯 지(地) 중에 있으니, 즉 근본 4선과 미래선과 중간선이다.
  
  제입(除入) 중에서 넷을 말하고
  그 중에서 또한 희(喜)가 있는 것과
  초해탈과 그리고 두 번째의
  공덕은 초선과 2선(禪)이다.
  
  앞의 네 가지 제입과 희 등과 첫 번째와 두 번째 해탈의 공덕은 초선과 제2선 사이에 있고 나머지는 아니다.
  
  그 나머지 네 가지 제입과
  한 가지 해탈과 또한
  여덟 가지 일체입을 말씀하시어
  부처님께서는 최상의 선이라고 하셨다.
  
[92 / 142] 쪽
  뒤의 네 가지 제입과 정해탈(淨解脫)15)과 앞의 여덟 가지 모든 입은 그 공덕이 제4선 중에 있고 나머지는 아니다.
  
  나머지 해탈[脫]은 이름으로 말하고
  두 가지 일체 입도 역시 그러하다.
  멸진은 가장 뒤에 있고
  나머지는 아홉이니 소위 무루이다.
  
  ‘나머지 해탈은 이름으로 말하고, 두 가지 일체도 역시 그러하다’고 함은 나머지 네 가지 해탈은 자기 이름이 말하는 것이고, 그리고 두 가지 일체 입도 역시 이와 같다는 것이다. 무량공처해탈과 무량공처일체입은 무량공처 중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해서 비상비비상처에 이른다.
  ‘멸진은 가장 뒤에 있다’고 함은 멸진정은 비상비비상처에 포섭되는 것이라는 말이다. 그것은 왜냐하면 아직 그 욕을 여의지 못한 채 또한 들어가기 때문이다.
  ‘나머지는 아홉이니 소위 무루이다’고 함은 나머지 무루법은 아홉 가지 지(地)에 포섭된다는 말이다. 세 가지 삼마제와 일곱 가지 지(智)와 누진통과 같은 것은 아홉 가지 경지[地]에 포섭되는 것이다. 4선과 세 가지 무색과 미래와 중간의 등지는 열 가지 경지에 포섭된다. 이는 또한 비상비비상처에서도 얻을 수 있으니, 정해진 것이기 때문이다.
  [문] 이들 공덕 중 몇 가지가 유루이고 몇 가지가 무루인가?
  
  [답] 세 가지 해탈은
   유루와 무루임을 알아야 한다.
   정(定)과 지(智)는 이미 분별하였으며
   나머지는 모두 유루이다.
  
  
15) 8해탈 중에서 세 번째를 가리킨다.
[93 / 142] 쪽
  ‘세 가지 해탈은 유루와 무루임을 알아야 한다’고 함은 무량공처ㆍ무량식처ㆍ무소유처해탈은 바로 유루와 무루라는 것이다.
  ‘정과 지는 이미 분별했다’고 함에서 정은「계경품(契經品)」에서 설명한 것과 같고, 무루지와 모든 통(通)은「지품(智品)」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나머지는 모두 유루이다’고 함은 나머지 일체의 공덕은 오로지 유루라는 것이다. 세 가지 통16)과 같은 것은 위의법(威儀法)이기 때문이고, 색ㆍ소리를 받는 모습이기 때문이다. 무량은 중생을 연하기 때문이고, 일체 입은 뜻으로 이해하고 희망하기 때문이다. 세 가지 해탈도 역시 이와 같다. 비상비비상처는 빠른 행이 아니기 때문이고, 상(想)과 지(智)를 멸하고 각과 관을 여의었기 때문이다. 제입도 역시 뜻으로 이해하고 희망하기 때문이다.
  이미 모든 공덕의 모습을 설명하였으니, 이제 그 성취를 설명하겠다.
  
  아직 욕계를 벗어나지 못한 사람은
  미선(味禪)과 상응하는 공덕을 성취한다.
  낮은 경지를 벗어나 아직 위에 이르지 못했으면
  깨끗한 여러 선정을 성취한다.
  
  ‘아직 욕계를 벗어나지 못한 사람을 미선과 상응하는 공덕을 성취한다’고 함은 말하자면 지(地)에서 만약 욕계를 벗어나지 않은 사람은 그 지에서 미선(味禪)과 상응하는 공덕을 성취한다는 것이다.
  ‘낮은 경지 벗어나 아직 위에 이르지 않으면 깨끗한 여러 선정을 성취한다’고 함은 말하자면 욕계의 욕을 여의었으나 아직 범세(梵世)의 위 경지에 태어나지 않았다면, 그는 깨끗한 초선과 초선지의 유루 공덕을 성취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일체를 알아야 한다.
  
  위에 머무는 방법 알아야 하니
  무루로써 선정[禪]을 성취한다.
  
  
16) 신족ㆍ천안ㆍ천이의 셋을 가리킨다.
[94 / 142] 쪽
  구하여 얻는 모든 공덕은
  욕이 없는 가운데에 있는 것이 아님을 알라.
  
  ‘위에 머무는 방법 마땅히 알아야 하니 무루로서 선정을 성취한다’고 함은 말하자면 아래 경지의 욕을 여의면 그는 위 경지에 머물고 또한 아래 경지의 무루를 성취한다는 것이다. 진리를 보고 욕을 여읜 범세의 위 경지에 머물면, 무루의 초선과 초선경지의 선정 등 모든 무루 공덕을 성취하는 것과 같다. 이와 같이 일체를 알아야 한다. 세속의 공덕은 태어나는 곳에 따라 묶여 있어도 무루는 끊는 것 속에 있다. 그러므로 태어나는 곳을 여의면 유루의 공덕을 버려도 무루는 버리지 않는다.
  ‘구하여 얻는 모든 공덕은 욕이 없는 가운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고 알라’고 함은 이미 아래 경지의 욕을 여의면 위의 공덕을 성취한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일체의 공덕은 욕계를 여읠 때에 얻는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여의족지ㆍ천안지ㆍ천이지와 같이 무기성의 소유이며, 욕(欲) 또한 멸진정이니, 이는 구하여 얻는 것이지 아래 경지의 욕을 여읠 때에 얻는 것이 아니다.
  이미 성취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니, 이제 인연을 설명하겠다. 선정의 종류에 스물셋이 있으니, 여덟 가지는 미상응이고 여덟 가지는 정(淨)이고, 일곱 가지는 무루이다.
  [문] 이들 하나하나의 종류는 몇 가지의 원인이 있는가?
  
  [답] 묘한 무루(無漏)ㆍ무염(無染)에는
   일곱 가지가 있으니 그것이 인이다.
   정(淨)과 미상응(味相應)의 선에는
   하나의 인이 있음을 알아야 한다.
  
  ‘묘한 무루ㆍ무염에는 일곱 가지가 있으니 그것이 인이다’고 함은 하나하나의 무루에는 일곱 가지의 자연인이 있고, 자기 경지의 상응인과 공인(共因)이 있음을 말한다.
  ‘정과 미상응선에는 하나의 인이 있음을 알아야 한다’고 함은 미상응의 초
  
[95 / 142] 쪽
  선은 미상응의 초선에서 인이고 나머지는 아니다. 그것은 선(善)의 인이 아니니, 서로 닮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머지 경지의 더러운 인이 아니니, 행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정(淨)의 초선은 정의 초선에서 인이 된다. 더러운 인이 아니니, 서로 같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루의 인도 아니니, 역시 서로 닮지 않았기 때문이며, 나머지 경지의 정선(淨禪) 인이 아니니, 자기 경지의 과보이고 자기 경지의 묶임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일체를 남김없이 알아야 한다.
  이미 인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니, 이제 차제연(次第緣)을 설명하겠다.
  [문] 하나하나의 차제마다 몇 가지 종류를 일으키는가?
  
  [답] 무루선의 차제에
   여섯 가지 선(禪)이 흥기한다.
   일곱ㆍ여덟ㆍ아홉ㆍ열 가지 선과
   또한 공정(空定)을 일으킨다.
  
  무루 초선의 차제에 여섯 가지 (선정을) 일으키니, 자기 경지의 정선(淨禪) 무루이다. 제2ㆍ제3선도 이와 같다. 무루 무소유처의 차제에 일곱 가지를 생하니, 자기의 경지의 둘과 아래 경지의 넷과 위 경지의 하나이다. 무루 제이선의 차제에 여덟 가지를 생하니, 자기 경지의 둘과 아래 경지의 둘과 위 경지의 넷이다. 무루 무량식처의 차제에 아홉 가지를 생하니, 자기 경지의 둘과 아래 경지의 넷과 위 경지의 셋이다. 나머지 무루의 차제에 열 가지를 생하니, 자기 경지의 둘과 아래 경지의 넷과 위 경지의 넷이다.
  
  정선[淨]은 여섯에서부터 일곱ㆍ여덟이 있고
  아홉과 열과 열하나를 생한다.
  미상응의 모든 선(禪)은
  둘을 일으켜 마침내는 열에서 그친다.
  
  ‘정선은 여섯에서부터 일곱과 여덟이 있고, 아홉과 열과 열하나를 생한다’
  
[96 / 142] 쪽
  고 함은 정선의 경우 비상비비상처의 차제에 여섯을 생하니 자기 경지의 미상응과 정선 아래 경지의 네 가지인 정선과 무루선의 무소유처와 무량식처이다. 미상응이 아니니, 욕을 여의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일체를 남김없이 알아야 하니, 일체는 자기 경지의 미상응이다.
  ‘미상응의 모든 선은 둘을 일으켜 마침내는 열에서 그친다’고 함은 미상응의 선의 차제에 둘을 생하니 자기 경지의 미상응과 정선이고 나머지는 생하지 않으니 각각 다르기 때문이며, 이와 같이 일체는 자기 경지의 둘과 아래 경지의 하나의 정선이다[말하기를 ‘아래 경지의 하나의 정선(淨禪)은 있을 수 없다’고 한다]. 일체의 미상응은 죽을 때에 생한다.
  이미 차제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니, 이제 연연(緣緣)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문] 하나하나마다 어떠한 종류를 연하는가?
  
  [답] 정선[淨]과 무루선은
   반드시 일체의 경지[地]를 연하며
   더러움과 상응하는 선은
   혼자 자기 경지를 연한다.
  
  ‘정선과 무루선은 반드시 일체의 경지를 연한다’고 함은 정선과 무루선은 일체의 경지에서 온갖 종류를 연한다는 것이다.
  ‘더러움과 상응하는 선은 혼자 자기 경지를 연한다’고 함은 미상응의 선정은 자기 경지의 미상응선과 정선을 연한다는 것이다. 무루는 아니니, 애(愛)는 무루를 연하는 것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다른 경지[地]를 즐기지 않는다.
  
  무색은 힘이 있어
  밑의 유루지를 연하는 일이 없다.
  선한 유(有)의 근본지이고
  더러움은 미선(味禪)과 같다.
  
[97 / 142] 쪽
  ‘무색은 힘이 있어 밑의 유루지를 연하는 것이 없다’고 함은 무색정은 아래 경지의 유루 선정을 연할 수 없으니 극히 적정(寂靜)하기 때문이다.
  [문] 왜 무색은 아래 경지의 유루법을 연할 수 없다고 하는가?
  [답] 선한 유의 근본지이다. 정선(淨禪)과 무루선의 근본의 무색은 곧 자신의 경지를 연하고 위의 경지도 연하지 아래 경지를 연하는 것이 아니다.
  ‘더러움은 미선과 같다’고 함은 미상응에서와 같이 무색을 말하는 것도 역시 그러하다는 것이다.
  
  나머지 색계에서
  무량 등의 공덕은
  반드시 욕계를 연한다는 것은
  세존께서 말씀하신 것이다.
  
  말하자면 색계의 나머지 공덕인 무량 등과 일체 입ㆍ제입 그리고 해탈과 같은 것은 오직 욕계를 연한다는 것이다. 한량없는 고(苦)를 받는 중생과 청(靑) 등의 모든 색을 연하니, 이는 곧 욕계이다. 그것은 왜냐하면 신통은 두 가지 경계[界]를 연하기 때문이다.
  [문] 세존께서 말씀하신 훈선(勳禪)은 어떤 것인가?
  [답] 훈은 일체 4선(禪)의 무루인 것으로서, 유루에서 닦으나 이는 무루의 힘 때문에 정거(淨居)의 과보를 받는다.17)
  [문] 만약 네 가지 선정을 모두 훈수한다면 무엇 때문에 아래 세 가지 선정 가운데에는 정거의 과가 없는가?
  
  [답] 능히 모든 선을 훈수할 때는
   제4선(第四禪)에 의지한다.
   세 경지[地]의 애욕이 다하므로
   정거와 과실천(果實天)18)에 태어난다.
  
  
17) 이른바 정거천(淨居天, Śuddhāvāsa)에 나는 것을 말한다.
18) 범어로는 Bṛhatphala. 광과천(廣果天)이라고도 한다.
[98 / 142] 쪽
  만약 제4선을 얻으면 능히 선을 훈수할 수 있게 된다. 제4선을 먼저 훈수하고 나머지는 뒤에 닦으니, 이른바 제4선을 얻어 3선(禪)의 욕을 여의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래 경지에서는 정거[의 과보]가 없으며, 과실천에 태어난다.
  [문] 세존께서는 원지(願智)가 있다고 말씀하셨는데 이것은 무엇인가?
  
  [답] 집착 없는 성품 동요하지 않아
   이로써 일체의 선정을 얻는다.
   그것은 선정의 힘에서 나오므로
   맨 위의 4선(禪)을 일으킨다.
  
  그 안에서 만약 그의 마음에 공덕이 생하면, 원지(願智)ㆍ부쟁(不諍)19)ㆍ변(辯)을 우두머리로 하는 모든 공덕이 있게 된다. 원지는 원하는 대로 입정(入定)하여 혹은 과거, 혹은 미래, 혹은 현재, 혹은 유위, 혹은 무위, 이 모두 다 아는 것이다. 부쟁이란 다른 것에 대해 마음으로 싸움을 일으키지 않으려고 하면 곧 일으키지 않는 것이다. 변은 모든 법의 뜻과 맛을 결정하여 의심 없고 거리낌 없이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다.
  [문] 이들 원지ㆍ부쟁ㆍ변은 어떠한 경지에 포섭되는가?
  
  [답] 세 가지 경지에 원지가 있으니
   무쟁은 다섯 가지 경지에 의지한다.
   법ㆍ사변(辭辯)은 둘에 의지하고
   두 가지 변은 아홉에 의지한다.
  
  ‘세 가지 경지에 원지가 있다’고 함은 원지는 세 가지 경지에 포섭된다는 것이다. 제4선과 초선과 욕계이다. 그리고 제4선에 들어가면 초선과 욕계를 알게 된다.
  
  
19) 원문의 부정(不淨)을 부쟁(不諍)으로 고쳐 읽는다.


아비담심론 > 아비담심론 제3권 > 7. 정품(定品) > 89 - 98쪽
K.959 (28-355), T.1550 (28-809)
[89 / 142] 쪽
  [답] 이것은 중간선(中間禪)에 포섭된다. 미래선과 중간선의 모습을 이제 설명하겠다.
  
  상응하는 각과 관이 있는 것은
  함께 미래선에 해당된다.
  관과 상응의 중간이라는 것은
  밝은 지혜 가지신 분의 말씀이다.
  
  ‘상응하는 각과 관이 있는 것은 함께 미래선에 해당된다’고 함은 미래선 중에는 각이 있고 관도 있다는 것이다.
  ‘관과 상응의 중간이라는 것은 밝은 지혜 가지신 분의 말씀이다’고 함은 중간선에는 약간의 관이 있고 각은 없다는 것이다. 그것은 점점 마음이 그치는 것이다.
  
  무의(無依)인 것은 두 가지이니
  미상응(味相應)은 제외된다.
  중선(中禪)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모두 하나의 통을 말하게 된다.
  
  ‘무의인 것은 두 가지이니, 미상응은 제외된다’고 함은 미래선은 오로지 선한 유루와 무루라는 것이다. [선한] 유루란 정(淨)이고, 무루란 곧 번뇌가 없는 것이다.
  ‘중선에는 세 가지가 있다’고 함은 중간선에는 미(味)ㆍ정(淨)ㆍ무루의 세 가지가 있음을 말하니, 생사가 머물기 때문이다.
  ‘모두 하나의 통을 말하게 된다’고 함은 미래선과 중간선은 모두 한 가지 통이 있어서 호근이라는 것이다. 근본지(根本地)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미 모든 선정[定]을 설명하였다. 나머지 공덕 중에서 포섭하는 것을 이제 설명하겠다.
  
[90 / 142] 쪽
  삼마제(三摩提)가 있고 통(通)이 있으며
  무량이 있고 일체를 닦는다.
  제입(除入)과 여러 지(智)가 있으니
  해탈은 그 중에서 일어난다.
  
  ‘삼마제(三摩提, samādhi)’란 세 가지 삼마제, 곧 공(空)ㆍ무원(無願)ㆍ무상(無相)이니, 무루심에 결부되기 때문이다.
  ‘통이 있다’고 함은 여의족지(如意足智)ㆍ천이지ㆍ타심통지ㆍ억숙명지ㆍ생사지ㆍ누진통지의 여섯 가지 통이 있음을 말한다.
  ‘무량’이란 자ㆍ비ㆍ희ㆍ호(護)의 네 가지 무량을 말하며, 한량없는 중생을 경계로 하기 때문에 무량이라고 말한다.
  ‘일체를 닦는다’고 함은 열 가지 일체입(一切入)을 말하니, 지일체입(地一切入)과 수ㆍ화ㆍ풍ㆍ청ㆍ황ㆍ적ㆍ백일체입과 무량공처일체입ㆍ무량식처일체입이다. 모두 다 해(解)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일체입이다.
  ‘제입(除入)’이란 여덟 가지 제입을 말한다. 안에 아직 색에 대한 생각을 제거하지 않은 부정관(不淨觀)으로, 작은 것을 경계로 하는 것이 첫째요, 무량을 경계로 하는 것이 둘째이며, 색에 대한 생각을 제거하고 작은 것을 경계로 하는 것은 셋째이고, 무량을 경계로 하는 것은 넷째이다. 다시 색에 대한 생각을 제거하고 청ㆍ황ㆍ적ㆍ백을 관찰하는 제입이 있으니, 경계를 제거하여 맑히므로 제입이라고 말한다.
  ‘여러 지’란 열 가지가 있으니,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
  ‘해탈’이란 여덟 가지 해탈을 말한다. 아직 색에 대한 생각을 제거하지 않고 깨끗하지 않은 것을 사유하는 것이 첫째이고, 색에 대한 생각을 제거하고 깨끗하지 않은 것을 사유하는 것이 둘째이며, 깨끗한 것을 사유하는 것이 셋째이고, 네 가지 무색과 멸진정이 있다. 경계를 등진 채 향하지 않으므로 해탈이라고 말한다.
  ‘그 중에서 일어난다’고 함은 이 모든 공덕은 아홉 가지 경지[地]14)에서 얻
  
  
14) 욕계 및 4선ㆍ4무색을 가리킨다.
[91 / 142] 쪽
  을 수 있고, 아울러 가운데에서 일어난다는 것이다[말하기를 ‘10지(地)에 호응한다’고 한다].
  이미 모든 공덕을 설명하였다. 지(地)에 따라 얻을 수 있는 것을 이제 설명하겠다.
  
  하나의 혜(慧)와 비(悲)와 호(護)와
  자(慈)가 있고 또한 5통(通)이 있으니,
  4선(禪) 중에 두루 한다고 말하며
  여섯 가지 가운데 현지(現智)가 있다.
  
  ‘하나의 혜(慧)와 비(悲)와 호(護)와 자(慈)가 있고 또한 5통(通)이 있으니, 4선(禪) 중에 두루 한다고 말한다’고 함은 하나의 지혜인 소위 타심지와 세 가지 무량과 다섯 가지 통은 그 일체의 공덕이 모두 근본 4선 중에 있고 나머지는 아니라는 것이다.
  ‘여섯 가지 가운데 현지가 있다’고 함에서 현지란 법지를 말한다. 이 법지는 여섯 지(地) 중에 있으니, 즉 근본 4선과 미래선과 중간선이다.
  
  제입(除入) 중에서 넷을 말하고
  그 중에서 또한 희(喜)가 있는 것과
  초해탈과 그리고 두 번째의
  공덕은 초선과 2선(禪)이다.
  
  앞의 네 가지 제입과 희 등과 첫 번째와 두 번째 해탈의 공덕은 초선과 제2선 사이에 있고 나머지는 아니다.
  
  그 나머지 네 가지 제입과
  한 가지 해탈과 또한
  여덟 가지 일체입을 말씀하시어
  부처님께서는 최상의 선이라고 하셨다.
  
[92 / 142] 쪽
  뒤의 네 가지 제입과 정해탈(淨解脫)15)과 앞의 여덟 가지 모든 입은 그 공덕이 제4선 중에 있고 나머지는 아니다.
  
  나머지 해탈[脫]은 이름으로 말하고
  두 가지 일체 입도 역시 그러하다.
  멸진은 가장 뒤에 있고
  나머지는 아홉이니 소위 무루이다.
  
  ‘나머지 해탈은 이름으로 말하고, 두 가지 일체도 역시 그러하다’고 함은 나머지 네 가지 해탈은 자기 이름이 말하는 것이고, 그리고 두 가지 일체 입도 역시 이와 같다는 것이다. 무량공처해탈과 무량공처일체입은 무량공처 중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해서 비상비비상처에 이른다.
  ‘멸진은 가장 뒤에 있다’고 함은 멸진정은 비상비비상처에 포섭되는 것이라는 말이다. 그것은 왜냐하면 아직 그 욕을 여의지 못한 채 또한 들어가기 때문이다.
  ‘나머지는 아홉이니 소위 무루이다’고 함은 나머지 무루법은 아홉 가지 지(地)에 포섭된다는 말이다. 세 가지 삼마제와 일곱 가지 지(智)와 누진통과 같은 것은 아홉 가지 경지[地]에 포섭되는 것이다. 4선과 세 가지 무색과 미래와 중간의 등지는 열 가지 경지에 포섭된다. 이는 또한 비상비비상처에서도 얻을 수 있으니, 정해진 것이기 때문이다.
  [문] 이들 공덕 중 몇 가지가 유루이고 몇 가지가 무루인가?
  
  [답] 세 가지 해탈은
   유루와 무루임을 알아야 한다.
   정(定)과 지(智)는 이미 분별하였으며
   나머지는 모두 유루이다.
  
  
15) 8해탈 중에서 세 번째를 가리킨다.
[93 / 142] 쪽
  ‘세 가지 해탈은 유루와 무루임을 알아야 한다’고 함은 무량공처ㆍ무량식처ㆍ무소유처해탈은 바로 유루와 무루라는 것이다.
  ‘정과 지는 이미 분별했다’고 함에서 정은「계경품(契經品)」에서 설명한 것과 같고, 무루지와 모든 통(通)은「지품(智品)」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나머지는 모두 유루이다’고 함은 나머지 일체의 공덕은 오로지 유루라는 것이다. 세 가지 통16)과 같은 것은 위의법(威儀法)이기 때문이고, 색ㆍ소리를 받는 모습이기 때문이다. 무량은 중생을 연하기 때문이고, 일체 입은 뜻으로 이해하고 희망하기 때문이다. 세 가지 해탈도 역시 이와 같다. 비상비비상처는 빠른 행이 아니기 때문이고, 상(想)과 지(智)를 멸하고 각과 관을 여의었기 때문이다. 제입도 역시 뜻으로 이해하고 희망하기 때문이다.
  이미 모든 공덕의 모습을 설명하였으니, 이제 그 성취를 설명하겠다.
  
  아직 욕계를 벗어나지 못한 사람은
  미선(味禪)과 상응하는 공덕을 성취한다.
  낮은 경지를 벗어나 아직 위에 이르지 못했으면
  깨끗한 여러 선정을 성취한다.
  
  ‘아직 욕계를 벗어나지 못한 사람을 미선과 상응하는 공덕을 성취한다’고 함은 말하자면 지(地)에서 만약 욕계를 벗어나지 않은 사람은 그 지에서 미선(味禪)과 상응하는 공덕을 성취한다는 것이다.
  ‘낮은 경지 벗어나 아직 위에 이르지 않으면 깨끗한 여러 선정을 성취한다’고 함은 말하자면 욕계의 욕을 여의었으나 아직 범세(梵世)의 위 경지에 태어나지 않았다면, 그는 깨끗한 초선과 초선지의 유루 공덕을 성취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일체를 알아야 한다.
  
  위에 머무는 방법 알아야 하니
  무루로써 선정[禪]을 성취한다.
  
  
16) 신족ㆍ천안ㆍ천이의 셋을 가리킨다.
[94 / 142] 쪽
  구하여 얻는 모든 공덕은
  욕이 없는 가운데에 있는 것이 아님을 알라.
  
  ‘위에 머무는 방법 마땅히 알아야 하니 무루로서 선정을 성취한다’고 함은 말하자면 아래 경지의 욕을 여의면 그는 위 경지에 머물고 또한 아래 경지의 무루를 성취한다는 것이다. 진리를 보고 욕을 여읜 범세의 위 경지에 머물면, 무루의 초선과 초선경지의 선정 등 모든 무루 공덕을 성취하는 것과 같다. 이와 같이 일체를 알아야 한다. 세속의 공덕은 태어나는 곳에 따라 묶여 있어도 무루는 끊는 것 속에 있다. 그러므로 태어나는 곳을 여의면 유루의 공덕을 버려도 무루는 버리지 않는다.
  ‘구하여 얻는 모든 공덕은 욕이 없는 가운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고 알라’고 함은 이미 아래 경지의 욕을 여의면 위의 공덕을 성취한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일체의 공덕은 욕계를 여읠 때에 얻는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여의족지ㆍ천안지ㆍ천이지와 같이 무기성의 소유이며, 욕(欲) 또한 멸진정이니, 이는 구하여 얻는 것이지 아래 경지의 욕을 여읠 때에 얻는 것이 아니다.
  이미 성취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니, 이제 인연을 설명하겠다. 선정의 종류에 스물셋이 있으니, 여덟 가지는 미상응이고 여덟 가지는 정(淨)이고, 일곱 가지는 무루이다.
  [문] 이들 하나하나의 종류는 몇 가지의 원인이 있는가?
  
  [답] 묘한 무루(無漏)ㆍ무염(無染)에는
   일곱 가지가 있으니 그것이 인이다.
   정(淨)과 미상응(味相應)의 선에는
   하나의 인이 있음을 알아야 한다.
  
  ‘묘한 무루ㆍ무염에는 일곱 가지가 있으니 그것이 인이다’고 함은 하나하나의 무루에는 일곱 가지의 자연인이 있고, 자기 경지의 상응인과 공인(共因)이 있음을 말한다.
  ‘정과 미상응선에는 하나의 인이 있음을 알아야 한다’고 함은 미상응의 초
  
[95 / 142] 쪽
  선은 미상응의 초선에서 인이고 나머지는 아니다. 그것은 선(善)의 인이 아니니, 서로 닮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머지 경지의 더러운 인이 아니니, 행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정(淨)의 초선은 정의 초선에서 인이 된다. 더러운 인이 아니니, 서로 같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루의 인도 아니니, 역시 서로 닮지 않았기 때문이며, 나머지 경지의 정선(淨禪) 인이 아니니, 자기 경지의 과보이고 자기 경지의 묶임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일체를 남김없이 알아야 한다.
  이미 인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니, 이제 차제연(次第緣)을 설명하겠다.
  [문] 하나하나의 차제마다 몇 가지 종류를 일으키는가?
  
  [답] 무루선의 차제에
   여섯 가지 선(禪)이 흥기한다.
   일곱ㆍ여덟ㆍ아홉ㆍ열 가지 선과
   또한 공정(空定)을 일으킨다.
  
  무루 초선의 차제에 여섯 가지 (선정을) 일으키니, 자기 경지의 정선(淨禪) 무루이다. 제2ㆍ제3선도 이와 같다. 무루 무소유처의 차제에 일곱 가지를 생하니, 자기의 경지의 둘과 아래 경지의 넷과 위 경지의 하나이다. 무루 제이선의 차제에 여덟 가지를 생하니, 자기 경지의 둘과 아래 경지의 둘과 위 경지의 넷이다. 무루 무량식처의 차제에 아홉 가지를 생하니, 자기 경지의 둘과 아래 경지의 넷과 위 경지의 셋이다. 나머지 무루의 차제에 열 가지를 생하니, 자기 경지의 둘과 아래 경지의 넷과 위 경지의 넷이다.
  
  정선[淨]은 여섯에서부터 일곱ㆍ여덟이 있고
  아홉과 열과 열하나를 생한다.
  미상응의 모든 선(禪)은
  둘을 일으켜 마침내는 열에서 그친다.
  
  ‘정선은 여섯에서부터 일곱과 여덟이 있고, 아홉과 열과 열하나를 생한다’
  
[96 / 142] 쪽
  고 함은 정선의 경우 비상비비상처의 차제에 여섯을 생하니 자기 경지의 미상응과 정선 아래 경지의 네 가지인 정선과 무루선의 무소유처와 무량식처이다. 미상응이 아니니, 욕을 여의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일체를 남김없이 알아야 하니, 일체는 자기 경지의 미상응이다.
  ‘미상응의 모든 선은 둘을 일으켜 마침내는 열에서 그친다’고 함은 미상응의 선의 차제에 둘을 생하니 자기 경지의 미상응과 정선이고 나머지는 생하지 않으니 각각 다르기 때문이며, 이와 같이 일체는 자기 경지의 둘과 아래 경지의 하나의 정선이다[말하기를 ‘아래 경지의 하나의 정선(淨禪)은 있을 수 없다’고 한다]. 일체의 미상응은 죽을 때에 생한다.
  이미 차제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니, 이제 연연(緣緣)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문] 하나하나마다 어떠한 종류를 연하는가?
  
  [답] 정선[淨]과 무루선은
   반드시 일체의 경지[地]를 연하며
   더러움과 상응하는 선은
   혼자 자기 경지를 연한다.
  
  ‘정선과 무루선은 반드시 일체의 경지를 연한다’고 함은 정선과 무루선은 일체의 경지에서 온갖 종류를 연한다는 것이다.
  ‘더러움과 상응하는 선은 혼자 자기 경지를 연한다’고 함은 미상응의 선정은 자기 경지의 미상응선과 정선을 연한다는 것이다. 무루는 아니니, 애(愛)는 무루를 연하는 것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다른 경지[地]를 즐기지 않는다.
  
  무색은 힘이 있어
  밑의 유루지를 연하는 일이 없다.
  선한 유(有)의 근본지이고
  더러움은 미선(味禪)과 같다.
  
[97 / 142] 쪽
  ‘무색은 힘이 있어 밑의 유루지를 연하는 것이 없다’고 함은 무색정은 아래 경지의 유루 선정을 연할 수 없으니 극히 적정(寂靜)하기 때문이다.
  [문] 왜 무색은 아래 경지의 유루법을 연할 수 없다고 하는가?
  [답] 선한 유의 근본지이다. 정선(淨禪)과 무루선의 근본의 무색은 곧 자신의 경지를 연하고 위의 경지도 연하지 아래 경지를 연하는 것이 아니다.
  ‘더러움은 미선과 같다’고 함은 미상응에서와 같이 무색을 말하는 것도 역시 그러하다는 것이다.
  
  나머지 색계에서
  무량 등의 공덕은
  반드시 욕계를 연한다는 것은
  세존께서 말씀하신 것이다.
  
  말하자면 색계의 나머지 공덕인 무량 등과 일체 입ㆍ제입 그리고 해탈과 같은 것은 오직 욕계를 연한다는 것이다. 한량없는 고(苦)를 받는 중생과 청(靑) 등의 모든 색을 연하니, 이는 곧 욕계이다. 그것은 왜냐하면 신통은 두 가지 경계[界]를 연하기 때문이다.
  [문] 세존께서 말씀하신 훈선(勳禪)은 어떤 것인가?
  [답] 훈은 일체 4선(禪)의 무루인 것으로서, 유루에서 닦으나 이는 무루의 힘 때문에 정거(淨居)의 과보를 받는다.17)
  [문] 만약 네 가지 선정을 모두 훈수한다면 무엇 때문에 아래 세 가지 선정 가운데에는 정거의 과가 없는가?
  
  [답] 능히 모든 선을 훈수할 때는
   제4선(第四禪)에 의지한다.
   세 경지[地]의 애욕이 다하므로
   정거와 과실천(果實天)18)에 태어난다.
  
  
17) 이른바 정거천(淨居天, Śuddhāvāsa)에 나는 것을 말한다.
18) 범어로는 Bṛhatphala. 광과천(廣果天)이라고도 한다.
[98 / 142] 쪽
  만약 제4선을 얻으면 능히 선을 훈수할 수 있게 된다. 제4선을 먼저 훈수하고 나머지는 뒤에 닦으니, 이른바 제4선을 얻어 3선(禪)의 욕을 여의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래 경지에서는 정거[의 과보]가 없으며, 과실천에 태어난다.
  [문] 세존께서는 원지(願智)가 있다고 말씀하셨는데 이것은 무엇인가?
  
  [답] 집착 없는 성품 동요하지 않아
   이로써 일체의 선정을 얻는다.
   그것은 선정의 힘에서 나오므로
   맨 위의 4선(禪)을 일으킨다.
  
  그 안에서 만약 그의 마음에 공덕이 생하면, 원지(願智)ㆍ부쟁(不諍)19)ㆍ변(辯)을 우두머리로 하는 모든 공덕이 있게 된다. 원지는 원하는 대로 입정(入定)하여 혹은 과거, 혹은 미래, 혹은 현재, 혹은 유위, 혹은 무위, 이 모두 다 아는 것이다. 부쟁이란 다른 것에 대해 마음으로 싸움을 일으키지 않으려고 하면 곧 일으키지 않는 것이다. 변은 모든 법의 뜻과 맛을 결정하여 의심 없고 거리낌 없이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다.
  [문] 이들 원지ㆍ부쟁ㆍ변은 어떠한 경지에 포섭되는가?
  
  [답] 세 가지 경지에 원지가 있으니
   무쟁은 다섯 가지 경지에 의지한다.
   법ㆍ사변(辭辯)은 둘에 의지하고
   두 가지 변은 아홉에 의지한다.
  
  ‘세 가지 경지에 원지가 있다’고 함은 원지는 세 가지 경지에 포섭된다는 것이다. 제4선과 초선과 욕계이다. 그리고 제4선에 들어가면 초선과 욕계를 알게 된다.
  
  
19) 원문의 부정(不淨)을 부쟁(不諍)으로 고쳐 읽는다.


아비담심론 > 아비담심론 제3권 > 7. 정품(定品) > 99 - 108쪽
K.959 (28-355), T.1550 (28-809)
[99 / 142] 쪽
  ‘무쟁은 다섯 가지 경지에 의지한다’고 함은, 무쟁은 다섯 가지 경지에서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근본 4선의 넷과 욕계로서, 일체를 다투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
  ‘법ㆍ사변은 둘에 의지한다’고 함에서 법변은 미(味)를 연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욕계와 범천세로서 위의 경지는 아니니, [위의 경지는] 각과 관을 여읜 것이기 때문이다. 사변은 미를 만들어 내는 지혜를 말한다. 그것도 역시 두 가지 경지 중에서 얻을 수 있으니, 욕계와 범천세이다.
  ‘두 가지 변은 아홉 가지에 의지한다’고 함은 의변(義辯)과 응변(應辯)은 아홉 가지 경지 중에서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니, 네 가지 선(禪)과 네 가지 무색과 욕계이다.
  이미 초선을 설명했으니, 마땅히 앞에서 설명한 미래선과 중간선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이는 초선과 한 권속이기 때문이다.
  [문] 어떻게 하여 이 선정[定]을 얻는가?
  
  [답] 욕을 끊고 또한 다시 태어나서
   깨끗한 선을 얻는다.
   더럽게 오염되어 물러나는 경우와 [다른 경지에] 태어나서도
   무루만이 오직 욕을 끊는다.
  
  ‘욕을 끊고 또한 다시 태어나서 깨끗한 선을 얻는다’고 함은 깨끗한 초선은 두 때에 얻는다는 것이다. 욕을 여읠 때와 위의 경지에서 죽어서 범천세에 태어날 때이다. 이와 같이 일체를 다 알아야만 한다.
  ‘더럽게 오염되어 물러나는 경우와 [다른 경지에] 태어난다’고 했는데, 더러움의 미상응은 물러날 때에 얻으니 만약 욕계와 범천세의 얽매임으로 인해 물러나면 그때에 미상응의 초선을 얻으며, 태어날 때에 얻는 것은 만약 위의 경지에서 목숨이 끝나 욕계와 범천세에 태어나면 이때에 미상응의 초선을 얻는다. 이와 같이 일체를 다 알아야만 한다.
  ‘무루만이 오직 욕을 끊는 것이다’고 함은 무루는 오직 욕을 끊을 때에 얻는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성인이 욕을 여의게 되면 그때에 무루의 초선을 얻
  
[100 / 142] 쪽
  는다. 이와 같이 일체를 모두 알아야만 한다.
  [문] 이들 공덕이 어떻게 능히 번뇌를 제거하는가?
  
  [답] 무루가 번뇌를 제거하는 것도
   또한 정(定)의 중간이고
   일체의 선정의 중간은
   호근과 상응한다.
  
  ‘무루가 번뇌를 제거한다’고 함은 무루의 초선 등 여덟 가지 지(地)20)에서 번뇌를 제거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일체를 모두 알아야만 한다.
  ‘또한 정의 중간’이라고 했는데, 정의 중간이란 말하자면 아래 경지의 욕을 제거하는 것을 말한 것이다. 방편도 때문에 끝내 근본을 얻지 못하고, 또 아직 욕계를 여의지도 못한다. 나머지는 제거할 수 없다.
  ‘일체의 선정의 중간은 호근과 상응한다’고 함은 온갖 선정의 중간은 호근 상응으로서 결국 기쁨을 얻지 못하고 또한 뜻을 얻는 데에 이르지 못함을 말한다.
  [문] 변화하는 마음에 몇 가지가 있는가? 말하자면 여의족이 있어 능히 변화한다.
  [답] 여덟 가지이니, 네 가지 선과(禪果)의 욕계와 네 가지 선과의 초선지(初禪地)이다.
  [문] 그것은 무엇이 성취하는가?
  
  [답] 아래 경지의 변화하는 마음을
   성취하는 것은 그 종류의 과이다.
   만약 세 가지 마음에 합하면
   위의 지라고 말해야 한다.
  
  
20) 4선과 4무색을 가리킨다.
[101 / 142] 쪽
  ‘아래 경지의 변화하는 마음을 성취하는 것은 그 종류의 결과이다’라고 함은 만약 선(禪)을 성취하면 그 결과인 아래 경지의 변화하는 마음을 성취한다는 것이다.
  [문] 설명한 것과 같이 초선에는 네 가지 마음21)이 있어서 위의 경지에 머물면서 들으려 하고 보려고 하는데, 그것은 어떻게 하여 보고 듣는가?
  [답] 범세지(梵世地)의 식별[識]이 눈앞에 드러나는 것이다.
  [문] 그것은 어떠한 때에 성취하는가?
  [답] 만약 세 가지 마음에 합하면 위의 경지라고 말해야 한다. 만약 때로 혹은 안식 혹은 비식 혹은 이식 혹은 신식의 식별이 눈앞에 드러난다면, 이때에 그 식별을 성취한다. 만약 눈앞에 드러나지 않는다면 곧 멸하여 이때에는 성취하지 못한다.
  
  
21) 안식(眼識)ㆍ이식(耳識)ㆍ신식(身識)ㆍ의식(意識)의 넷을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