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평창(常平倉)은 고려시대조선시대물가 조절 기관으로, 중국 전한 때부터 이어진 동명의 제도에서 유래하였다. 물가를 조절하였다는 점에서 현재의 한국은행한국조폐공사에 해당한다.

운용

편집

상평창은 이른바 흉년에는 백성들을 구하고, 풍년에는 농민들이 손해를 입지 않도록 한다는 정책에서 나온 것이다.

풍년에 곡가가 떨어지면 관에서 시가(市價)보다 비싸게 미곡을 사 두었다가 흉년에 곡가가 오르면 싸게 방출함으로써 곡가를 조정, 생활을 돕고자 한 것이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곡가가 등귀할 때에 고가로 포(布)를 사들였다가 곡가가 저락(低落)할 때에 염가로 미곡으로 바꾸게 하였다. 자연 재해 등으로 농민들의 삶이 어려워지면 국가가 상평창 같은 구휼제도를 실행하였다.[출처 필요]

고려의 상평창

편집

고려 성종 12년(993년) 개경(현재 개성)서경(현재 평양) 그리고 12목에 설치한 물가 조절을 위한 기관이다.

고려 때 정부에서는 물가를 조절하고 안정시키기 위하여 포(布) 32만 필로 쌀 6만 4천 섬을 바꾸어 5천 섬은 경시서(京市署)에 저축하여 두었다가 적절한 시기에 매매케 하였다. 나머지는 서경 및 주군창(州郡倉) 15개소에 나누어 저장하였는데, 서경의 것은 분사(分司)의 사헌대에 맡기고, 주군창의 것은 각각 지방 장관으로 하여금 관리 매매케 했다.

조선의 상평창

편집

조선 왕조에서도 이 제도는 존속되었고, 세조가 농사 시책에 용력(用力)하여 시행하였다. 상평창은 후에 이르러 물가의 조정뿐만 아니라 의창 대신 환곡제도까지 담당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상평창은 이자 1/10 (10%)을 납부해야하기 때문에 16세기 조선 중기로 넘어가면 고리대금업으로 변질, 훗날 조선의 환곡제도가 문란해지는 원인이 된다.

같이 보기

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고려의 정치·경제·사회구조〉, 〈경제체제의 해이〉"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