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물신성(commodity fetishism, 商品物神性)이란 마르크스주의 정치경제학에서, 사회적 관계가 인간 대 인간이 아니라 시장에서 교환되는 돈과 상품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일컫는 용어다. 상품이 물신숭배 됨으로써, 사람들은 주관적이고 추상적인 경제적 가치가 객관적이고 고유한 가치인 것처럼 받아들이게 된다.[1]

상품물신성 개념은 『자본론 제1권』제1편 1장 제4절에서 제시되었다. 마르크스가 상품의 가치형태를 분석한 바는 다음과 같다. 노동의 사회적 조직화는 시장에서의 교환, 즉 상품(제품과 용역)을 사고파는 것을 통해 조율되는데, 때문에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사람들 사이의 사회적 관계(누가 상품을 만들고, 누구를 위해 만들고, 상품을 만드는 데 투하된 생산시간이 얼마이고 등등)가 인간들 간의 관계가 아니라 상품들 간의 관계로 나타난다. 이로써 시장에서의 상품교환은 인간의 진실된 생산관계, 즉 노사관계를 은폐하는 역할을 한다.[2]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Isaak Illich Rubin said that "The theory of fetishism is, per se, the basis of Marx's entire economic system, and, in particular, of his theory of value." — Essays on Marx's Theory of Value. Montreal: Black Rose Books, 1990, p. 5.
  2. Fine, Ben; Saad-Filho, Alfredo (2004). Marx's Capital 4판. London: Pluto Press. 25–26쪽.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