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는 서울 지하철 8호선 개통과 함께 도입된 서울교통공사의 통근형 전동차로, 8000호대로 구분된다. 현재 총 6량 29개 편성(174량)이 운행하고 있다.
810편성 (서울교통공사 개편 전) | |
제작 및 운영 | |
---|---|
주 용도 |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제작사 |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우진산전, 다원시스 |
제작 연도 | 1995년 12월~1996년 6월, 1999년 2월~4월, 2023년 6월~2024년 1월, 2025년~2026년, 2027년 |
생산량 | 22개 편성 132량 |
사용량 | 29개 편성 174량 |
제원 | |
전장 | 19,500 mm |
전폭 | 3,120 mm |
전고 | 3,600 mm |
궤간 (mm) | 1,435 |
성능 | |
전기 방식 |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제어 방식 | 1차분: VVVF-GTO(GEC-Alstom) 1C4M제어 2차분: VVVF-IGBT(도시바) 2레벨 1C4M제어 3~4차분: VVVF-IGBT PMSM(도시바) |
기동가속도 | 3.0 km/h/s |
영업 최고 속도 | ATC/ATO 구간 80 km/h |
설계 최고 속도 | 100 km/h |
감속도 | 3.5(상용), 4.5(비상) km/h/s |
전동기 출력 | 210 kW |
구동 장치 | 유도전동기 |
제동 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보안 장치 | ATC/ATO [수동운전.자동운전] |
기술적 사양
편집1~2차 도입분 차량은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의 1~2차분과 아예 동일한 차량이다.
열차정보제어에는 TCMS를 사용하고 있으며, ATO를 사용한 1인 승무 구조로 되어 있다. 8호선 차량은 전 차량에 공중파 방식의 승강장 감시용 모니터를 추가로 장비하고 있다.
객실
편집2003년 2월 18일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강화된 철도차량의 내연기준에 따라 2004~2005년까지 전 차량의 내장재 리뉴얼을 완료하였다. 좌석은 무광택 스테인리스 재질로 변경되었으며, 단열재는 기존의 폼 소재에서 유리솜으로 객차간 통로의 차단막은 폴리염화비닐 수지에서 불연 고무 재질로 변경되었다. 객실 내장판은 기존의 FRP 수지에서 세라믹 도료를 덧씌운 금속 재질로 변경되었다. 그 외에도 화재 경보기와 객실 비상용 인터컴 등이 보강됐으며, 1차 도입분의 객실 유리창은 차량 노약자석을 제외하고 도입 당시의 상부 개폐식에서 통유리로 변경되었다.
이후 2010년에 전 차량에 대하여 안장 부분에 난연재 소재의 모켓 시트가 추가 설치되었으며, SMRT-MALL 사업의 일환으로 객실 내 LED 전광판이 LCD 모니터로 바뀌었다. 또한 방송장치가 통합 설정기로 교체되어 방송 음질이 다소 향상되었으며, 측면 LED 행선 표시기는 스크린도어의 설치로 보기 어렵게 된 사유로 한동안 작동시키지 않은 채 운행하다가 뒤이어 측면 행선 표시기를 제거한 후 그 자리에 2대 사업자의 와이파이 AP(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를 설치, 운용하고 있다. 이 사업이 추진되면서 5~7회에 달하여 송출된 발차 경고음 '딩동' 소리의 타이밍 등이 대폭 수정되기도 하였다.
편성
편집8호선 6량 편성
편집◇◇ | ◇◇ | |||||
81XX | 82XX | 84XX | 86XX | 87XX | 80XX | |
Tc | M1' | T | M2' | M1 | Tc | |
←별내 | ※XX는 편성 번호 | 모란→ |
객차번호 | 설치된 전장품 |
---|---|
81XX | Tc(SIV, 축전지) |
82XX | M1(펜터그래프, 주변환장치) |
84XX | T(무동력객차) |
86XX | M2(펜터그래프,공기압축기,주변환장치) |
87XX | M1(공기압축기, 주변환장치) |
80XX | Tc(SIV, 축전지) |
도입 역사
편집1996년 11월 23일에 8호선 잠실(송파구청)~모란 (남위례역 제외) 구간 개통과 함께 도입된 차량이다. 도입 당시엔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1~2차분,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 1차분과 동일하게 전두부 도색이 일자형 연결이었으나 2차분이 도입될 때 전두부 도색이 2차분과 똑같은 곡선형으로 변경되었다. 전두부에만 도색에 하얀색 띠가 있으며 측면 도색은 하얀색 띠가 없고 창문이 2분할 형식이며 측면에 비드(외벽 주름)이 있는게 특징이다. 소자는 프랑스-영국 GEC-알스톰(Alstom)사 GTO 인버터가 장착되었다. 도입 당시엔 안내방송 톤이 타 차량에 비해 높았고 출발 시 딩동 소리가 울리지 않았으나[1] 2012년에 방송이 개정되면서 딩동 소리가 3번 울리도록 변경되었다.
1999년 7월 2일에 8호선 잠실(송파구청)~암사 구간 개통과 함께 도입된 차량이다. 1차분과 달리 도색에 하얀색 띠가 있고 창문이 일체형이며 측면에 비드(외벽 주름)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차체가 스테인리스이면서 비드가 없는 차량은 서울지하철에선 이 열차가 최초이기도 하다.[2] 소자는 일본 도시바(Toshiba)사의 IGBT 인버터가 장착되었다. 8호선 6량 7개 편성은 시운전을 거쳐[3] 1999년 7월 2일 서울 지하철 8호선 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운행에 투입했다. 도입 당시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는 출발하면서 딩동 경고음이 7번 울렸으나 2012년 방송 개정을 통해서 1차분과 똑같이 출입문 폐문 시 딩동 경고음이 3번 울리도록 변경되었다.
도입 당시엔 총 7개 편성으로 821~822편성도 존재했으나 철산역 방화사건으로 인해서 752편성의 3량이 전소됨에 따라 822편성의 8122호, 8222호, 8722호가 752편성의 7152, 7252, 7352호로 편입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7호선의 열차 부족으로 인하여 821편성 전량과 822편성의 8422호(→7563호), 8622호(→7363호)(M'→M)를 재조합하여 763편성으로 만들어서 이적하였다. 그리고 남은 8022호는 인천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의 목업으로 사용됐고 현재는 불에 탄 7152호와 조합하여 도봉차량사업소에서 안전체험열차로 사용되고 있다.
2024년 8월 10일에 8호선 별내~암사 구간 개통과 함께 도입됐다. 기술적 사양은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5차분 중(401~426편성)차량,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중 4차분(501~525편성)차량,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 중 5차분(701~717편성)차량,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2세대 중 4차분(112~124, 126~129, 132, 135~138, 140~141, 143~144편성)과 동일하나 그 두 열차와 다르게 전두부에도 도색이 추가되었다. 소자는 일본 도시바의 PMSM이 장착되어, 게이힌 급행 전철 1000형 전동차를 비롯한 큐슈여객철도 305계 전동차과 흡사한 구동음이다.
1995년 12월~1996년 6월에 도입된 1차분의 노후 차량(801~815편성) 교체용으로 제작될 차량이다. 추진제어장치는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중 5차분(526~576편성)차량 일본 도시바의 PMSM이 장착되어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 중 차량 도봉산 옥정선, 청라연장분 개통한다.
1999년 2월~4월에 도입된 2차분의 노후 차량(816~820편성) 교체용으로 제작될 차량이다. 3~4, 6~7호선 혼잡도 완화 증차분 38량 및 순수 증차분 100량과 함께 1, 3~4, 6~8호선 총 328량 통합발주하기로 결정났다.
배속
편집- 수도권 전철 8호선
- 801~829편성: 모란차량사업소
현재 운행구간
편집● 수도권 전철 8호선: 별내~모란
현황
편집1~2차분
편집1차분(C801~C808편성)은 늦어도 2026년 12월 31일부터 운행 중지 및 폐차될 예정이고 1차분(C809~C815편성)은 늦어도 2027년 3월 15일까지 운행 중단 및 폐차될 예정이다. 2차분(C816~C820편성)은 2028년 1월 말부터 운행 중단 후 전량 폐차될 예정이다. C816, C819편성은 이르면 2027년 연내로 운행 중단될 예정이다.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
구 801 편성 | 1995년 | 운행 중 | |
구 802 편성 | 1996년 | 운행 중 |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
구 803 편성 | 운행 중 | ||
구 804 편성 | 운행 중 |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 |
구 805 편성 | 운행 중 | ||
구 806 편성 | 운행 중 | ||
구 807 편성 | 운행 중 | ||
구 808 편성 | 운행 중 | ||
구 809 편성 | 운행 중 | ||
구 810 편성 | 운행 중 | ||
구 811 편성 | 운행 중 | ||
구 812 편성 | 운행 중 | 8112호에 선로검측장치가 있다. | |
구 813 편성 | 운행 중 | 8113호에 선로검측장치가 있다. | |
구 814 편성 | 운행 중 | ||
구 815 편성 | 운행 중 |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 |
816 편성 | 1999년 | 운행 중 | |
817 편성 | 운행 중 | ||
818 편성 | 운행 중 | ||
819 편성 | 운행 중 | ||
820 편성 | 운행 중 | ||
구 821 편성 | 2010년 | ||
구 822 편성 | 2005년 |
3~5차분
편집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
801 편성 | 2025년 ~ 2026년 예정 | 제작 예정 | |
802 편성 | 제작 예정 | ||
803 편성 | 제작 예정 | ||
804 편성 | 제작 예정 | ||
805 편성 | 제작 예정 | ||
806 편성 | 제작 예정 | ||
807 편성 | 제작 예정 | ||
808 편성 | 제작 예정 | ||
809 편성 | 제작 예정 | ||
810 편성 | 제작 예정 | ||
811 편성 | 제작 예정 | ||
812 편성 | 제작 예정 | ||
813 편성 | 제작 예정 | ||
814 편성 | 제작 예정 | ||
815 편성 | 제작 예정 | ||
816 편성 | 2027년 예정 | 제작 예정 | |
817 편성 | 제작 예정 | ||
818 편성 | 제작 예정 | ||
819 편성 | 제작 예정 | ||
820 편성 | 제작 예정 | ||
821 편성 | 2023년 | 운행 중 |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
822 편성 | 운행 중 | ||
823 편성 | 운행 중 | ||
824 편성 | 운행 중 | ||
825 편성 | 운행 중 | ||
826 편성 | 운행 중 | ||
827 편성 | 2024년 | 운행 중 | |
828 편성 | 운행 중 | ||
829 편성 | 운행 중 |
특이 사항
편집1차 도입분의 반입 루트
편집수도권 전철 8호선 1차 도입분 중 가장 처음으로 반입된 3개 편성(801~803편성)은 수도권 전철 5호선 1차 도입분 27개 편성의 도입 과정과 마찬가지로 수서역 종단부에 설치된 수직 반출구(현재 철거)를 통하여 대형크레인으로 전동차를 수직 인양한 후 중대로상에 임시 설치되어 지하로 이어진 선로를 통해 반입된 차량이다. 나머지 12개 편성(804~815편성)은 서울역, 신설동역, 까치산역 인근의 연결선 및 방이역과 가락시장역을 잇는 연결선을 통하여 도입이 이루어졌다.
7호선 방화 사건에 따른 차량 이적
편집2005년 1월 3일에 일어난 방화 사건으로 인하여 752편성의 8량 중 3량이 전소된 사건이 일어났다. 전소된 3량 중 Tc 차량은 천왕차량기지 열차 운행 체험·교육실로 활용되고, 2량은 도봉차량기지에 보존하였다. 752편성의 나머지 5량은 822편성에서 차출된 3량과 재편성되어 운행을 재개했다. 822편성에서 남은 3량 중 부수차량 2량과 821편성 6량은 2010년 763편성으로 재편성되어 763편성으로서 7호선에 차출·투입되었으며, 822편성에 남은 8022호는 인천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 모형 차량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측면 안내 표시기 작동 중단
편집스크린도어 설치 이후 모든 측면 행선안내 표시기가 소등되었고, 서울교통공사 로고가 부착되었다.
2009년 8호선 1~2차분 802, 804~805, 815~816편성은 열차 양끝 칸 맨 앞에 자전거 거치대 설치가 이루어졌다.
사진
편집-
825편성 내부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당시 서울도시철도공사 5~8호선 중 7호선 1차분과 함께 유일하게 딩동 소리가 나지 않은 열차였다.
- ↑ 사족으로 전국 최초는 바로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 ↑ 전철8호선 미개통구간 시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