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일체유부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 산스크리트어: सर्वास्तिवाद sarvâsti-vāda 사르바스티바다)는 부파불교 시대의 종파 또는 부파들 중에서 가장 유력한 부파이며, 부파불교의 사상적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부파이다. 줄여서 유부(有部)라고도 한다.[1] 음역하여 살바다부(薩婆多部)라고도 한다.[2]
"설일체유부"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모든 법(一切法)이 존재하다(有)고 설명하는 부파(部)로, "과거, 현재, 미래의 3세에 걸쳐 법의 실체가 존재한다. 즉, 법의 실체는 항상 존재한다"라는 뜻의 삼세실유법체항유(三世實有法體恒有)는 설일체유부의 주장을 대표하는 명제이다.[1]
설일체유부의 대표적인 논서는 2세기 중엽 인도에서 카니슈카(재위 127~151)의 보호 아래 500인의 아라한이 편찬한[3] 《대비바사론(大毘婆沙論)》과 4세기에 세친(316?~396?)이 설일체유부의 설을 근간으로 하면서 필요시 경량부(經量部)의 설로 설일체유부의 설을 비판한 《구사론(俱舍論)》으로, 《구사론》에서는 일체법을 오위칠십오법(五位七十五法)으로 설명하고 있다.[1]
삼세실유법체항유
편집3세(三世)란 과거 · 현재 · 미래의 3세를 말하는 것이며 일체의 법이 이 3세에 걸쳐서 실재한다는 것이 "삼세실유법체항유(三世實有法體恒有)"라는 주장의 근저이다.[1]
이 주장이 근본불교의 무상설(無常說)이나 무아설(無我說)과 모순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생기는데, 유부(有部)에서는 현재세(現在世)를 일찰나(一刹那)로 보고 법체(法體)는 항유(恒有)이지만 찰나멸(刹那滅)로서 미래에서 현재를 통과하여 과거에 낙사(落謝)한다고 설명한다.[1]
여기서 유부(有部)의 설이 단순한 실재론(實在論)은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1] 즉 심리현상이 찰나멸인 것임은 말할 나위도 없으나 상주불변(常住不變)한 것처럼 보이는 것도 서서히 변화하고 있는 것이므로 그 변화는 결국 찰나 속에 있는 것이라는 것이다.[1]
그리고, 유부(有部)에서는 인간이나 집 · 산 등 찰나찰나의 연속 위에 성립하는 것은 실유(實有)의 법(法)으로는 되지 못하고 색(色)이나 형(形) · 향(香) · 맛 등 찰나에 존재하는 실유의 법에 결합하여서 성립하는 것도 가법(假法)이라고 말한다.[1]
오위칠십오법
편집유부(有部)에서는 실유의 법이란 이와 같이 가법으로서의 현상을 성립시키는 기체(基體: 要素)라고 하였으며, 그 기체들의 개수를 다음과 같이 체계적으로 헤아려 다음과 같이 총 72법이 있다고 하였다.[1]
- 물질계의 실유의 법(色法): 11종
- 정신계의 법: 마음의 주체(心王) 1종
- 감각 · 의지 · 욕망 등의 마음의 작용의 법(心所法): 46종
- 물질에도 정신에도 속하지 아니하는 법(心不相應行): 14종
유부(有部)에서는 이들 72법은 연기(緣起)되는 존재라고 해서 유위법(有爲法)이라고 하였다.[1] 그리고, 이 밖에 허공(虛空)과 택멸(열반), 비택멸의 연기(緣起)한 존재가 아닌 것 3종을 통틀어 무위법(無爲法)이라 하였다.[1]
이와 같이 유부(有部)에서는 일체법("모든 법 · 법 전체")을 유위법 4위와 무위법 1위의 5위로 조직하였고, 다시 그 5위는 75종의 법으로 분류된다고 하여 일체법("모든 법 · 법 전체")을 5위 75법으로 조직하였다.[1]
이러한 체계는 객관적 세계의 구성을 설명하려는 것은 아니고 주체적 현실에서의 일상생활의 성립, 선악의 행위와 결과의 관계, 마음의 자세, 번뇌와 그 단멸(斷滅)에 관한 이론체계를 의도한 것이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