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숙 억제제
성숙 억제제는 인체면역 결핍성 바이러스(HIV) 감염에 사용되는 항바이러스약물 계열 중 하나이다. 성숙 억제제는 바이러스의 증식과정을 저해한다. 특히 성숙과정 중 마지막 단계인 HIV-1 단백질 분해 효소가 gag 단백질의 전구체를 절단하는 과정에 관여하여 HIV-1 gag 단백질의 가공을 저해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단백질 분해 효소 억제제 계열의 약물과는 다르게 성숙 억제제는 단백질분해효소(프로테아제)가 아닌 gag 단백질에 결합한다. 이러한 과정은 감염성이 없고, 미성숙하며 다른 세포들을 공격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진 바이러스 조각들을 만들어낸다. 후천성면역결핍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다른 억제제들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기 때문에 이러한 성숙 억제제 계열의 약물은 내성을 가진 HIV 감염자들에 대한 바이러스 억제 효과 및 효력을 유지한다.[1][2][3][4]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성숙억제제 계열의 약물은 없으나 여러 약물 후보 물질에 대한 임상과정이 진행 중이다. 임상 과정에 처음으로 도입되어 사람에게 시험된 약물은 베비리맷트(bevirimat)이며[5] 다른 하나는 MPC-9055(비베콘, vivecon)이다.[6] 이 두 약물 모두 미리어드 제네틱스에서 개발되었으나 2010년에 성숙억제제 계열 약물 개발 프로그램을 중단하였다.[7]
각주
편집- ↑ Salzwedel K, Martin DE, Sakalian M (2007). “Maturation inhibitors: a new therapeutic class targets the virus structure”. 《AIDS Rev》 9 (3): 162–72. PMID 17982941. 2016년 8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6월 11일에 확인함.
- ↑ Adamson CS, Salzwedel K, Freed EO (August 2009). “Virus maturation as a new HIV-1 therapeutic target”. 《Expert Opin. Ther. Targets》 13 (8): 895–908. doi:10.1517/14728220903039714. PMC 2737327. PMID 19534569.
- ↑ Waheed AA, Freed EO (January 2012). “HIV type 1 gag as a target for antiviral therapy”. 《AIDS Res. Hum. Retroviruses》 28 (1): 54–75. doi:10.1089/AID.2011.0230. PMC 3251841. PMID 21848364.
- ↑ Jiang Y, Liu X, de Clercq E (2011). “New therapeutic approaches targeted at the late stages of the HIV-1 replication cycle”. 《Curr. Med. Chem.》 18 (1): 16–28. doi:10.2174/092986711793979751. PMID 21110817.
- ↑ Stoddart CA, Joshi P, Sloan B, Bare JC, Smith PC, Allaway GP, Wild CT, Martin DE (2007). “Potent activity of the HIV-1 maturation inhibitor bevirimat in SCID-hu Thy/Liv mice”. 《PLoS ONE》 2 (11): e1251. doi:10.1371/journal.pone.0001251. PMC 2080775. PMID 18043758.
- ↑ “New HIV maturation inhibitor MPC-9055”. National AIDS Treatment Advocacy Project. 2008년 9월 17일. 2012년 6월 10일에 확인함.
- ↑ “Myriad Genetics suspends its HIV Maturation Inhibitor Program”. AIDSmeds. 2012년 6월 8일. 2015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6월 27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