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숙 억제제는 인체면역 결핍성 바이러스(HIV) 감염에 사용되는 항바이러스약물 계열 중 하나이다. 성숙 억제제는 바이러스의 증식과정을 저해한다. 특히 성숙과정 중 마지막 단계인 HIV-1 단백질 분해 효소가 gag 단백질의 전구체를 절단하는 과정에 관여하여 HIV-1 gag 단백질의 가공을 저해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단백질 분해 효소 억제제 계열의 약물과는 다르게 성숙 억제제는 단백질분해효소(프로테아제)가 아닌 gag 단백질에 결합한다. 이러한 과정은 감염성이 없고, 미성숙하며 다른 세포들을 공격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진 바이러스 조각들을 만들어낸다. 후천성면역결핍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다른 억제제들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기 때문에 이러한 성숙 억제제 계열의 약물은 내성을 가진 HIV 감염자들에 대한 바이러스 억제 효과 및 효력을 유지한다.[1][2][3][4]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성숙억제제 계열의 약물은 없으나 여러 약물 후보 물질에 대한 임상과정이 진행 중이다. 임상 과정에 처음으로 도입되어 사람에게 시험된 약물은 베비리맷트(bevirimat)이며[5] 다른 하나는 MPC-9055(비베콘, vivecon)이다.[6] 이 두 약물 모두 미리어드 제네틱스에서 개발되었으나 2010년에 성숙억제제 계열 약물 개발 프로그램을 중단하였다.[7]

각주

편집
  1. Salzwedel K, Martin DE, Sakalian M (2007). “Maturation inhibitors: a new therapeutic class targets the virus structure”. 《AIDS Rev》 9 (3): 162–72. PMID 17982941. 2016년 8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6월 11일에 확인함. 
  2. Adamson CS, Salzwedel K, Freed EO (August 2009). “Virus maturation as a new HIV-1 therapeutic target”. 《Expert Opin. Ther. Targets》 13 (8): 895–908. doi:10.1517/14728220903039714. PMC 2737327. PMID 19534569. 
  3. Waheed AA, Freed EO (January 2012). “HIV type 1 gag as a target for antiviral therapy”. 《AIDS Res. Hum. Retroviruses》 28 (1): 54–75. doi:10.1089/AID.2011.0230. PMC 3251841. PMID 21848364. 
  4. Jiang Y, Liu X, de Clercq E (2011). “New therapeutic approaches targeted at the late stages of the HIV-1 replication cycle”. 《Curr. Med. Chem.》 18 (1): 16–28. doi:10.2174/092986711793979751. PMID 21110817. 
  5. Stoddart CA, Joshi P, Sloan B, Bare JC, Smith PC, Allaway GP, Wild CT, Martin DE (2007). “Potent activity of the HIV-1 maturation inhibitor bevirimat in SCID-hu Thy/Liv mice”. 《PLoS ONE》 2 (11): e1251. doi:10.1371/journal.pone.0001251. PMC 2080775. PMID 18043758.   
  6. “New HIV maturation inhibitor MPC-9055”. National AIDS Treatment Advocacy Project. 2008년 9월 17일. 2012년 6월 10일에 확인함. 
  7. “Myriad Genetics suspends its HIV Maturation Inhibitor Program”. AIDSmeds. 2012년 6월 8일. 2015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6월 27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