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 논리학
수리논리학(數理論理學, 영어: mathematical logic) 또는 기호논리학은 논리학에서 사용하는 명제들을 수학적인 기호로 표시하는 학문이다. 고틀로프 프레게, 버트런드 러셀, 폴 조지프 코언 등이 개척한 분야로서 일상 언어와 같은 자연언어의 사용에서 올수있는 복잡성과 오류의 용이성을 제거하고 명제를 효과적으로 쉽게 다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입한 현대 논리학 이론으로서, 기호를 많이 사용하여 '기호 논리학'(symbolic logic)이라고도 한다. 컴퓨터 과학 및 철학논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1][2]
수리 논리학 | |
---|---|
학문명 | 수리논리학 |
이 분야는 논리학 및 형식논리의 타 분야로의 응용에 관한 수학적 연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통합적으로는 형식 체계의 표현력과 형식 증명 체계의 연역 가능성에 관한 연구를 포함한다.[3][4][5]
수리논리학은 종종 집합론, 모형 이론, 재귀 이론, 증명 이론, 구성적 수학 등의 하위 분야로 나뉜다. 이 분야들은 공통적으로 1차 논리와 정의가능성 등의 기본적인 논리학적 결과들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수리논리학은 처음 출현한 이후 줄곧 수학기초론의 연구와 영향을 주고 받았다. 이 연구는 19세기 말 기하학, 대수학, 해석학의 공리적 구조의 개발과 함께 시작되었다. 20세기 초에는 수학기초론의 무모순성을 증명하려는 다비트 힐베르트의 연구에 의해 다듬어졌다. 쿠르트 괴델과 게르하르트 겐첸 등은 그 연구에 일부 해결 방법을 제시하였고 무모순성 증명과 관련한 문제들을 명확히 하였다. 비록 몇몇 정리들이 집합 이론의 공리 체계에서 증명 불가능하지만, 집합 이론에서의 연구는 거의 모든 일반적인 수학은 집합의 형태로 형식화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수학기초론에서 최근의 연구는 종종 모든 수학을 전개할 수 있는 이론을 찾기보다는 수학의 어느 부분이 특정 형식 체계에서 형식화할 수 있는지 찾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기호의 예
편집언어 | 기호 |
---|---|
그리고 | |
또는 | |
만일 A 이면 B 이다 | |
아니다 |
추론 형식
편집형식 | 구조 | 추론 |
---|---|---|
F1 | 전가언 3단논법(3명제 모두가 가언 명제) | 간접추론 |
F2 | 혼합가언 전건긍정 3단논법(대전제 가언 ·소전제 정언 명제) | 간접추론 |
F3 | 혼합가언 후건부정 3단논법(대전제 가언·소전제 정언) | 간접추론 |
F4 | 혼합선언 부정3단논법(대전제 선언 명제·소전제 정언) | 간접추론 |
F5 | 드 모르간의 법칙 |
직접추론 |
F6 | 연언 명제 | 직접추론 |
F7 | 연언 명제의 분리(Conjunction Elimination) | 직접추론 |
F8 | 이중부정 | 직접추론 |
고전 논리학과 기호 논리학의 비교
편집명제 | 고전 논리학 | 기호논리학의 기호화 | 기호논리학의 근거제시 |
---|---|---|---|
전제 1 | 만약 A가 B라면 C가 아니거나 D이다. | (-C) | |
전제 2 | A는 E이거나 또는 C이다. | (E) | |
전제 3 | A는 B이다. | ||
전제 4 | A는 D가 아니다. | ||
결론1 | A는 C가 아니다. | 전제1,전제4, F3 | |
결론2 | A는 E이다. | 전제2,결론1, F3 |
기호논리학은 복잡한 자연언어의 문장들로 구성된 추론들로부터 기호화된 추론 형식을 적용함으로써 타당성 검증이 가능하게 한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안동환. 美 수리논리학 개척자 코헨 사망. 서울신문. 2007년 4월 3일.
- ↑ 이성주. '시리'가 아직까지 말귀를 못 알아듣는 까닭. 블로터. 2015년 5월 14일.
- ↑ 오정연. '벤 다이어그램'의 창시자 수학자 존 벤 탄생 180주년. 대전일보. 2014년 8월 5일.
- ↑ 김대수. (김대수의 수학 어드벤처)디지털의 출발점은 논리학자 아리스토텔레스. 중앙SUNDAY. 2014년 11월 9일.
- ↑ 김대수. (김대수의 수학 어드벤처)19세기에 디지털 시대 터 닦은 불멸의 수학자들. 중앙SUNDAY. 2015년 3월 1일.
참고 문헌
편집- 林禎垈 (1982년 11월). 《數理論理學》. 연세대학교 출판부. ISBN 89-7141-226-7. 2015년 4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24일에 확인함.
- Kleene, S. C. (1997). 《數理論理學》. 朴漢植 역. 교학연구사. ISBN 978-89-3540174-1.
- Kleene, S. C. (1967). 《Mathematical logic》 (영어). Wiley. Zbl 0149.24309.
- 鄭祚燮 (1993). 《經濟分析과 數理論理學》. 경제 과학 시리즈 1. 중앙대학교 출판부.
- 尹英洙 (1981). 《數理論理學》. 형설출판사.
- 손병홍 (2008). 《논리학: 명제논리와 술어논리》. 장서원. ISBN 978-89-9127359-7.
- Enderton, Herbert B. (2002). 《A mathematical introduction to logic》 (영어) 2판. Academic Press. doi:10.1016/B978-0-08-049646-7.50001-1. ISBN 978-0-12-238452-3. Zbl 0992.03001. 2014년 11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24일에 확인함.
이 글은 수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이 글은 컴퓨터 과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