뢰벤하임-스콜렘 정리
모형 이론에서 뢰벤하임-스콜렘 정리(Löwenheim-Skolem定理, 영어: Löwenheim–Skolem theorem)는 논리적 언어의 특정한 크기를 갖는 모형의 존재에 대한 정리다. 1차 논리의 중요한 특성 가운데 하나이다.
정의
편집고차 논리에서의 부재
편집표준 모형(영어: standard model)을 갖춘 고차 논리에서는 뢰벤하임-스콜렘 정리가 성립하지 않는다.[3] 다만, 고차 논리에서 헹킨 모형(영어: Henkin model 또는 영어: general model)을 사용하면, 고차 논리는 사실상 1차 논리가 된다. 이 경우, 뢰벤하임-스콜렘 정리가 자명하게 적용된다.
증명
편집뢰벤하임-스콜렘 정리는 다음과 같이 증명될 수 있다.
하향 뢰벤하임-스콜렘 정리
편집임의의 자연수 및 의 각 1차 논리 명제 에 대하여, 선택 공리를 사용하여 다음 성질을 만족시키는 함수 를 정의할 수 있다.
- 이거나, 아니면 이다.
이러한 함수를 스콜렘 함수(영어: Skolem function) 에 대하여, 다음을 정의하자.
를 로 놓으면, 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다. 그렇다면
는 타르스키-보트 판정법(영어: Tarski–Vaught test)에 따라서 의 기본 부분 구조이며,
이다.
상향 뢰벤하임-스콜렘 정리
편집부호수 에, 의 각 원소에 대응하는 0항 연산을 추가한 부호수 을 정의하자. 그렇다면, 의 에 대한 이론 을 생각하자. 이를 의 기본 도표(영어: elementary diagram)라고 한다. 에 개의 새 0항 연산 를 추가하고, 기본 도표 에 개의 명제
를 추가하자. 이 이론은 콤팩트성 정리에 따라 모형을 가지며, 그 모형의 크기는 항상 이상이다. 그렇다면 이 모형에서 추가한 0항 연산들을 망각하고, 하향 뢰벤하임-스콜렘 정리를 사용하여 크기가 정확히 인 -모형을 찾을 수 있으며, 이 모형은 정의에 따라 을 기본 부분 구조로 갖는다.
예
편집1차 논리로 서술된 집합론(예를 들어, 선택 공리를 추가한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을 생각하자. 만약 이 집합론이 충분히 강력하다면, 이 집합론에서 비가산 집합의 존재를 증명할 수 있다. 그러나 하향 뢰벤하임-스콜렘 정리에 따르면 이 집합론은 가산 무한 모형을 가진다. 이를 스콜렘 역설(영어: Skolem’s paradox)이라고 하며, 토랄프 스콜렘이 1922년에 지적하였다.[4]
스콜렘 역설은 모순이 아니며, 다음과 같이 해소된다. 집합론에서는 함수 역시 집합의 일종으로 구현된다. 비가산 집합의 존재는 다음 성질을 만족시키는 집합 의 존재를 의미한다.
집합론의 가산 모형에서, 이는 다음과 같이 해석된다.
역사
편집독일의 수리논리학자 레오폴트 뢰벤하임(Leopold Löwenheim)과 노르웨이의 수리논리학자 토랄프 스콜렘이 1915년에 증명하였다.[2]:151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Marker, David (2002). 《Model theory: an introduction》.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217. Springer. doi:10.1007/b98860. ISBN 978-0-387-98760-6. ISSN 0072-5285. Zbl 1003.03034.
- ↑ 가 나 Enderton, Herbert B. (2002). 《A mathematical introduction to logic》 (영어) 2판. Academic Press. doi:10.1016/B978-0-08-049646-7.50001-1. ISBN 978-0-12-238452-3. Zbl 0992.03001. 2014년 11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24일에 확인함.
- ↑ Johan, van Benthem; Kees Doets (2001). 〈Higher-order logic〉 (PDF). D. M. Gabbay, F. Guenthner. 《Handbook of philosophical logic, volume 1》 (영어) 2판. Kluwer. 189–243쪽. doi:10.1007/978-94-015-9833-0_3. Zbl 1003.03513. 2017년 8월 1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25일에 확인함.
- ↑ Skolem, Thoralf (1923). 〈Einige Bemerkungen zur axiomatischen Begründung der Mengenlehre〉. 《Fünften Kongress der skandinavischen Mathematiker in Helsingfors vom 4. bis 7. Juli 1922》 (독일어). 217–232쪽. JFM 49.0138.02.
- Van Dalen, Dirk; Heinz-Dieter Ebbinghaus. “Zermelo and the Skolem paradox”. 《The Bulletin of Symbolic Logic》 (영어): 145–161. doi:10.2307/421203. JSTOR 421203. MR 1782347. Zbl 0976.03002.
- Ebbinghaus, Heinz-Dieter (2007). 〈Löwenheim-Skolem theorems〉. Dale Jacquette. 《Philosophy of logic》. Handbook of the Philosophy of Science (영어). North-Holland. 587–614쪽. doi:10.1016/B978-044451541-4/50018-X. ISBN 978-0-444-51541-4. Zbl 1107.03001.
- Bays, Timothy (2007). 〈The Mathematics of Skolem’s Paradox〉 (PDF). Dale Jacquette. 《Philosophy of logic》. Handbook of the Philosophy of Science (영어). North-Holland. 615–648쪽. doi:10.1016/B978-044451541-4/50019-1. ISBN 978-0-444-51541-4. Zbl 1107.03001.
외부 링크
편집- Weisstein, Eric Wolfgang. “Löwenheim-Skolem theorem”.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Weisstein, Eric Wolfgang. “Skolem paradox”.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Bays, Timothy (2014년 11월 11일). “Skolem’s paradox”.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영어).
- Suber, Peter (2002). “The Löwenheim-Skolem theorem” (영어).
- “Löwenheim-Skolem theorem”. 《nLab》 (영어).
- “Skolem's paradox”. 《nLab》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