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베리아 횡단 철도
시베리아 횡단 철도(러시아어: Транссибирская магистраль)는 유럽 과 러시아 극동과 아시아 동해안을 연결하는 러시아의 주요 철도 노선이다.[1] 총 연장은 9,288km로 세계에서 가장 긴 철도이다.[2] 시베리아 횡단 철도는 서쪽의 모스크바 야로슬랍스키역에서 시작되어 북한 원산역까지 이어져 있다.
시베리아 횡단 철도 | |
---|---|
기본 정보 | |
현황 | 운행 중 |
운행 국가 | 러시아 |
종류 | 지역, 통근 및 화물 |
상태 | 운행 중 |
기점 | 야로슬랍스키역 |
종점 | 블라디보스토크역 |
노선 색 | FF0000 |
개통일 | 1904년 6월 21일 |
공사 시작 | 1891년 3월 9일 |
소유자 | 러시아 정부 |
운영자 | 러시아 철도 |
노선 제원 | |
노선 거리 | 9,289km |
궤간 | 러시아 궤간 |
궤도 | 2 |
전철화 | 25 kV AC 전철화 |
러시아 제국 시절 알렉산드르 3세와 니콜라이 2세가 임명한 정부 관료들이 1891년부터 1916년까지 철도 건설을 감독했다. 완공되기 이전부터 많은 여행가들이 시베리아 횡단 철도를 타고 그 경험을 기록으로 남겼다.[3] 2021년 기준으로, 러시아 정부는 노선을 연장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몽골, 북한, 대한민국 등 러시아의 이웃 국가들과의 연결선도 계획하고 있다.[4][5] 러시아 사할린섬과 일본의 홋카이도를 다리로 연결하여 일본 도쿄까지 연결망을 확장하려는 계획 및 제안이 여러 차례 있기도 했다.[4]
노선
편집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모스크바-블라디보스토크 간의 선로 길이는 9,289km로,[6] 약 8개 시간대에 걸쳐 있다. 모스크바-블라디보스토크 간 여객 철도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 노선 구간 대부분을 지나는[7] 모스크바-평양 노선 10,267 km[8], 키이우-블라디보스토크 노선 11,085km[9]의 뒤를 이어 세계에서 세번째로 긴 여객 철도 노선이다.
시베리아 횡단 철도
편집시베리아 횡단 철도 중 002M호 모스크바-블라디보스토크 노선의 운행 일정에서 여행 시간과 거리를 참고했다.[6]
위치 | 거리 | 여행 시간 | 시간대 | 주석 |
---|---|---|---|---|
모스크바, 야로슬랍스키역 | 0 km (0 mi) | 모스크바 시간대 (MT) | ||
블라디미르 | 210 km (130 mi) | MT | ||
니즈니노브고로드 | 461 km (286 mi) | 6시간 | MT | 볼가강 인근 |
키로프 | 917 km (570 mi) | 13시간 | MT | 비야트카강 |
페름 | 1,397 km (868 mi) | 20시간 | MT+2 | 카마강 |
예카테린부르크 | 1,816 km (1,128 mi) | 1일 2시간 | MT+2 | 옛 소련식 지명인 스비르드로프스크(Свердло́вск)로 시간표에 나와 있기도 하다. |
튜멘 | 2,104 km (1,307 mi) | MT+2 | ||
옴스크 | 2,676 km (1,663 mi) | 1일 14시간 | MT+3 | 이르티시강 인근 |
노보시비르스크 | 3,303 km (2,052 mi) | 1일 22시간 | MT+4 | 투르케스탄-시베리아 철도 분기 |
크라스노야르스크 | 4,065 km (2,526 mi) | 2일 11시간 | MT+4 | 예니세이강 인근 |
타이셰트 | 4,483 km (2,786 mi) | MT+5 | 바이칼-아무르 철도 분기 | |
이르쿠츠크 | 5,153 km (3,202 mi) | 3일 4시간 | MT+5 | 바이칼호 남쪽 부근 |
울란우데 | 5,609 km (3,485 mi) | 3일 12시간 | MT+5 | 바이칼호 동쪽 호반 |
몽골 종단 철도 분기 | 5,622 km (3,493 mi) | |||
치타 | 6,166 km (3,831 mi) | 3일 22시간 | MT+6 | |
만주행 철도 분기점 | 6,274 km (3,898 mi) | MT+6 | ||
비로비잔 | 8,312 km (5,165 mi) | 5일 13시간 | MT+7 | |
하바롭스크 | 8,493 km (5,277 mi) | 5일 15시간 | MT+7 | 아무르강 인근 |
우수리스크 | 9,147 km (5,684 mi) | MT+7 | 만주행 철도 및 북한행 지선 분기 | |
블라디보스토크 | 9,289 km (5,772 mi) | 6일 4시간 | MT+7 | 태평양 부근 |
우수리스크발 북한행 철도 | ||||
프리모르스카야 역 | 9,257 km (5,752 mi) | 6일 14시간 | MT+7 | |
하산 | 9,407 km (5,845 mi) | 6일 19시간 | MT+7 | 북한과의 국경 |
두만강 | 9,412 km (5,848 mi) | 7 days 10 hours | MT+6 | 북한 측 국경 |
평양 | 10,267 km (6,380 mi) | 9일 2시간 | MT+6 |
주요 지선
편집- 블라디보스토크로 가는 열차 중 989/990호는 카잔스키역에서 출발한다. 이 열차의 경우 코브로프와 니즈니노브고로드를 거쳐 키로프로 연결된다.
- 1930년대까지는 모스크바에서 출발해 툴라[10]나 랴잔[11]으로 간 뒤 사마라와 첼랴빈스크를 거쳐 옴스크로 이동했다. 1930년 이후 해당 노선은 지선으로 격하되었지만, 이 노선은 2023년 기준으로 지금도 운행 중이다.
- 옴스크와 바르나울을 이어주는 옴스크-바르나울 철도[12]를 탄 뒤 아바칸까지 간 다음 아바칸-타이셰트 철도를 타고 타이셰트에서 시베리아 횡단 철도 본선으로 다시 합류할 수도 있다.
만주행 철도
편집20호 모스크바-베이징 열차[13]가 사용하는 만주 횡단선은 시베리아 횡단 철도 중 모스크바-치타 간의 노선을 공유하다가 아래의 노선을 따라 중국으로 간다.
위치 | 거리 (모스크바로부터) | 여행 시간 | 시간대 | 주석 |
---|---|---|---|---|
차르카야 분기점 | 6,274 km | MT+6 | ||
자바이칼스크 | 6,626 km | MT+6 | ||
만저우리 | 6,638 km | UTC+8 | 중화인민공화국-러시아 간 국경도시 | |
하얼빈 | 7,573 km | UTC+8 | ||
창춘 | 7,820 km | UTC+8 | ||
베이징 | 8,961 km | UTC+8 | 중화인민공화국 수도 |
하얼빈에서 러시아와의 국경도시인 쑤이펀허를 잇는 빈쑤이 철로의 경우, 그 노선은 아래와 같다.
위치 | 거리 (모스크바로부터) | 여행 시간 | 시간대 | 주석 |
---|---|---|---|---|
하얼빈 | 7,573 km | UTC+8 | ||
무단장 | 7,928km | UTC+8 | ||
쑤이펀허 | 8,121km | UTC+8 | 중화인민공화국-러시아 간 국경도시 | |
포그라니치니 | 8,147km | VLAT | ||
우수리스크 | 8,244km | VLAT | ||
블라디보스토크 | 8,356km | VLAT |
몽골 종단 철도
편집몽골 종단 철도는 모스크바에서 울란우데까지 시베리아 횡단 철도와 노선을 공유하다가 아래의 노선을 경유하여 몽골과 중화인민공화국으로 간다.[14]
위치 | 거리 (모스크바로부터) | 여행 시간 | 시간대 | 주석 | |
---|---|---|---|---|---|
분기점 | 5,655 km | UTC+8 | |||
나쉬키 | 5,895 km | UTC+8 | |||
러시아-몽골 국경 | 5,900 km | UTC+8 | |||
수흐바타르 | 5,921 km | UTC+8 | 몽골-러시아 국경도시 | ||
울란바토르 | 6,304 km | UTC+8 | 몽골의 수도 | ||
자민우드 | 7,013 km | UTC+8 | 몽골 측 국경도시 | ||
얼롄하오터 | UTC+8 | 중화인민공화국 측 국경도시 | |||
다퉁 | UTC+8 | 산서성 | |||
베이징 | UTC+8 | 중화인민공화국 수도 |
역사
편집요구 및 구상
편집19세기 후반, 시베리아의 개발은 그 지역 내의 열악한 교통 연결로 인해 방해를 받았다. 시베리아 루트를 제외하고는 바퀴가 달린 교통에 적합한 좋은 도로가 드물었다. 1년 중 약 5개월 동안, 강은 주요 교통 수단이었다. 동절기의 반 년 동안은 화물과 승객들은 말이 끄는 썰매를 타고 겨울 도로를 통해 이동했는데, 많은 겨울 도로들은 얼음으로 뒤덮인 강이었다.[15]
증기선은 1863년 예니세이 호에서, 그리고 1870년대에 레나 호와 아무르 호에서 운항하기 시작했다. 서부 시베리아에서는 기본적으로 토지가 평탄하여 적어도 거대한 오브-이르티시-토볼-쿨림 강 체계를 통해 증기선이 상당히 잘 이용되었지만, 동부 시베리아의 거대한 강인 예니세이강, 앙가라강 상류, 레나강은 대부분 남북으로 항해할 수밖에 없었다. 옵-예니세이 운하를 건설함으로써 상황을 부분적으로 개선하려는 시도는 특별히 성공적이지 못했고, 이에 따라 철도가 시베리아 지역의 유일한 교통 개선책으로 대두되었다.[7]
1851년 상트페테르부르크-모스크바 철도가 완공된 후 시베리아에서 첫 철도 프로젝트를 시작했다.[16] 첫 번째 프로젝트 중 하나는 미국의 기업가 페리 콜린스가 제안하고 교통부 장관 콘스탄틴 포지예트가 모스크바와 아무르강, 그리고 결과적으로 태평양을 연결하는 관점에서 지원한 이르쿠츠크-치타 프로젝트였다. 시베리아의 총독 니콜라이 무라비요프아무르스키는 러시아의 지금의 극동 식민지화를 앞당기기를 열망했지만, 식민지 개척자들이 중국과 한국으로부터 곡물과 다른 식량을 수입해야 하는 한 그의 계획은 실현 불가능했다.[17]
1890년대~1945년도 까지 러시아 와 북한 접경노선부터 부산항까지 노선을 연장하고 사용해 왔었다.
(모스크바~부산) 1890년대 ~1945년도
(모스크바~강원)1890년대~
현재 시베리아 횡단 철도 한반도 구간은 1945년 이후 중단된 상태이고 북쪽 지역만 모스크바까지 현재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대한제국(1890년도~1910년도) 고종시절 일본의 집권을 막기위해 3명을 네덜란드 헤이그에 특사자격으로 보낸적이 있는데 그 때 이용한 이동수단이 시베리아 횡단 철도 였다.
(모스크바까지 운행했던 시베리아 횡단 철도 이용한 뒤 유럽에서 모스크바까지 연결했던 철도로 환승했을 가능성이 높다.)
한반도에 거주하시던 많은 조선분들이 당시에 유럽을 가기 위해 이 철도를 이용했다고 한다.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노선 계획은 크게 7가지로 나뉘었다.
각주
편집- ↑ “Lonely Planet Guide to the Trans-Siberian Railway” (PDF). Lonely Planet Publications. 2012년 9월 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 Thomas, Bryn; McCrohan, Daniel (2019). 《Trans-Siberian Handbook: The Guide to the World's Longest Railway Journey with 90 Maps and Guides to the Route, Cities and Towns in Russia, Mongolia and China》 10판. Trailblazer Publications. ISBN 978-1912716081. 2020년 10월 15일에 확인함.
- ↑ Meakin, Annette, A Ribbon of Iron (1901), reprinted in 1970 as part of the Russia Observed series (Arno Press/New York Times)(OCLC 118166).
- ↑ 가 나 “Russia offers a bridge across history to connect Tokyo to the Trans-Siberian railway”. 《siberiantimes.com》. 2020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 “New 8,400 mile train journey will connect London to Tokyo”. 《The Independent》 (영어). 2017년 9월 8일. 2020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 가 나 “CIS railway timetable, route No. 002, Moscow-Vladivostok”. 2009년 1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가 나 “Trans-Siberian Railroad | railway, Russia | Britannica”.
- ↑ “CIS railway timetable, route No. 002, Moscow-Pyongyang”. 2009년 1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CIS railway timetable, route No. 350, Kiev-Vladivostok”. 2009년 1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Train Station in Tula Archived 2016년 3월 12일 - 웨이백 머신 (러시아어)
- ↑ Train Station in Ryazan (러시아어) 보관됨 3월 23, 2012 - 웨이백 머신
- ↑ “Barnaul”. 《Encyclopaedia Britannica》. 2019년 11월 8일에 확인함.
- ↑ “CIS railway timetable, route No. 020, Moscow-Beijing”. 2009년 1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Trans-Mongolian Route Description”. 2017년 7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2월 18일에 확인함.
- ↑ P. E. Garbutt, "The Trans-Siberian Railway." Journal of Transport History 4 (1954): 238-249.
- ↑ Alexeev, V.V.; Bandman, M.K.; Kuleshov–Novosibirsk, V. V., 편집. (2002). 《Problem Regions of Resource Type: Economical Integration of European North-East, Ural and Siberia》. IEIE. ISBN 5-89665-060-4.
- ↑ March, G. Patrick (1996). 《Eastern Destiny: Russia in Asia and the North Pacific》. Praeger/Greenwood. 152–53쪽. ISBN 0-275-95648-2.
같이 보기
편집- 아시아 횡단 철도(TAR)
- 몽골 종단 철도(TMR)
- 동청철도(CER)
- 바이칼-아무르 철도
- 바라놉스키-하산 선
- 만주횡단철도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시베리아 횡단 철도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러시아 철도 공식사이트-Российские желеэные дороги Archived 2018년 10월 11일 - 웨이백 머신
- Trans-Siberian Railway, national geographic expeditions
- Trans-Siberian Railway: a view from Moscow to Vladivostok – a photo essay (27 December 2016), The Guardian. Photographs of "life on board the Trans-Siberian Railway, and beyond the carriage window."
- Russian Railways official website
- Overview of passenger travel today
- “A 1903 map of Trans-Siberian railway”.
- Guide to the Great Siberian Railway (1900)
- Mikhailoff, M. (May 1900). “The Great Siberian Railway”. 《the North American Review》 170 (522).
- Manley, Deborah, 편집. (January 2009). 《The Trans-Siberian Railway: A Traveller's Anthology》. ISBN 1-904955-49-5. 2012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Winchester, Clarence, 편집. (1936), 〈The Trans-Siberian Express〉, 《Railway Wonders of the World》, 451–57쪽 illustrated description of the route and the train
- Trans-Siberian Train № 1 "Russia". Depart Fast Train - 유튜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