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맥 협착증
신동맥 협착증(RAS)은 신장 동맥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협착 으로, 가장 흔히 죽상동맥경화증 또는 섬유근 이형성증에 의해 유발된다. 이러한 신장 동맥의 협착은 목표 신장으로의 혈류를 방해하여 2차 유형의 고혈압인 신혈관성 고혈압 을 유발할 수 있다. 신장 동맥 협착증의 가능한 합병증은 만성 신장 질환과 관상 동맥 질환이다.[1]
징후 및 증상
편집신동맥 협착증의 대부분은 무증상이며 주요 문제는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이다.[2] 두 신장 모두에 적절한 혈류가 공급되지 않으면 신장 기능 이 저하될 수 있으며, 또한 일부 신장 동맥 협착증이 있는 사람들은 폐부종 에피소드가 나타난다.[3]
원인
편집신동맥 협착증은 대부분 죽상동맥경화증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플라크 축적으로 인해 신동맥이 경화되고 좁아지게 한다. 이것은 동맥경화성 신혈관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약 90%의 사례를 차지하며 나머지 대부분은 섬유근 이형성증 으로 인한 것이다.[4] 섬유근 이형성증은 젊은 환자, 일반적으로 40세 미만의 여성에서 주된 원인이다.[5]
병태생리학
편집신동맥 협착증의 병태생리학은 세뇨관 조직 에서 가장 눈에 띄는 신장 구조의 변화를 초래한다.[6] 협착이 오래 지속 되고 심각한 경우 영향을 받는 신장의 사구체 여과율이 회복되지 않으며 (신장전) 신부전이 결과이다.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6]
진단
편집진단 기술은 다음과 같다.
치료
편집죽상경화성 신동맥 협착증
편집초기에는 이뇨제를 포함한 약물과 혈압 조절 약물로 치료한다 .[6] 고도의 신동맥 협착이 보고되고 약물로 혈압을 조절할 수 없거나 신기능이 악화되면 수술 을 고려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절차는 스텐트 삽입 여부에 관계없이 최소 침습적 혈관 성형술이다. 이 접근 방식이 약물만 사용하는 것보다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는 불분명하다.[13] 비교적 안전한 시술이다.[13] 다른 모든 방법이 실패하고 신장이 고혈압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생각되고 혈관성형술이나 수술을 통한 혈관재생술이 효과가 없다면, 영향을 받은 신장의 외과적 제거( 신절제술 )가 고혈압을 유의하게 개선할 수 있다.[14]
섬유근 이형성증
편집혈관 성형술 단독은 섬유근 이형성증에서 선호되며, 스텐트 시술은 실패한 혈관 성형술이나 해부 같은 합병증을 위해 유보된다.[15]
각주
편집- ↑ “Renal Artery Stenosis”.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2016년 12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17일에 확인함.
- ↑ “Renovascular hypertension: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www.nlm.nih.gov》. 2015년 8월 17일에 확인함.
- ↑ Messerli, Franz H.; Bangalore, Sripal; Makani, Harikrishna; Rimoldi, Stefano F.; Allemann, Yves; White, Christopher J.; Textor, Stephen; Sleight, Peter (2011년 3월 15일). “Flash pulmonary oedema and bilateral renal artery stenosis: the Pickering Syndrome”. 《European Heart Journal》 32 (18): 2231–5. doi:10.1093/eurheartj/ehr056. ISSN 0195-668X. PMID 21406441.
- ↑ “RenalArtery Stenosis” (PDF). 《NIH》.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2016년 12월 2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1일에 확인함.
- ↑ “Fibromuscular Dysplasia: Practice Essentials, Background, Pathophysiology”. 2018년 9월 19일.
- ↑ 가 나 다 “Renal Artery Stenosis: Background, Pathophysiology, Etiology”. 2018년 12월 14일.
- ↑ Granata, A.; Fiorini, F.; Andrulli, S.; Logias, F.; Gallieni, M.; Romano, G.; Sicurezza, E.; Fiore, C.E. (2009년 10월 12일). “Doppler ultrasound and renal artery stenosis: An overview”. 《Journal of Ultrasound》 12 (4): 133–143. doi:10.1016/j.jus.2009.09.006. ISSN 1971-3495. PMC 3567456. PMID 23397022.
- ↑ Talley, Nicholas Joseph; O'Connor, Simon (2013년 9월 20일). 《Clinical Examination: A Systematic Guide to Physical Diagnosis》. Elsevier Health Sciences. ISBN 9780729541473.
- ↑ Ong, Yong Yau (2005년 1월 1일). 《A Clinical Approach to Medicine》. World Scientific. ISBN 9789812560735.
- ↑ Taylor AT. Radionuclides in nephrourology, Part 2: pitfalls and diagnostic applications. J Nucl Med. 2014;55(5):786-798. doi:10.2967/jnumed.113.133454
- ↑ Sam, Amir H.; James T.H. Teo (2010). 《Rapid Medicine》. Wiley-Blackwell. ISBN 978-1405183239.
- ↑ Attenberger, Ulrike I.; Morelli, John N.; Schoenberg, Stefan O.; Michaely, Henrik J. (2011년 11월 15일). “Assessment of the kidneys: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perfusion and diffusion”. 《Journal of Cardiovascular Magnetic Resonance》 13 (1): 70. doi:10.1186/1532-429X-13-70. ISSN 1532-429X. PMC 3228749. PMID 22085467.
- ↑ 가 나 Jenks, S; Yeoh, SE; Conway, BR (2014년 12월 5일). “Balloon angioplasty, with and without stenting, versus medical therapy for hypertensive patients with renal artery stenosi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2 (12): CD002944. doi:10.1002/14651858.CD002944.pub2. PMC 7138037. PMID 25478936.
- ↑ Fine, Richard N.; Webber, Steven A.; Harmon, William E.; Kelly, Deirdre; Olthoff, Kim M. (2009년 4월 8일). 《Pediatric Solid Organ Transplantation》. John Wiley & Sons. ISBN 9781444312737.
- ↑ Chrysant, Steven G.; Chrysant, George S. (2014년 2월 21일). “Treatment of hypertension in patients with renal artery stenosis due to fibromuscular dysplasia of the renal arteries”. 《Cardiovascular Diagnosis and Therapy》 4 (1): 36–43. doi:10.3978/j.issn.2223-3652.2014.02.01. PMC 3943779. PMID 24649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