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문역
서울지하철 4호선의 전철역 중 하나
쌍문역(Ssangmun station,雙門驛)은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전철역이다. 역명과는 달리 쌍문3동이 아닌 창동에 있다. 이 역부터 이촌역까지 지하 구간이다. 우이교 하저터널로 수유역과 연결되어 있다.
쌍문
| |
---|---|
![]() 승강장(2022년 3월 19일) | |
![]() 역명판(2022년 3월 19일) | |
![]() | |
개괄 | |
관할 기관 | 서울교통공사 |
소재지 | ![]() |
좌표 | 북위 37° 38′ 54.6″ 동경 127° 2′ 4.7″ / 북위 37.648500° 동경 127.034639° |
개업일 | 1985년 4월 20일 |
역 번호 | 413 |
승강장수 | 2면 2선(상대식) |
거리표 | |
●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 | |
진접(경복대) 기점 19.1 km | |
|
역사
편집역 구조
편집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4개이다.
대합실을 통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3]
승강장
편집창동 ↑ |
하 | | 상 |
↓ 수유 |
상행 | ●수도권 전철 4호선 | 창동 · 노원 · 상계 · 불암산 · 진접(경복대) 방면 |
---|---|---|
하행 | 혜화 · 동대문 · 명동 · 회현 · 안산 · 오이도 방면 |
역 주변
편집이용객 변동
편집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4호선 | 승차 | 31,394 | 32,583 | 34,353 | 35,064 | 35,544 | 35,221 | 35,629 | 35,172 | 34,646 | 34,695 | [4] |
하차 | 26,393 | 26,818 | 28,862 | 29,520 | 29,909 | 29,640 | 29,721 | 29,268 | 29,074 | 29,056 | ||
승하차 | 57,787 | 59,401 | 63,215 | 64,584 | 65,453 | 64,861 | 65,350 | 64,440 | 63,720 | 63,751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4호선 | 승차 | 34,927 | 35,716 | 35,753 | 35,860 | 35,383 | 34,257 | 34,133 | 33,859 | 33,127 | ||
하차 | 29,433 | 30,175 | 30,264 | 30,468 | 30,296 | 29,441 | 29,556 | 29,599 | 29,357 | |||
승하차 | 64,360 | 65,891 | 66,017 | 66,328 | 65,679 | 63,698 | 63,689 | 63,458 | 62,484 |
인접한 역
편집서울 지하철 4호선 | ||
---|---|---|
412 창동 진접(경복대) 방면 |
● 수도권 전철 4호선 |
414 수유 오이도 방면 |
사진
편집-
1번출구
각주
편집- ↑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 1983년 9월 13일.
- ↑ 도봉구 지하철 쌍문역 둘리테마역사 조성 완료 뉴스1, 2016년 11월 25일
- ↑ 원래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였으나 2009년 말 이동이 불가능한 구조로 개찰구가 바뀌었다가 2021년에 역사 리모델링을 하면서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다시 바뀌었다.
- ↑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