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너스
대한민국의 없어진 기업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thumb/4/4a/Disambig_grey.svg/23px-Disambig_grey.svg.png)
주식회사 씨너스(Cinus)는 과거 존재하였던 대한민국의 영화관 체인 업체이다.
형태 | 주식회사 |
---|---|
창립 | 2004년 8월 4일 |
시장 정보 | 비상장 |
산업 분야 | 서비스 |
서비스 | 영화관 운영업 |
해체 | 2007년 12월 13일[1] |
후신 | 주식회사 씨너스 |
본사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 106-2 아거스빌딩 3층 |
사업 지역 | ![]() |
대표자 | 여환주 |
제품 | 씨너스 |
자회사 | ㈜씨너스티브이 |
웹사이트 | www![]() |
형태 | 주식회사 |
---|---|
창립 | 2001년 2월 26일 |
시장 정보 | 비상장 |
이전 상호 | ㈜씨너스티브이 |
산업 분야 | 서비스 |
서비스 | 영화관 운영업 |
해체 | 2011년 5월 20일[2] |
후신 | 메가박스 |
본사 소재지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탄천로 215, 주경기장내 |
사업 지역 | ![]() |
대표자 | 여환주 |
제품 | 씨너스 |
모기업 | 중앙일보 ISPlus 계열사 |
웹사이트 | http://www.cinus.co.kr (폐쇄) |
라틴어로 포도를 뜻하는 씨너스는 전국 31곳에 영화관을 두고 있었다. 씨너스는 2010년 메가박스를 인수하여 계열사에 편입하였으며, 2011년 5월 20일에는 메가박스와 합병하여 임시로 메가박스씨너스라는 사명을 사용하다가 하반기에 메가박스의 이름으로 완전히 통합되었다.[3] 2008년에는 단성사와 제휴하여 씨너스 단성사로 재탄생했으나, 얼마 되지 않아 단성사는 그 해 9월 23일에 부도 처리되어 아산엠 그룹에 넘어갔다.
2004년 12월 강남 센트럴6와 분당 씨네플라자 등 기존 군소 극장 업체들이 연합하여 만든 공동 브랜드이다. 기존 극장주들이 통합 브랜드에 대한 프랜차이즈 비용을 지불하고 같은 브랜드를 공유하면서 프랜차이즈 본사가 직접 마케팅을 통합, 관리하는 형식으로 운영을 시작했다.[4] 2008년 9월 18일 중앙일보의 계열사인 ISPlus(일간스포츠)에 인수되었다.[5] 이후 2011년 6월 17일 ISPlus는 제이콘텐트리로 사명을 변경했다.[6] 서울 서대문구 대현동 이화여자대학교 안에 위치한 아트하우스 모모 영화관과 파트너 극장을 맺어 통합 마일리지 시스템을 사용한 바 있다.
2011년 메가박스가 인수해 계열사가 되었다가, 피흡수합병되어 사라졌다. 브랜드는 메가박스로 통합되었다.
과거 점포
편집지역명 | 해당 지역 점포명 |
서울 | 씨너스 센트럴 / 씨너스 강남 / 씨너스 서울대 / 씨너스 이수 / 씨너스 단성사 / 씨너스 은평 / 씨너스 EOE4 |
인천/경기 | 씨너스 이채 / 씨너스 분당 / 씨너스 연수 / 씨너스 평택 / 씨너스 일산 / 씨너스 인덕원 / 씨너스 남양주 |
대전/충남 | 씨너스 대전 / 씨너스 천안 / 씨너스 공주 |
부산/경상/대구 | 씨너스 서면 / 씨너스 오투(부산대) / 씨너스 해운대 / 씨너스 부산극장 / 씨너스 칠곡 / 씨너스 한일극장 / 씨너스 경산 / 씨너스 경남대 |
광주/전라 | 씨너스 전대(광주) / 씨너스 여수 / 씨너스 송천(전주) / 씨너스 남원 / 씨너스 콜롬버스 상무 / 씨너스 콜롬버스 하남 |
강원 | 씨너스 원주 / 씨너스 속초 |
제주 | 씨너스 제주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국세청 사업자등록번호 129-81-75650 조회
- ↑ 국세청 사업자등록번호 220-86-09953 조회
- ↑ 메가박스-씨너스 합병 마무리, 연합뉴스, 2011년 5월 20일 작성, 2011년 9월 25일 확인
- ↑ "대형극장 꼼짝 마" - 서울경제
- ↑ ISPLUS, 멀티플렉스 체인 '씨너스' 인수 - 연합인포맥스
- ↑ ISPLUS, 제이콘텐트리로 사명 변경…로고 공개 -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