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도 정리
정리
편집아도 정리는 표수 0인 체 에 대한 모든 유한 차원 리 대수 는 리 괄호 가 주어진 정사각 행렬들의 리 대수로 볼 수 있다고 한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이 정리는 이 유한 차원 -선형 공간 에서 충실한 선형 표현 를 갖는다. 즉, 은 의 자기 사상들이 이루는 대수의 어떤 부분 대수와 동형이다.
역사
편집이 정리는 1935년 니콜라이 체보타료프의 학생이자 카잔 주립대학교의 이고르 드미트리치 아도가 증명했다.
표수에 대한 제한은 나중에 이와사와 겐키치가 제거했다(증명은 아래 게르하르트 호흐실트 논문 참조).
시사점
편집고전군과 관련된 리 대수의 경우 이 정리로 인한 새로운 것은 없지만 일반적인 리 군을 고려하면 더 깊은 결과이다. 리 군 의 실수 리 대수에 적용하면 가 충실한 선형 표현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일반적으로 사실이 아님) 가 항상 선형군과 국소 동형인 선형 표현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 문헌
편집- Ado, Igor D. (1935), “Note on the representation of finite continuous groups by means of linear substitutions”, 《Izv. Fiz.-Mat. Obsch. (Kazan')》 7: 1–43. (Russian language)
- Ado, Igor D. (1947), “The representation of Lie algebras by matrices”, 《Akademiya Nauk SSSR i Moskovskoe Matematicheskoe Obshchestvo. Uspekhi Matematicheskikh Nauk》 (러시아어) 2 (6): 159–173, ISSN 0042-1316, MR 0027753 translation in Ado, Igor D. (1949), “The representation of Lie algebras by matrices”,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Translations》 1949 (2): 21, ISSN 0065-9290, MR 0030946
- Iwasawa, Kenkichi (1948), “On the representation of Lie algebras”, 《Japanese Journal of Mathematics》 19: 405–426, MR 0032613
- Harish-Chandra (1949), “Faithful representations of Lie algebras”, 《Annals of Mathematics》, Second Series 50: 68–76, doi:10.2307/1969352, ISSN 0003-486X, JSTOR 1969352, MR 0028829
- Hochschild, Gerhard (1966), “An addition to Ado's theorem”, 《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7: 531–533, doi:10.1090/s0002-9939-1966-0194482-0
- Nathan Jacobson, Lie Algebras, pp. 202–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