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말 가설
아버지말 가설(Father Tongue hypothesis)은 사람은 아버지의 모어를 자기의 모어로 배우는 경향이 있어 왔다는 가설이다. Y 염색체와 미토콘드리아의 특정 변이 분포와 언어의 분포를 연관지은 결과 제안된 가설이다.
이 가설은 히말라야 지역의 언어를 주로 연구한 역사언어학자 조지 반 드림(George van Driem)이 2010년 이전의 여러 유전학자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제창한 것에 의해 알려지게 되었다. 반 드림의 주장에 따르면 언어는 보통 아이의 어머니가 아이에게 남편의 모어를 가르침으로써 전달되는 경향이 있다고 하며, 그는 Y-DNA 하플로그룹 O와 연관하여 크라다이어족,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중국티베트어족, 몽몐어족을 모두 묶은 동아시아어족이라는 가설적인 대어족을 제안했다.
예시
편집- 인도유럽어족은 유럽과 인도북부 등에서 고빈도인 Y-DNA 하플로그룹 R, 특히 R1a1 분기와 강하게 연관되며, 쿠르간 가설에 의하면 폰토스-카스피 스텝 지역에서 발원하여 인도-유럽 지역으로 확장된 결과이다.[1]
-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은 대체로 하플로그룹 O2a와 연관된다. 예시로, 벵골에서 사용되는 문다어의 화자집단을 조사했을 때 mtDNA는 주변 민족과 큰 차이가 없으나 Y-DNA는 주변 민족에게서는 찾기 힘든 O2a가 다수이다.
- 고대 중국어가 남부로 확장되는 과정도 한족 남성 주도로 이루어져 하플로그룹 O의 특정분기 확산과 연관된다.[1] 일부 학자들은 하플로그룹 O-M175의 분포와 오스트로어족 가설을 연관짓는다.
- 엘람드라비다어족 가설을 지지하는 근거 중 하나로 하플로그룹 L과의 연관성이 들어진다.
- 셈어 등 아프로아시아어족의 확산은 하플로그룹 E1b1b와 연관된다.
- 반투어군의 확산 역시 특정 Y-DNA 하플로그룹 분기와 연관된 것으로 추정된다.[2]
반례
편집Y-DNA 계통과 언어가 반드시 연관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여러 반례를 통해 보여져 있다.
각주
편집- ↑ 가 나 van Driem, George (2007). “Austroasiatic phylogeny and the Austroasiatic homeland in light of recent population genetic studies”. 《Mon-Khmer Studies》 37: 1–14.
- ↑ de Filippo, Cesare; 외. (2011). “Y-Chromosomal Variation in Sub-Saharan Africa: Insights Into the History of Niger-Congo Groups”.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28 (3): 1255–1269. doi:10.1093/molbev/msq312. PMC 3561512. PMID 21109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