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그람 음성균의 일종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는 일반적으로 구간균의 형태를 한 그람 음성균의 한 종이다. 세균학자인 폴 바우만(Paul Baumann)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 면역계가 손상된 상태의 환자에서 기회감염을 일으키는 병원균으로 작용할 수 있는데, 특히 병원내감염에서 아주 중요한 세균으로 부상하고 있다. 다른 아시네토박터속에 속한 세균들은 종종 토양 표본에서도 발견되어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역시 토양 세균이라고 흔히 오해하기 쉬우나,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는 거의 모두 병원 환경에서만 분리된다.[3] 간혹 토양이나 물 표본에서도 발견되고는 하나,[4] 자연적인 서식지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생물 분류ℹ️
계: 세균계
문: 프로테오박테리아문
강: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강
목: 슈도모나스목
과: 모락셀라과
속: 아시네토박터속
종: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학명
Acinetobacter baumannii
Bouvet and Grimont 1986[1]

아시네토박터속의 세균은 세균이 움직이기 위해 사용하는 편모 구조가 없으나 운동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폈다가 집어넣었다가 할 수 있는 막대기 모양 구조물인 제4형 선모 덕분일 수 있다. 또한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의 운동성은 세포외다당류의 분비 때문일 수도 있다. 세포외다당류는 고분자량의 당 사슬을 세균 뒤에 형성하여 세균이 앞으로 움직일 수 있게끔 한다.[5] 임상미생물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아시네토박터속의 세균들을 다른 모락셀라과 세균들과 구분할 때 산화효소 시험을 이용한다. 이는 아시네토박터속의 세균 종들이 모락셀라과에서 유일하게 사이토크롬 c 산화효소가 없는 세균이기 때문이다.[6]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는 아시네토박터 칼코아세티쿠스(A. calcoaceticus), 아시네토박터 유전적 종 13TU와 함께 ACB 복합체를 구성하고 있다. 이 복합체의 구성원들을 특정하는 것은 어려우며, 이들은 아시네토박터속 안에서도 가장 임상적으로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7][8] 또한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는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황색포도상구균, 폐렴막대균, 녹농균, 엔테로박터와 함께 높은 항생제 내성 비율을 보여 병원내감염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는 ESKAPE 병원균 중 하나로 분류된다.[9]

이라크 전쟁 도중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가 군사 치료 시설에서 갑자기 창궐하였었기 때문에 이라키박터(Iraqibacter)라고도 불린다.[10]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는 주로 이라크아프가니스탄에서 복무했던 군인과 퇴역 군인들에서 계속 문제가 되었다. 감염된 군인들이 민간 병원으로 이송되면서 다제내성을 가진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가 다양한 의료 시설로 퍼지게 되었다.[5] 코로나19 범유행 동안, SARS-CoV-2 감염 후 이차적으로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에 같이 감염되는 사례가 의학 문헌에 여럿 보고되기도 했다.[11]

각주

편집
  1. Parte, A.C. “Acinetobacter”. 《LPSN》. 
  2. Lin, Ming-Feng; Lan, Chung-Yu (2014). “Antimicrobial Resistance in Acinetobacter baumannii: From Bench to Bedside”. 《World Journal of Clinical Cases》 2 (12): 787–814. doi:10.12998/wjcc.v2.i12.787. PMC 4266826. PMID 25516853. 
  3. Antunes, Luísa C.S.; Visca, Paolo; Towner, Kevin J. (August 2014). “Acinetobacter baumannii: evolution of a global pathogen”. 《Pathogens and Disease》 71 (3): 292–301. doi:10.1111/2049-632X.12125. PMID 24376225. 
  4. Yeom, Jinki; Shin, Ji-Hyun; Yang, Ji-Young; Kim, Jungmin; Hwang, Geum-Sook; Bundy, Jacob Guy (2013년 3월 6일). “1H NMR-Based Metabolite Profiling of Planktonic and Biofilm Cells in Acinetobacter baumannii 1656-2”. 《PLOS ONE》 8 (3): e57730. Bibcode:2013PLoSO...857730Y. doi:10.1371/journal.pone.0057730. PMC 3590295. PMID 23483923. 
  5. McQueary, Christin N.; Kirkup, Benjamin C.; Si, Yuanzheng; Barlow, Miriam; Actis, Luis A.; Craft, David W.; Zurawski, Daniel V. (2012년 6월 30일). “Extracellular stress and lipopolysaccharide modulate Acinetobacter baumannii surface-associated motility”. 《Journal of Microbiology》 50 (3): 434–443. doi:10.1007/s12275-012-1555-1. PMID 22752907. S2CID 18294862. 
  6. Garrity, G., 편집. (2000). 〈Pts. A & B: The Proteobacteria〉.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2 2판. New York: Springer. 454쪽. ISBN 978-0-387-95040-2. 
  7. O'Shea, MK (May 2012). “Acinetobacter in modern warfare”. 《International Journal of Antimicrobial Agents》 39 (5): 363–75. doi:10.1016/j.ijantimicag.2012.01.018. PMID 22459899. 
  8. Gerner-Smidt, P (October 1992). “Ribotyping of the Acinetobacter calcoaceticus-Acinetobacter baumannii complex”.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30 (10): 2680–5. doi:10.1128/JCM.30.10.2680-2685.1992. PMC 270498. PMID 1383266. 
  9. Rice, LB (2008년 4월 15일). “Federal funding for the study of antimicrobial resistance in nosocomial pathogens: no ESKAPE”. 《Th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197 (8): 1079–81. doi:10.1086/533452. PMID 18419525. 
  10. Drummond, Katie (2010년 5월 24일). “Pentagon to Troop-Killing Superbugs: Resistance Is Futile”. 《Wired.com》 (Condé Nast). 2013년 4월 8일에 확인함. 
  11. Kyriakidis, I; Vasileiou, E; Pana, Z-D; Tragiannidis, A (2021). “Acinetobacter baumannii Antibiotic Resistance Mechanisms”. 《Pathogens》 10 (373): 373. doi:10.3390/pathogens10030373. PMC 8003822. PMID 33808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