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PA
화합물
AMPA는 AMPA 수용체에 대한 특정 작용제인 화합물로,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탐산의 효과를 모방한다.[1] 풀 네임은 α-아미노-3-하이드록시-5-메틸-4-아이소옥사졸프로피온산(영어: α-amino-3-hydroxy-5-methyl-4-isoxazolepropionic acid)이다.
이름 | |
---|---|
IUPAC 이름
2-amino-3-(3-hydroxy-5-methyl-isoxazol-4-yl)propanoic acid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MBL | |
ChemSpider | |
DrugBank | |
MeSH | AMPA |
PubChem CID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7H10N2O4 | |
몰 질량 | 186.167 g·mol−1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중추신경계에는 AMPA, 카인산, N-메틸-D-아스파르트산(NMDA) 통로를 포함한 여러 유형의 글루탐산 작동성 이온 통로가 있다. 시냅스에서 이러한 수용체들은 매우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다. AMPA는 실험적으로 한 수용체의 활성을 다른 수용체와 구별하여 각 수용체의 서로 다른 기능을 이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2] AMPA는 빠른 흥분성 시냅스 후 전위(EPSP)를 생성한다.[1] AMPA는 Na+와 K+의 통과를 허용하는 비선택적 양이온 통로인 AMPA 수용체를 활성화하므로 평형 전위가 0 mV에 가깝다.
AMPA는 크로스가르드 라르센(Krogsgaard-Larsen), 오노레(Honoré) 등이 글루탐산 민감성 수용체와 아스파르트산 민감성 수용체를 구분하기 위해 여러 다른 이보텐산 유도체와 함께 처음으로 합성했다.[3]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Purves, Dale; George J. Augustine; David Fitzpatrick; William C. Hall; Anthony-Samuel LaMantia; James O. McNamara; Leonard E. White (2008). 《Neuroscience》 4판. Sinauer Associates. 128–33쪽. ISBN 978-0-87893-697-7.
- ↑ Dinh, L; Nguyen T; Salgado H; Atzori M (2009). “Norepinephrine homogeneously inhibits alpha-amino-3-hydroxyl-5-methyl-4-isoxazole-propionate- (AMPAR-) mediated currents in all layers of the temporal cortex of the rat”. 《Neurochem Res》 34 (11): 1896–906. doi:10.1007/s11064-009-9966-z. PMID 19357950. S2CID 25255160.
- ↑ Krogsgaard-Larsen, P; Honore T; Hansen JJ; Curtis DR; Lodge D (1980). “New class of glutamate agonist structurally related to ibotenic acid”. 《Nature》 284 (5751): 64–66. Bibcode:1980Natur.284...64K. doi:10.1038/284064a0. PMID 6101908. S2CID 4252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