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드랑신경
겨드랑신경(axillary nerve) 또는 액와신경(腋窩神經)은 인체의 신경으로, 겨드랑이 높이의 팔신경얼기(위줄기, 뒤갈래, 뒤다발을 거침)에서 시작되어 C5와 C6의 신경 성분을 운반한다.[1][2][3] 겨드랑신경은 뒤위팔휘돌이동맥, 정맥과 함께 네모공간을 통과하여 어깨세모근과 ,부리위팔근 ,작은원근에 분포한다.
겨드랑신경 | |
---|---|
정보 | |
기원 | 팔신경얼기의 뒤다발 (C5, C6) |
분포 구조 | 어깨세모근, 작은원근 |
식별자 | |
라틴어 | nervus axillaris |
영어 | axillary nerve |
TA98 | A14.2.03.059 |
TA2 | 6440 |
FMA | 37072 |
구조
편집팔신경얼기에서 갈라져 나온 후 처음에는 겨드랑동맥 뒤쪽[4]과 어깨밑근 앞쪽에 놓여 있고,[1] 어깨밑근의 아래쪽 경계를 따라 주행한다.
그 후 위팔뼈의 목 주변을 뒤위팔휘돌이동맥과 함께 앞에서 뒤로 감고 돈다.[2] 이때 네모공간(위쪽 경계는 작은원근, 아래쪽 경계는 큰원근, 안쪽 경계는 위팔세갈래근 긴갈래, 가쪽 경계는 위팔뼈의 외과목)을 통과하며[1] 앞가지, 뒤가지, 위팔세갈래근 긴갈래로 가는 곁가지로 나뉘게 된다.
- 앞가지(anterior branch, upper branch)는 위팔뼈 외과목 주변을 감고 돈다.[5] 이때 뒤위팔휘돌이동맥, 정맥과 어깨세모근 아래로 주행한다. 그 후 운동신경으로 분포하는 어깨세모근 앞쪽 경계를 따라간다. 또한 앞가지는 약간의 작은 피부신경 가지를 내며, 이 가지들은 어깨세모근을 관통하여 근육을 덮는 피부에 분포한다.
- 뒤가지(posterior branch, lower branch)는 어깨세모근 뒤쪽 부분과 작은원근에 분포한다.[2] 뒤가지는 깊은근막을 관통하여 어깨세모근 뒤쪽 경계를 따라가는 위가쪽위팔피부신경으로 계속된다. 위가쪽위팔피부신경은 어깨세모근 아래쪽 2/3와 위팔세갈래근 긴갈래를 덮는 피부를 지배한다.
- 위팔세갈래근 긴갈래의 운동신경 가지가 겨드랑신경에서 갈라져 나온다. 갈라져 나오는 지점은 평균적으로 뒤다발이 끝나는 곳에서 6mm(범위는 2~12mm) 떨어진 지점이다.[6]
- 겨드랑신경의 줄기는 어깨밑근 아래쪽에서 어깨관절로 들어가는 관절 신경섬유를 낸다.
변이
편집전통적으로 겨드랑신경은 어깨세모근과 작은원근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카데바를 대상으로 한 여러 연구들은 겨드랑신경의 가지가 위팔세갈래근의 긴갈래를 지배한다는 점을 지적한다.[7][6][8]
기능
편집겨드랑신경은 팔에서 어깨세모근(어깨의 근육)과 작은원근(돌림근띠 근육 중 하나)을 지배한다.
또한 어깨관절에서 감각 정보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며, 어깨세모근 아래쪽 부위를 덮는 피부에도 분포한다.[9] 피부신경 지배는 겨드랑신경의 가지인 위가쪽위팔피부신경에 의해 이루어진다.
임상적 중요성
편집어깨 탈구가 앞쪽, 아래쪽으로 발생하면 겨드랑이 부위가 목발로 눌리거나 위팔뼈 외과목이 골절되며 겨드랑신경이 손상될 수 있다. 겨드랑신경이 손상되는 예시로는 겨드랑신경 마비가 있다. 신경이 손상되어 발생할 수 있는 결과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추가 이미지
편집-
각 척수신경 성분이 색깔별로 표시된 팔신경얼기의 모식도.
-
오른쪽 어깨위신경과 겨드랑신경을 뒤에서 본 그림.
-
오른쪽 상지의 피부신경.
-
오른쪽 상지의 피부신경이 분포하는 부위를 나타낸 도표.
-
겨드랑신경
-
겨드랑신경
-
겨드랑신경
-
겨드랑신경
참고 문헌
편집이 문서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는 그레이 해부학 제20판(1918) page 934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 가 나 다 Rea, Paul (2016년 1월 1일), Rea, Paul, 편집., “Chapter 3 - Neck”, 《Essential Clinically Applied Anatomy of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in the Head and Neck》 (영어) (Academic Press), 131–183쪽, doi:10.1016/b978-0-12-803633-4.00003-x, ISBN 978-0-12-803633-4, 2020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Pezeshk, Parham (2015년 1월 1일), Tubbs, R. Shane; Rizk, Elias; Shoja, Mohammadali M.; Loukas, Marios, 편집., “Chapter 13 - Imaging of Entrapped Peripheral Nerves”, 《Nerves and Nerve Injuries》 (영어) (San Diego: Academic Press), 167–171쪽, doi:10.1016/b978-0-12-410390-0.00014-7, ISBN 978-0-12-410390-0, 2020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 Ryan, Monique M.; Jones, H. Royden (2015년 1월 1일), Darras, Basil T.; Jones, H. Royden; Ryan, Monique M.; De Vivo, Darryl C., 편집., “Chapter 14 - Mononeuropathies”, 《Neuromuscular Disorders of Infancy, Childhood, and Adolescence (Second Edition)》 (영어) (San Diego: Academic Press), 243–273쪽, doi:10.1016/b978-0-12-417044-5.00014-7, ISBN 978-0-12-417044-5, 2020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 Kretschmer, Thomas; Heinen, Christian (2015년 1월 1일), Tubbs, R. Shane; Rizk, Elias; Shoja, Mohammadali M.; Loukas, Marios, 편집., “Chapter 36 - Iatrogenic Injuries of the Nerves”, 《Nerves and Nerve Injuries》 (영어) (San Diego: Academic Press), 557–585쪽, doi:10.1016/b978-0-12-802653-3.00085-3, ISBN 978-0-12-802653-3, 2020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 Voight, M. L. (2017년 1월 1일), Placzek, Jeffrey D.; Boyce, David A., 편집., “Chapter 39 - Shoulder Instability”, 《Orthopaedic Physical Therapy Secrets (Third Edition)》 (영어) (Elsevier), 335–341쪽, doi:10.1016/b978-0-323-28683-1.00039-4, ISBN 978-0-323-28683-1, 2020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 가 나 de Sèze MP, Rezzouk J, de Sèze M, Uzel M, Lavignolle B, Midy D, Durandeau A (2004). “Does the motor branch of the long head of the triceps brachii arise from the radial nerve?”. 《Surg Radiol Anat》 26 (6): 459–461. doi:10.1007/s00276-004-0253-z. PMID 15365769. S2CID 10052988.
- ↑ Rezzouk, J; Durandeau, A; Vital, JM; Fabre, T (October 2002). “Long head of the triceps brachii in axillary nerve injury: anatomy and clinical aspects”. 《Revue de Chirurgie Orthopédique et Réparatrice de l'Appareil Moteur》 88 (6): 561–564. PMID 12447125.
- ↑ Komala, Nanjundaiah; Shashanka, MallasandraJayadevaiah; Sheshgiri, Chowdapurkar (2012년 4월 16일). “Long head of triceps supplied by axillary nerve”. 《International Journal of Anatomical Variations》 5: 35–37. 2018년 1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Jacob, S. (2008년 1월 1일), Jacob, S., 편집., “Chapter 2 - Upper Limb”, 《Human Anatomy》 (영어) (Churchill Livingstone), 5–49쪽, doi:10.1016/b978-0-443-10373-5.50005-1, ISBN 978-0-443-10373-5, 2021년 1월 11일에 확인함
- ↑ Neal, Sara (2015년 1월 1일), Tubbs, R. Shane; Rizk, Elias; Shoja, Mohammadali M.; Loukas, Marios, 편집., “Chapter 33 - Peripheral Nerve Injury of the Upper Extremity”, 《Nerves and Nerve Injuries》 (영어) (San Diego: Academic Press), 505–524쪽, doi:10.1016/b978-0-12-802653-3.00082-8, ISBN 978-0-12-802653-3, 2020년 10월 2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axillary nerve - 듀크 대학교 Health Program의 정형외과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