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초과(櫻草科, 학명: Primulaceae 프리물라케아이[*])는 진달래목이다.[1]

앵초과
황화구륜초(Primula veris)
황화구륜초(Primula veris)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국화군
목: 진달래목
과: 앵초과
Primulaceae
Batsch, 1794
모식종
앵초속(Primula L.)
[출처 필요]
아과

주로 북반구온대 지역에 분포하며, 열대남반구에는 적은 수만이 있을 뿐이다. 세계적으로 20속의 1,000여 종 가량이 알려져 있는데, 한국에는 앵초·큰까치수염·까치수염·봄맞이꽃·종다리꽃·좁쌀풀·기생꽃 등 9속 23종이 분포하고 있다. 모두 풀로서, 잎은 보통 뿌리에서 나오는 것이 많고, 어긋나거나 마주나며 또는 돌려난다. 꽃은 양성화로 대부분 5수성이며, 방사 대칭을 이루고 있다. 한편, 꽃부리는 밑부분이 다소 통모양으로 합쳐져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수레 모양이나 종 모양이다. 수술은 꽃통에 붙어 있는데, 때로는 헛수술을 가지는 종류도 있다. 씨방은 대부분 상위로 1개의 방을 가지고 있는데, 가운데의 솟아오른 태자리에 여러 개의 밑씨가 달린다. 열매는 삭과이다.

APG II 분류 체계에서는 구와말속(Hottonia L.), Dodecatheon L., 봄맞이꽃속(Androsace L., 이명 Douglasia, Vitaliana), 앵초속(Primula L.), 이삭봄맞이속(Stimpsonia C.Wright ex A.Gray), 종다리꽃속(Cortusa L.), Bryocarpum Hook. f. & Thomson, Dionysia Fenzl, Kaufmannia Regel, Omphalogramma (Franch.) Franch., Pomatosace Maxim., Samolus L., Soldanella L. 등을 포함했다. 다음 속은 전통적으로 앵초과에 속했으나, Källersjö et al.(2000)에 따라 자금우과에 속하게 되었다: 갯봄맞이꽃속(Glaux L.), 기생꽃속(Trientalis L.), 까치수염속(Lysimachia L.), 뚜껑별꽃속(Anagallis L.), 시클라멘속(Cyclamen L.), Ardisiandra Hook. f., Asterolinon Hoffmans. & Link., Coris L., Pelletiera A. St.-Hil.

APG III 분류 체계빌레나무아과(Maesoideae), 테오프라스타아과(Theophrastoideae), 앵초아과(Primuloideae), 자금우아과(Myrsinoideae)로 분류했다.

하위 분류

편집

계통 분류

편집

다음은 진달래목의 계통 분류(2018년)이다.[2][3][4]

진달래목
기저분류군

봉선화과

테트라메리스타과

마르크그라비아과

미트라스테마과

레키티스과

꽃고비군

관봉옥과

꽃고비과

앵초군

사포테과

감나무과

앵초과

슬라데니아과

펜타필락스과

차나무과

때죽나무군

노린재나무과

암매과

때죽나무과

사라세니아군

사라세니아과

다래나무과

로리둘라과

진달래군

매화오리나무과

키릴라과

진달래과

각주

편집
  1. Batsch, August Johann Georg Karl. Synopsis Universalis Analytica Generum Plantarum 2: 395. 1794.
  2. 《Soltis, Douglas; Soltis, Pamela; Endress, Peter; Chase, Mark W.; Manchester, Steven; Judd, Walter; Majure, Lucas; Mavrodiev, Evgeny (2018). Phylogeny and Evolution of the Angiosperms (p. 262). University of Chicago Press. Kindle Edition.》. LCCN 2016046547. 
  3. Anderberg, A. A.; Rydin, C.; Kallersjo, M. (2002).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the order ericales s.l.: Analyses of molecular data from five genes from the plastid and mitochondrial genomes”. 《American Journal of Botany》 (Botanical Society of America) 89 (4): 677–687. doi:10.3732/ajb.89.4.677. PMID 21665668. 
  4. Anderberg, AA; KJ Sytsma; J Schönenberger (2005). “Molecular phylogenetics and patterns of floral evolution in the Ericales”. 《International Journal of Plant Scienc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Journals) 166 (2): 265–288. doi:10.1086/427198. S2CID 35461118.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