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양군(漁陽郡)은 중국의 옛 군이다.

전국·진

편집

연나라 장군 진개동호를 무찌르고 얻은 땅에 설치된 다섯 군 중 하나로, 이름은 어수(漁水)의 북쪽[양(陽)]이라는 뜻이다. 진나라가 기원전 225년 연나라를 멸하고 이듬해 군을 중건해, 진나라 통일 당시 36군에 들어간다. 치소는 어양현이다. 유물과 문헌으로 확인되는 속현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1]

이름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어양 漁陽 베이징시 화이러우구 베이팡(北房)진 리위안좡(梨园庄)촌 어양고성고지(漁陽古城古址) 상하이 박물관 소장 전국 연나라 초기 병기 “어양피”(漁陽鈹) 명문에 “(전략)...어양...(후략)” 등
천주 泉州 톈진시 우칭구 황좡(黃庄)가도 천주고성 톈진시 바오디구 진나라 고성 유지에서 출토된 진나라 돌로 만든 “천주승인”(泉州丞印) 도장 명문에 “천주승인”
백단 白檀 허베이성 롼핑현 북 진나라 봉니 “백단승인”(白檀丞印)

전한

편집

유주자사부에 속했다.[2]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68,802호, 264,116명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3][2]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12현이다. 치소는 진나라 시절과 마찬가지로 어양현이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어양현 漁陽縣 베이징시 미윈 구 남서 고수(沽水)가 새외에서 나와서 남동으로 천주(泉州)현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가니, 750리를 간다. 철관이 있다.
호노현 狐奴縣 베이징시 순이 구 북동
노현 路縣 랑팡시 싼허 시
옹노현 雍奴縣 톈진시 우칭 구 북동
천주현 泉州縣 톈진시 우칭 구 남 염관(鹽官)이 있다.
평곡현 平谷縣 베이징시 핑구 구 북동
안록현 安樂縣 베이징시 순이 구 북서
제해현 厗奚縣 베이징시 미윈 구 북동
광평현 獷平縣 베이징시 미윈 구 북동
요양현 要陽縣 청더시 펑닝 만족 자치현 남동 일대
백단현 白檀縣 청더시 롼핑 현 혁수(洫水)가 북만이(北蠻夷)에서 나온다.
활염현 滑鹽縣 청더시 롼핑 현 남

군의 이름을 통로(通路)로 고치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전한
어양 득어(得漁)
호노 거부(擧符)
통로정(通路亭)
천주 천조(泉調)
제해 돈덕(敦德)
광평 평광(平獷)
요양 요술(要術)
활염 광덕(匡德)

후한

편집

낙양에서 동북으로 2000리거리에 있다. 9현 68,456호 435,740명을 거느렸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어양현 漁陽縣 변화없음
호노현 狐奴縣 변화없음
노현 路縣 변화없음
옹노현 雍奴縣 변화없음
천주현 泉州縣 변화없음
평곡현 平谷縣 변화없음
안락현 安樂縣 변화없음
제해현 厗奚縣 변화없음
광평현 獷平縣 변화없음

위진

편집

조비시기 에 일부 현들이 폐지되고 서진대에는 연군에 일부현들만 존치된 채로 통폐합되었다.[4]

북위

편집

북위대에 군이 복치되었다. 446년(태평진군 7년)에 북평군을 통폐합했다. 6현 6,984호 29,670명을 거느렸다.[5] 396년(황시 2년)에 후한대에 버려진 전한대 어양군의 북부에 밀운군(密云郡)이 설치되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옹노현 雍奴縣 톈진 시 우칭 구 446년 천주현을 흡수하였다. 옹노성과 천주성이 있다.
노현 潞縣 랑팡시 북부와 베이징 시 순이 구 핑구 구 일대 446년 안락현, 평곡현을 흡수하였다.
무종현 無終縣 톈진 시 지저우 구 본래 북평군에 속하였다. 무종성과 낭산(狼山)이 있다.
어양현 漁陽縣 변화없음 서진시기 폐지되었다가 후에 복원되었다. 도화산(桃花山)이 있다.
토은현 土垠縣 탕산 시 펑룬 구 본래 북평군에 속하였다. 446년 북평군이 통폐합되면서 어양군의 영현이 되었으나

448년(태평진군 9년)에 신설된 안락군으로 이관되었다.

서무현 徐無縣 탕산 시 쭌화 시 본래 북평군에 속하였다.

586년(개황 6년) 현주(玄州)를 이곳에 옮겨 설치하고 총관부를 두었다. 총관부는 대업초에 폐지되었다. 1현 3,925호를 거느렸다.[6] 그리고 이때부터 군의 치소가 톈진시 지저우 구로 고정되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무종현 無終縣 톈진 시 지저우 구 북주에서 서무현을 통폐합했다. 본래 북평군에 소속되있던 현들이었지만 대업시기 이곳에 어양군을 신설하게 되었다. 장성, 연산(燕山), 무종산(無終山), 구하(泃河), 여하(如河), 경수(庚水), 누수(壘水)、남수(濫水), 바다가 있다.

730년(개원 18년), 유주의 3개현에 계주(薊州)를 설치했고 742년(천보 원년) 당나라가 군제를 실시하면서 계주는 어양군으로 불리게 되었다. 758년(건원 원년) 군현제를 폐하고 주현제를 실시하면서 계주로 불리게 되었다. 천보연간에는 3현 5,317호 28,521명을 거느렸다.[7]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어양현 漁陽縣 톈진 시 지저우 구 수나라때부터 이와 같은 이름으로 불렸다. 618년(무덕 원년) 유주에 속했다가 619년(무덕 2년) 현주(玄州)로 소속이 옮겨졌다. 그리고 무종현을 분리설치했다가 627년(정관 원년) 폐지했다. 705년(신룡 원년) 영주(營州)의 치현으로 바꾸었다가 716년(개원 4년) 유주로 소속이 돌아왔다. 730냔 유주에서 분리되 계주의 치현이 되었다.
삼하현 三河縣 랑팡 시 싼허 시 716년 노현(潞縣)에서 분리신설했다. 730년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옥전현 玉田縣 탕산 시 위톈 현 697년(만세통천 2년),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705년 영주에 소속시켰다가 716년 유주로 소속되었다. 720년(개원 8년) 영주에 다시소속시켰다가 723년(개원 11년) 계주로 소속이 바뀌었다.

군수·태수

편집

전한

편집
  • 해(解, 기원전 119년 당시)[8]
  • 팽굉(彭宏, 애제 시기)[9]
  • 전립(田颯)[10]

각주

편집
  1. 后晓荣 (2009년 1월 1일). 《秦代政区地理》 [진대정구지리]. 北京市东城区先晓胡同10号: 社会科学文献出版社. 377~378쪽. ISBN 9787509705704. 
  2. 周振鹤 (2006년 6월). 《汉书地理志汇释》. 合肥市回龙桥路1号: 安徽教育出版社. 405 - 407쪽. ISBN 7-5336-4757-2. 
  3. 반고: 《한서》 권28 지리지 제8 하
  4. 위수, 위서. “106권 지형지”. 
  5. 위수, 위서. “106권 지형지”. 
  6. 《수서》 30권 지 제 25 지리지 中 기주 어양군 [1]
  7. 《구당서》 39권 지 제 19 지리지 2 하북도 계주 [2]
  8. 반고: 《한서》 권55 위청곽거병전
  9. 범엽: 《후한서》 권12 왕유장이팽노열전
  10. 홍괄: 《예석》 권20 척창장전군비(斥彰長田君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