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글린턴역 (TTC)

(에글린턴 역 (TTC)에서 넘어옴)

에글린턴
Eglinton
Map
개괄
관할 기관 토론토 교통국
소재지 캐나다의 기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기 온타리오주 토론토
영 스트리트 2190번지
(2190 Yonge Street)
좌표 북위 43° 42′ 21″ 서경 79° 23′ 54″ / 북위 43.70583° 서경 79.39833°  / 43.70583; -79.39833
개업일 1호선: 1954년 3월 30일
5호선: 2023년
승강장수 1호선: 1면 2선 (섬식)
5호선: 1면 2선 (섬식)
승차 인원 68,520 (2018년[1])
거리표
TTC 영-유니버시티선
TTC 에글린턴선 (2023년 개통)

에글린턴역(영어: Eglinton Station)은 토론토 지하철 1호선 영-유니버시티선 정차역으로, 영가에글린턴 애비뉴 교차로 남서쪽에 위치해있다. 에글린턴역은 토론토 교통국에서 7번째로 바쁜 역이다.[2]

이 역은 새로 지어지고 있는 경전철 노선인 5호선 에글린턴선이 완공하면 환승역으로 거듭날 예정이며 경전철은 2023년에 개통할 예정이다.

역사

편집

초기 역사

편집

에글린턴 애비뉴는 1794년에 영 스트리트가 심코호로 놓였을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3] 이 지역은 어퍼캐나다에서 가장 큰 양떼 방목지였다. 이곳은 북미에서 처음으로 모든 양떼에 방울을 단 곳인데, 이를 기념하여 토론토시는 이 근처의 도로 이름을 카우벨 레인 (Cowbell Lane)으로 지었다.[4] 1837년에는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로부터 영감을 받은 어퍼캐나다 반란의 일환으로 몽고메리 터번 전투가 영과 에글린턴 북쪽에서 벌어졌고, 정부군이 승리하였다.[5]

이 지역에 대중교통이 처음 들어온 시점은 1885년 1월 26일로, 메트로폴리탄 노면철도사가 영 스트리트를 따라 토론토 도심에서 에글린턴 애비뉴까지 마차를 운행하면서였다.[6] 마차가 운행하면서 이곳의 인구는 점점 늘어났고 1890년에는 이 동네가 노스토론토로 발전하였다.[7] 1892년에는 영 노면전차는 로렌스 북쪽에 있는 글렌에코 로드까지 연장되었다.[8] 영 스트리트에 지하철을 놓으려는 계획은 1909년과 1912년 사이에 수면에 올랐고 1912년 주민 투표에서 지하철 건설을 부결하면서 지하철 건설 논의는 향후 30년 동안 잠잠해졌다.[9]

1910년대에 들어서서 토론토시는 북쪽으로 계속 확장하였다. 1905년 로즈데일, 1912년 디어파크 흡수에 이어서 1912년에는 노스토론토도 토론토에 통합되었다.[10] 영 스트리트는 북쪽으로 계속 뻗어나갔던 반면 영 노면전차는 당시 운영사였던 토론토 철도 회사 (Toronto Railway Company)와의 갈등으로 제자리걸음을 계속하였다. 20세기 초반에 TRC는 1894년 이후에 토론토가 흡수한 지자체에 대중교통을 짓는 것을 반대하였고 시의회에서는 TRC의 운행 인가가 만료되는 1921년까지 기다리며 영이나 베이 (당시 테롤리) 스트리트에 지하철을 짓는 방안을 검토하였다.[8]

1921년 9월 1일, 토론토 철도 회사의 운행 인가가 만료되고 토론토시가 발족한 공기업인 토론토 교통국이 노면전차를 운행하면서 영 노면전차 또한 전면 교체가 이루어졌다. 영 노면전차 선로는 1921년 10월부터 교체를 시작하여 두 달 뒤인 12월 7일에 운행을 재개하였다.[8] 이와 동시에 교통국은 새로운 철제 피터 위트 노면전차를 선보였고 기존의 낡은 목재 노면전차를 교체하였다.[11] 또한 1922년 11월 2일, 영 노면전차 선로가 우드론에서 글렌에코까지 복선화되어 배차가 늘어났다.[8]

지하철 건설 추진

편집

2차 세계대전이 한창 이어지던 도중 캐나다는 고무와 휘발유 배급 정책에 들어갔고 영 노면전차는 승객이 계속 늘어 항상 만원이였다. 1940년에 들어서서는 노면전차가 앞으로 증가할 인구를 실어나를 수 없다는 게 확실해졌다. 1942년에 토론토 교통국은 영 스트리트를 따라 지하 전차 노선을 지을 것을 추진하였다. 토론토 시의회는 처음에 교통국이 제시한 계획안이 너무 복잡해 재검토를 요청했고 1946년에 교통국은 시카고 지하철과 같은 중전철을 영 스트리트 밑으로 에글린턴 애비뉴에서 유니언역이 있는 베이와 프론트까지 지을 것을 제안했다.[12] 이 계획안은 1946년 1월 1일에 주민투표를 거쳤으며 90%가량이 찬성하였다.[13] 영 노면전차는 당시 한 시간에 1만 4천여 명을 실어날랐고 토론토 주민들 대부분은 당연한 수순이라 생각하였다.[8]

지하철 건설이 확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교통국은 영 스트리트의 노면전차 보수 공사를 1948년까지 계속하였다.[8] 지하철이 5년 뒤에 개통하였지만 영 노면전차는 외면하기엔 너무 중요한 노선이였기 때문이다. 영 지하철 공사는 1949년 9월 8일에 본격적으로 삽을 들었다.[14]

건설 과정

편집

영 지하철을 짓는 데에는 비용 절감을 위해 터널을 굴착하지 않고 개착식으로 영 스트리트에 땅을 판 다음 전선과 하수관 등을 옮긴 뒤 철골 구조물을 용접하였다.[15] 이 구조물은 지상의 노면전차 선로를 받치는 나무 판자를 떠받쳤다.[15]

교통국은 지하철 공사 도중 영 스트리트에 노면전차를 운행하는 데 난항을 겪었으며 임시 방편으로 나무 판자에 깔린 선로와 근처에 있는 마운트플레전트와 애비뉴 로드 등지로 우회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승객들은 공사에 따른 불편을 몇 년 뒤에 지하철이 개통할 거라는 희망을 갖고 감내하였다. 교통국 또한 공사에 따른 불편을 이해하여 연말 쇼핑 시즌에 노면전차 노선을 정상 운행하였다.[8]

에글린턴역 건물은 에글린턴에 있던 노면전차 차량기지에서 지어졌다. 공사가 진행되면서 노면전차 기지는 버스와 트롤리버스 차고로 바뀌었고 교통국은 그 사이에 노면전차를 임시로 주박할 곳을 찾고 있었다.[8] 토론토항만공사는 퀸스키 북쪽, 베이와 요크 사이에 노면전차 임시 주박 공간을 마련하였고[16] 부둣가 근처에 임시로 설치한 주박장에는 몇 달 만에 34대의 노면전차가 주박하였다.[8]

영 지하철 개통

편집

5년 동안의 공사가 끝나고 영 지하철은 1954년 3월 30일에 개통하였다. 개통식에는 레슬리 프로스트 온타리오주지사, 앨런 램포트 토론토시장 등이 참석하였다.[17] 이와 동시에 영 노면전차는 운행을 중단하였다.[14]

에글린턴역이 처음 개통할 때에는 영 지하철의 종착역으로 섬식 승강장에 두 선로가 지나갔다. 계단은 네 개, 에스컬레이터는 한 개 있었다. 메자닌층 중심부 동쪽에는 역 정문으로 빠져나가는 계단과 화장실이 있고 반대편인 서쪽에는 버스 터미널로 이어지는 유리문이 설치되었다.[18]

정문은 에글린턴 애비뉴에서 100미터가량 남쪽에 위치했으며 향후 캐나다 스퀘어 건물이 올라갈 때까지 창문 없는 가건물이였다. 개찰구 선은 영 스트리트와 직각이고 계단은 두 층으로 이루어져 승객들은 지상에서 메자닌까지 계단으로 360도 돌아야 했다.[18]

지하철에서 버스나 트롤리버스로 갈아타는 승객들은 서쪽으로 뻗은 두 번째 대합 공간으로 이어지는 유리문을 따라 걸어갔다. 왼쪽에는 별도의 계단이 9개의 버스 승강장으로 이어졌고 각 승강장에는 버스 차선이 하나씩 있으며 하차와 승차 공간으로 따로 나뉘어 있었다. 각 승강장은 반투명 유리벽으로 분리되어있으며 눈이나 비를 막아주는 천장이 있었다. 버스나 트롤리버스에서 내리는 승객들은 하차장에서 내려 별도의 계단으로 버스 승강장 대합실로 걸어 올라갔다.[18]

버스와 트롤리버스는 에글린턴 애비뉴 또는 영과 에글린턴에 있는 사선의 진입로를 통해 터미널에 들어갈 수 있었는데, 사선 진입로는 이후 개발이 이루어지면서 자취를 감추었다. 이후 버스는 승강장에 진입한 뒤 듀플렉스 애비뉴나 영 스트리트를 통해 빠져나갔다.[18]

버스 승강장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1번에서 9번까지 번호가 매겨져있는데, 1번에는 영, 4번에는 노타운 동쪽, 5번에는 리사이드, 6번에는 서니브루크, 7번에는 노타운 서쪽, 8번에는 에글린턴 웨스트, 9번에는 리치먼드힐 버스가 정차하였다. 이 중 네다섯 곳에는 트롤리버스 전차선이 있었다. 이 당시 영과 노타운 버스는 트롤리버스였고 에글린턴 웨스트 또한 트롤리버스로 운행할 가능성이 있었다.[18]

역 서쪽 끝에 있는 9번 승강장에는 개찰구가 있었고 여기서 승객들이 듀플렉스 애비뉴 출구로 빠져나올 수 있었다. 요금 지불 구역 바깥에는 10번 승강장이 있었는데, 듀플렉스 출입구나 역 남쪽 계단을 통해 진입할 수 있었다. 10번 승강장은 다른 승강장과 구조가 달랐는데, 정차 공간이 톱니바퀴 모양으로 네 개 있었고 천장 디자인도 달랐다. 이 승강장은 왜 요금 지불 구역 바깥에 있었는지는 알지 못하지만 외곽 지역에서 온 관계로 별도의 요금을 내야 하는 버스를 위한 정차 공간으로 추정된다.[18] 에글린턴역에서 승차하는 승객이나 10번 승강장에서 도착하여 지하철이나 요금 지불 구역 내에 있는 버스를 타야 하는 경우에는 버스 대합실에서 떨어진 북쪽에 있는 통로를 통해 TTC 요금을 지불해 역 안으로 들어갈 수 있었다.[18]

버스 대합실 북쪽에 승강장으로 이어지는 통로 사이에 상가가 있었는데, 역 개통 당시에는 비어있었다. 역 개통 당시 버스와 지하철 대합 공간이 만나는 곳에 가판대가 있었고 이후 쭉 그 자리를 지켜왔다.[18]

역 확장

편집

개통 후 역 구조가 처음으로 바뀐 건 1958년으로, 듀플렉스 출입구 위에 건물이 올라갔고, 9번 승강장에 있던 개찰구는 듀플렉스 출입구로 이전하였고 이에 따라 10번 승강장도 요금 지불 구역 내부에 들어오게 되었다.[19] 또한 1번 승강장 근처에 있던 매표소 공간은 나중에 상가로 탈바꿈하였다.[18]

듀플렉스 출입구는 토론토 지하철에서 처음으로 무인 자동 출입구로 운영하였다.[18] 이는 당시 승객들이 기계 고장이나 무인승차는 물론 어른이 아닌 데도 어른 요금을 내야 하는 등 불편함을 토로하였다. 하지만 교통국은 듀플렉스에 설치된 무인 출입구가 성공을 거두어 앞으로 짓는 역에도 무인으로 운영하는 자동 출입구를 지을 계획을 시사하였고, 이후 1963년에 세인트조지역에 무인 출입구가 설치되었다.[18]

10번 승강장이 역 내부로 편입되면서 1번에서 9번 승강장에 도착한 승객들이 버스 대합 공간에 사람들이 붐빌 때 북쪽 통로를 이용해 지하철로 갈아탈 수 있게 되었고, 두 번째 엘리베이터가 승강장과 대합 공간 사이에 추가되면서 에스컬레이터가 양쪽으로 대칭 운행하였다.[19]

이 배치는 처음에는 적절하였지만 나중에 외곽에서 오는 승객들이 늘어나면서 역 내부가 혼잡해졌다. 이에 따라 1963년에는 버스 터미널에 11번에서 13번까지 세 개의 외곽 승강장이 추가되었다. 이 승강장에는 각각 한 개 차선이 있었고 12, 13번 승강장에는 완전한 지붕이 있었던 반면 11번에는 천정만 있었다.[19]

당시 TTC의 요금제는 구간 요금제로, 시내는 1구역, 외곽은 2구역으로 구분되어 있었다.[20] 에글린턴 북쪽은 97번 영 트롤리버스가 1구역 끝부분까지 운행하였고[21] 59번 노스영 버스는 1구역 끝까지 급행으로 운행한 다음 2구역에서 완행으로 운행하였다.[22] 이에 따라 11-13번 승강장은 러시 아워에 59번 버스가 정차하였고 2구역 요금은 새로 지어진 승강장에서 기존 터미널로 이어지는 통로에서 받는 관계로 버스 안에서 지불할 필요는 없었다.

역세권은 그 사이에 많이 바뀌었는데, 지하철 개통에 따른 개발 바람이 불어 토론토 교통국은 역 공중권을 개발업자에 팔아 상가, 사무실, 영화관, TVO 본사가 입점하는 캐나다 스퀘어 건물이 들어섰다. 영 스트리트 2180번지와 2190번지에 위치한 캐나다 스퀘어 본관은 1962년에 개장하였고 2210번지에 위치한 북쪽 별관은 6년 뒤인 1968년에 개장하였다.[23] 당시 TTC는 에글린턴역 위에 12층 규모의 건물이 들어설 정도로 역을 설계하였으나 개발업자는 17층을 바랐다. 이에 따라 개발업자는 건물 토대를 보강하여 마지막 5개 층을 보강된 토대에 받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18] 또한 1974-75년에는 영 에글린턴 센터가 교차로 북서쪽에 들어섰다.[24]

또한 이 사이에 캐나다 스퀘어의 두 건물 사이에 두 번째 자동 출입구가 지어졌다. 이 출입구는 역 메자닌 층으로 이어지지 않았고 승강장 남쪽 끝으로 계단을 통해 바로 이어졌다.[18]

1970-80년대

편집

1973년에 영 지하철이 요크밀스역까지 연장되어 에글린턴역의 광역 교통 입지는 줄어들게 되었다. 연장 구간이 개통하면서 TTC는 러시 아워에 에글린턴행과 요크밀스행으로 번갈아 운행하였으며 행선지 안내기가 당역 종착인지 요크밀스행인지 알려주었다. 종착역은 1980년대까지 이원화되었으며, 이후 핀치역에서 모든 열차가 종착하였다. 오늘날 에글린턴역에는 열차가 당역 종착하는 경우가 가끔 있지만 남쪽에 있는 X자 회차선 대신 1973년에 역 북쪽에 설치된 주박선을 이용한다.[18]

역세권 개발은 계속 이루어졌지만 지하철 연장으로 에글린턴역에 정차하는 버스 수가 줄어들었고 이에 따라 11-13번 버스 승강장은 불필요해져 문을 닫았다. 승강장 건물은 80년대 중반에 1-9번 승강장 보수 공사로 임시 개방한 것을 제외하고는 40년 동안 계속 방치되어 있었다. 이후 이 건물은 주차장 건물로 세를 주다가 2004년에 TTC 직원 주차장으로 바뀌었다.[18] 1-9번 승강장에는 꾸준히 버스가 들어왔지만 듀플렉스 애비뉴 출입구와 연결된 10번 승강장은 다른 승강장이 공사 등으로 폐쇄되었을 때 운영하였다.[18]

1980년대 중반에는 에글린턴역에 기존에 붙인 비트로라이트 타일을 교체하기 위한 재건축 공사가 이루어졌다. 이 사이에 버스 승강장 배치는 또다시 바뀌었고 북쪽 통로는 폐쇄하였다. 버스나 트롤리버스에서 다른 버스나 지하철로 갈아타는 승객들은 중앙 홀을 거쳐가야 했다. 이에 따라 에글린턴역은 개통 이후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게 되었고 비트로라이트 타일도 새로 교체하였다. 이 공사로 상가 공간이 늘어났고 화장실은 중앙 홀 남쪽 끝으로 이전하였다.[18]

버스 터미널 폐쇄

편집

2000년 여름에 버스 터미널에 보수 공사가 시작되었다. 6번과 7번 승강장 계단 사이에 골격을 지지하는 다리 모양 구조물이 올라갔다.[18] 이는 공사 현장에서 비계와 같은 임시 구조물에서나 볼 수 있는 모습이다. 중앙 홀 위에 있는 콘크리트 판은 그 무게 자체 뿐만 아니라 위에 지나는 버스 무게를 지탱할 수 없어서 휘청이기 시작하였다. 콘크리트는 바쁜 버스 노선인 32번 에글린턴 웨스트 버스 승강장에 특히 금이 많이 갔던 관계로 새로운 지지 기반이 필요하였다.[18]

하지만 이는 시작에 불과하였다. 경간 밑에 있던 C형강 천장을 긴 시간동안 개봉하여 콘크리트 안전 점검에 들어갔다.[18] 2001년 11월, 토론토 교통국은 버스 승강장을 지탱하는 판이 2003년에 그 수명을 다할 것으로 보이며 그 때까지는 버스 터미널의 운행을 중단해야 한다는 보고서를 발표하였다.[25] 그 사이에 역 근처에 있던 에글린턴 차고지를 컴스톡 로드에 있는 새로운 차고지로 대체하는 방안이 거론되었고 이와 동시에 기존 차고에 임시 버스 터미널을 지을 기회가 생겼다.[18]

에글린턴역의 구 버스 터미널은 2003년 4월 27일에 운행을 중단하였다. 공사 도중에 콘크리트 판에 또다른 문제를 찾았는데, 두 번째 거치 구조물이 2003년 6월에 10번 승강장에 올라갔고 7월에는 6번 승강장에 올라갔다. 또한 7월 28일에는 역 남쪽의 영 스트리트 출입구를 공사 일환으로 폐쇄하였다.[18]

"임시" 버스 터미널

편집

2003년 4월 4일, 역 남쪽 출입구를 확장하여 조성한 임시 터미널이 개장하였다.[18] 개장 당시 이 터미널은 임시로 쓰일 예정이였지만 역 사정에 따라 이 터미널은 앞으로 20년 가까이 계속 쓰게 되었다. 기존에 도로와 연결된 남쪽 출입구는 폐쇄되었고 그 남쪽에 TTC 사무실로 쓰였던 자리에 더 넓은 출입구가 생겼다.[18] 이곳은 여전히 자동 출입구이지만 진입용과 진출용 개찰구가 한 쌍씩 있었던 기존과 달리 두 쌍으로 늘었고, 교통국은 2017년에 프레스토 카드 호환 개찰구로 교체하였다. 지하철 승강장으로 이어지는 계단은 똑같지만 계단 남서쪽에는 버스로 갈아타는 승객을 위한 대합실이 있었다.[18]

대합실 너머로 버스 승강장이 두 곳이 있었는데, 동쪽 방면 승강장은 대합실에서 남쪽으로 이어졌고 서쪽 방면 승강장은 서쪽으로 기존 버스 터미널 중앙 홀과 나란히 배치되었다. 동쪽 방면 승강장에는 정차 지점이 여섯 곳, 서쪽 방면에는 네 곳이 있다.[18] 서쪽 방면 승강장의 시작 부분은 기존 버스 터미널의 동쪽 끝에 있었다. 역 메자닌은 대부분 지하 1층에 있었지만 남쪽 출입구의 경우에는 영 스트리트의 경사로 출구 밖은 바로 지상이였다. 이에 따라 남쪽 출입구는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적합한 곳으로 2004년 9월 9일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였다. 지하철 승강장으로 이어지는 엘리베이터 또한 같은 날에 개장하였다.[26]

임시 터미널에서 승객이 가장 많은 버스 노선인 32, 34, 54번은 대합실 근처에 정차하였다. 지하철 승강장에서 이 버스가 정차하는 승강장까지 걸어가는 데 기존 버스 터미널까지 걸어가는 것과 비슷하지만 터미널에서 계단을 오르락내리락할 필요가 없었다. 나머지 버스의 경우에는 기존에 비해 멀찌감치 떨어져있다. 61번과 5번 버스가 정차하는 서쪽 끝 승강장은 바깥에 있지만 천정이 눈과 비를 막아주었다.[18]

예전 터미널에서는 모든 버스와 트롤리버스가 에글린턴 애비뉴에서 바로 진입했지만 임시 터미널에는 6개 버스 노선이 에글린턴에서 듀플렉스 애비뉴로 돌아 기존 차고지 통로를 통해 임시 터미널로 진입하였다.[18] 터미널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아 버스 승강장에 도착하였다. 반시계 방향으로 돌 수 없는 남쪽 승강장에 정차하는 51, 56, 103번 버스는 에글린턴에서 영으로 좌회전한 다음 버윅에서 우회전하고 터미널 건물에서 또다시 우회전하여 버스 승강장에 진입하였다. 모든 버스는 듀플렉스를 통해 빠져나갔고 에글린턴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였다.[18]

임시 터미널 개장 당시 기존 버스 터미널 10번 승강장과 같이 여분으로 남겨둔 승강장이 있는데, 이는 기존 터미널의 남쪽 끝에 지어진 천장 없는 승강장이다. 버스는 듀플렉스에서 기존 차고 출구 반대 방향으로 진입해 영 스트리트로 빠져나갔다. 승강장 동쪽 끝에서 계단으로 기존 버스 터미널 중앙 홀로 연결 통로가 있었는데 이후 기존 터미널이 문을 닫으면서 이 승강장도 폐쇄되었다.[18]

동쪽 방면 버스 승강장에는 기존 버스 터미널에 입점했던 상가를 대체하는 새로운 상가를 조성하였고 상가 이전에는 며칠에서 몇 주가 걸렸기 때문에 처음 개장할 때에는 텅 비어있었다.[18]

2008년 6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에글린턴에서 핀치역까지 심야 시간대에 터널 보수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하차 전용 승강장은 핀치 방면 셔틀버스가 정차하였다.[27] 2016년에는 또한 에글린턴 경전철 공사로 103번 마운트플레전트 노스 버스 운행이 중단되고 74번 마운트플레전트 버스로 대체하였으며[28] 100번 플레밍던파크 버스는 34C번 에글린턴 웨스트 버스로 바뀌었다.[29]

새로운 버스 터미널

편집

기존 버스 터미널이 철거되면 새로운 버스 터미널을 지으려고 하였다. TTC는 이미 에글린턴역 공중권 판매로 수백만 달러를 챙겼고 버스 터미널 부지를 개발하면서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되었다.[18] 하지만 터미널 개발 계획은 토론토 시의회가 2006년에 에글린턴 애비뉴에 지하 경전철을 짓기로 하면서 상황이 복잡해졌다. 주정부는 에글린턴 경전철을 지원하기로 하였고, 롭 포드 토론토 시장이 당선되었지만 경전철 사업은 주정부 산하기관인 메트로링스가 진행 중이다.

에글린턴 경전철의 설계에 따라 버스 터미널이 어떻게 지어질 지가 관건인데, 경전철이 지어지면서 이 역에 정차하는 버스 노선이 줄어들 것으로 보이며 그 와중에 임시 버스 터미널은 경전철 공사가 마무리될 때까지 계속 운행될 것으로 보인다.[30]

기존 버스 터미널은 2003년 폐쇄 이후 13년 동안 방치되었다가 2016년과 17년에 경전철 공사로 철거하였다.[31] 경전철은 지하철 승강장 구조도 바꾸게 되는데, 2013년 11월 계획에 따르면 기존 1호선 승강장을 70m가량 북쪽으로 옮겨 환승 동선을 개선하고자 하였다.[32] 하지만 이 과정에서 북쪽 주박선을 철거하게 되는 관계로 2018년 3월에 승강장을 북쪽으로 24m 옮겨 주박선을 유지하기로 하였다. 승강장 남쪽 끝에 있는 남쪽 출입구는 그대로 유지하되 여분의 승강장 공간은 벽으로 막아두기로 하였다.[33] 북쪽으로 연장된 승강장 구간은 2023년 5월 14일에 개통하였다.[34]

역 특징

편집

1호선

편집

현 지하철역은 세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영과 에글린턴 곳곳에 출입구가 나있다. 중앙 홀과 개찰구, 버스 터미널, 상가는 지하 1층에,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있다.[35]

에글린턴역은 1954년에 개통한 원조 지하철역 중에서 유리벽 타일을 유지한 유일한 역으로, 나머지 역은 시간이 지나면서 타일이 손상되어 다른 재질로 교체하였다.[36]

이 역은 남쪽 끝은 개착식으로 지어졌으며 남쪽에서 역으로 진입하기 전에 버윅 터널에서 지하로 들어간다. 이후 선로가 섬식 승강장 양쪽으로 갈라진다. 역 남쪽에는 이 역이 종착역이였을 때 쓰였던 회차선이 있고 역 북쪽으로는 굴착식으로 지어졌다.

5호선

편집
5호선 에글린턴역 신규 출입구 (2022년 10월)

지금 지어지고 있는 경전철역은 5개 층으로 이루어진다.[37]

  • 지상층: 영과 에글린턴 교차로 남서쪽에 출구가 있다.
  • 메자닌: 기존역의 중앙 홀
  • 경전철 윗층 콩코스: 1호선 승강장보다는 살짝 밑에 있으며 이후 1호선 선로와 승강장에 따라 동편과 서편으로 갈라진다.
  • 경전철 아랫층 콩코스: 1호선 승강장 밑층에 위치한다.
  • 경전철 승강장: 경전철 완공 이후 이 역에서 가장 깊은 곳에 위치한다.

버스 터미널

편집

버스 터미널은 역 남쪽에 위치해있으며, 터미널의 승강장과 버스 루프는 이전에 버스 차고지 건물로 쓰였다. 버스 터미널 북동쪽에는 역 출입구와 대합실이 있으며 여기서 1호선 승강장으로 내려갈 수 있다. 터미널 남쪽 끝에 있는 승강장은 동쪽으로 가는 버스가, 북쪽에 있는 승강장은 서쪽으로 가는 버스가 정차한다. 버스는 버윅 애비뉴나 듀플렉스 애비뉴를 통해 진입한다.[18]

출입구

편집

에글린턴역 출입구는 다음과 같이 총 6곳으로, 이 중 네 곳은 경전철 공사로 폐쇄되어 두 곳으로만 진입할 수 있다.

  • 영 / 에글린턴 남서쪽에 있는 캐나다 스퀘어 출입구
  • 영 스트리트와 버윅 애비뉴 북쪽에 있는 지하철 승강장으로 바로 이어지는 무인 자동 출입구
  • 영 / 에글린턴 남동쪽에 있는 CIBC 출입구 (2018년부터 2023년까지 경전철 공사로 폐쇄)[38]
  • 영 / 에글린턴 북서쪽 출입구 (2017년부터 2023년까지 경전철 공사로 폐쇄)[38]
  • 영 스트리트 2300번지에 위치한 영 에글린턴 센터 푸드코트에서 이어지는 통로 (2017년부터 2023년까지 경전철 공사로 폐쇄)[38]
  • 영 / 에글린턴 북동쪽에 있는 TD 은행 출입구 (2014년에 고층 건물 공사로 폐쇄. 이후 2023년까지 경전철 공사로 폐쇄)[38]

공공 미술

편집

에글린턴 경전철의 주요 환승역에 미술 작품을 설치하게 되며, 에글린턴역에는 로드니 라투렐과 루이즈 위토프트의 《안으로부터의 빛》 (Light from Within)이 경전철 승강장으로 내려가는 에스컬레이터 위에 설치된다. 13톤 규모의 거울 유리 타일로 이루어진 이 작품은 도시 철도의 지하 동굴을 연상하는 광물, 크리스탈, 보석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작품이다.[39]

버스 연결편

편집
에글린턴역에 위치한 버스 터미널

에글린턴역에 정차하는 버스는 다음과 같다. 영 스트리트를 지나는 97번 버스나 심야 버스를 제외하고는 모든 버스가 역 안에 있는 버스 터미널로 정차한다. 역 밖에 있는 버스로 갈아타는 경우에는 프레스토 카드나 환승 표 등 요금을 지불했다는 증명이 필요하다.

지하철이 끊기는 심야 시간대에는 320번 영, 332번 에글린턴 웨스트, 334번 에글린턴 이스트, 354번 로렌스 이스트 버스 등 4개 심야 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다.

  일반 버스
  일반 버스 (최대 10분 간격 운행)
  심야 버스
노선 종점 경유지 비고
13A 애비뉴 로드 Avenue Road 에글린턴역 퀸스파크역 매일 상시 운행
13B 엠 / 유니버시티 평일 러시 아워에만 운행
32A 에글린턴 웨스트 Eglinton West 렌포스역 에글린턴역 매일 상시 운행. 렌포스 서쪽 구간은 마이웨이의 35/35A번 버스로 환승.
32C 제인 / 로렌스 매일 상시 운행
34A 에글린턴 이스트 Eglinton East 에글린턴역 케네디역 매일 상시 운행.
34C 그레노블 / 스팬브릿지 매일 상시 운행. 케네디역 방면 돈밀스에서 34A/B번 버스로 환승.
51 레슬리 Leslie 프레시메도우 / 돈밀스 에글린턴역 매일 상시 운행. 스틸즈 북쪽 구간은 돈밀스 / 스틸즈에서 YRT 90번 버스로 환승.
54A 로렌스 이스트 Lawrence East 에글린턴역 로렌스 / 스타스프레이 매일 상시 운행
54B 브리몰튼 / 올튼파크 매일 상시 운행
56A 리사이드 Leaside 에글린턴역 던랜즈역 매일 상시 운행
61 애비뉴 로드 노스 Avenue Road North 봄베이 / 애비뉴 로드 (401번) 에글린턴역 매일 상시 운행
97A Yonge 요크밀스역 데이비스빌역 매일 상시 운행
97B 영 / 퀸스키 평일 러시 아워에만 운행
97F 힐다 / 스틸즈 데이비스빌역 매일 상시 운행
320 Yonge 영 / 스틸즈 영 / 퀸스키 매일 심야 시간대에 운행
332 에글린턴 웨스트 Eglinton West 토론토 피어슨 국제공항 에글린턴역 매일 심야 시간대에 운행
334 에글린턴 이스트 Eglinton East 에글린턴역 뉴게일 / 핀치딘 매일 심야 시간대에 운행
354 로렌스 이스트 Lawrence East 에글린턴역 스타스프레이 루프 매일 심야 시간대에 운행

각주

편집
  1. “Subway ridership, 2018” (PDF) (영어). 토론토 교통국. 2020년 8월 2일에 확인함. 
  2. Moore, Oliver (2018년 2월 4일). “Subway closings aggravate Yonge and Eglinton driving difficulties” [지하철 폐쇄로 영 / 에글린턴에서 운전하기 더욱 힘들어져]. 《글로브 앤 메일. 2020년 4월 26일에 확인함. 
  3. Ritchie, Don (1992). 《North Toronto》 [노스토론토]. Boston Mills Press. 62-63쪽. 
  4. “Naming of Public Lane Located East of Yonge Street Between Eglinton Avenue East and Soudan Avenue” [영 스트리트 동쪽, 에글린턴 애비뉴 이스트와 수단 애비뉴 사이에 있는 골목 이름 선정] (PDF). 《토론토시》. 2009년 6월 1일. 2020년 4월 26일에 확인함. 
  5. Doherty, Brennan (2016년 12월 2일). “December 7, 1837: Battle of Montgomery's Tavern” [1837년 12월 7일: 몽고메리 터번 전투]. 《토론토 스타. 2020년 4월 26일에 확인함. 
  6. Bow, James (2015년 6월 25일). “A History of Interurban Service on Yonge Street” [영 스트리트의 광역 교통 역사]. 《Transit Toronto》. 2020년 4월 16일에 확인함. 
  7. Wencer, David (2012년 12월 8일). “Historicist: The “Manifest Destiny” of North Toronto” [히스토리시스트: 노스토론토의 "명백한 운명"]. 《Torontoist》. 2020년 4월 26일에 확인함. 
  8. Bow, James; Coulman, Pete (2020년 4월 4일). “A History of City Streetcars on Yonge Street” [영 스트리트의 토론토 노면전차 역사]. 《Transit Toronto》. 2020년 4월 26일에 확인함. 
  9. Lorinc, John (2012년 1월 1일). “The centenary of the subway that might have been” [지어졌을 수도 있는 지하철의 100년 역사]. 《글로브 앤 메일. 2020년 4월 26일에 확인함. 
  10. Careless, James M. S. (1984). 《Toronto to 1918: An Illustrated History》 [1918년까지의 토론토: 삽화가 들어간 역사]. 토론토: J. Lorimer & Co. 125쪽. 
  11. Bow, James (2015년 9월 7일). “The Peter Witts” [피터 위트 노면전차]. 《Transit Toronto》. 2020년 4월 26일에 확인함. 
  12. P., John (2017년 9월 1일). “Remembering the Toronto Transportation Commission: September 1: Snapshots in History” [토론토 교통국을 기억하며: 9월 1일: 역사의 장면]. 《토론토시립도서관》. 2020년 4월 26일에 확인함. 
  13. “Canada's First Subway: Why a Subway?” [캐나다의 첫 지하철: 왜 지하철을 지었는가?]. 《토론토시》. 2020년 4월 26일에 확인함. 
  14. Bow, James (2020년 4월 10일). “A History of the Original Yonge Subway” [원조 영 지하철 역사]. 《Transit Toronto》. 2020년 4월 26일에 확인함. 
  15. “Canada's First Subway: Underground Downtown” [캐나다의 첫 지하철: 지하 시내]. 《토론토시》. 2020년 4월 26일에 확인함. 
  16. Bow, James (2015년 9월 7일). “A History of Streetcars to Toronto's Waterfront” [토론토 호숫가의 노면전차 역사]. 2020년 4월 26일에 확인함. 
  17. “Canada's First Subway: Open for Business” [캐나다의 첫 지하철: 개통]. 《토론토시》. 2020년 4월 27일에 확인함. 
  18. Bow, James. “Eglinton” [에글린턴역]. 《Transit Toronto》. 2020년 4월 27일에 확인함. 
  19. “A Photo Tour of Eglinton Station on May 3, 2003” [에글린턴역 2003년 5월 3일 출사]. 《Transit Toronto》. 2017년 3월 5일. 2020년 4월 27일에 확인함. 
  20. Marshall, Sean (2016년 7월 14일). “The TTC Used to Have Fare Zones-and They May be Coming Back” [TTC에는 구간 요금이 있었고 돌아올 수 있어]. 《Torontoist》. 2020년 4월 27일에 확인함. 
  21. Kay, Jeffrey; Bow, James (2020년 4월 4일). “97 Yonge” [97번 영 버스]. 《Transit Toronto》. 2020년 4월 27일에 확인함. 
  22. Coulman, Peter (2003년 5월 16일). “North Yonge Route History” [노스영 버스 노선 역사]. 2020년 4월 27일에 확인함. 
  23. “CT Reit Takes Canada Square Stake” [CT Reit, 캐나다 스퀘어 소유권 인수]. 《Bisnow》. 2014년 8월 7일. 2020년 4월 27일에 확인함. 
  24. Landau, Jack (2014년 6월 18일). “Transformation of RioCan's Yonge Eglinton Centre Continues”. 《Urban Toronto》. 2020년 4월 27일에 확인함. 
  25. “Eglinton Bus Terminal Replacement Temporary Bus Terminal Conceptual Layout Approval” [에글린턴 버스 터미널 교체용 임시 버스 터미널 배치도 승인]. 《토론토 교통국》. 2001년 11월 28일. 2019년 11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28일에 확인함. 
  26. “2017 Accessibility Plan Status Update” [2017년 접근성 계획 최신 정보] (PDF). 《토론토 교통국》. 2017년 4월 20일. 2021년 8월 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29일에 확인함. 
  27. “TTC ends early closure of Eglinton-Finch section of subway” [에글린턴-핀치 지하철 조기 운행 중단 막을 내려]. 《CBC News》. 2015년 12월 21일. 2020년 4월 29일에 확인함. 
  28. Kay, Jeffrey (2020년 4월 4일). “103 Mount Pleasant North/103 Nortown East” [103번 마운트플레전트 노스 / 103번 노타운 이스트]. 《Transit Toronto》. 2020년 4월 29일에 확인함. 
  29. Kay, Jeffrey; Coulman, Peter; Calnan, John (2020년 4월 1일). “100 Flemingdon Park” [100번 플레밍던파크]. 《Transit Toronto》. 2020년 4월 29일에 확인함. 
  30. “Changes to TTC Bus Routes in Eglinton Corridor for Line 5 Rapid Transit Line” (PDF). 토론토 교통국. 2016년 2월 25일. 2017년 7월 2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6월 9일에 확인함. 
  31. “UPDATE: Demolishing the Abandoned TTC Bus Depot” [TTC의 방치된 버스 터미널 철거 작업]. 《에글린턴 크로스타운》. 메트로링스. 2017년 4월 20일. 2018년 3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29일에 확인함. 
  32. Munro, Steve (2013년 11월 17일). “Crosstown LRT Interchanges with the Yonge-University-Spadina Subway” [영-유니버시티-스파다이나선과 크로스타운 경전철 간 환승]. 《stevemunro.ca》. 2020년 4월 29일에 확인함. 
  33. “Eglinton Crosstown LRT Interchange Stations - Final Designs” [에글린턴 크로스타운 경전철 환승역 최종 설계안] (PDF). 《토론토 교통국》. 2018년 3월 20일. 2021년 2월 1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29일에 확인함. 
  34. 토론토 교통국 (2023년 5월 11일). “Upcoming TTC subway closures and weekend diversions” [추후 토론토 지하철 폐쇄 및 우회 안내]. 《Toronto Transit Commission》 (영어). 2023년 5월 20일에 확인함. 
  35. “Eglinton Station: Station Description” [에글린턴역: 역 특징]. 《토론토 교통국》. 2018년 5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29일에 확인함. 
  36. Brader, Mark; Bow, James (2019년 5월 22일). “An Essay on Original Subway Station Design” [원조 지하철역 설계에 대한 에세이]. 《Transit Toronto》. 2020년 4월 29일에 확인함. 
  37. “Eglinton and Mount Pleasant Stations Open House” [에글린턴 및 마운트플레전트역 오픈 하우스]. 《에글린턴 크로스타운》. 메트로링스. 2017년 1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29일에 확인함. 
  38. “Closure of Underground Pedestrian Tunnels at Eglinton Station” [에글린턴역 지하 통로 폐쇄]. 《에글린턴 크로스타운》. 메트로링스. 2016년 7월 26일. 2020년 4월 29일에 확인함. 
  39. Spurr, Ben (2018년 1월 15일). “Art installations will enliven Eglinton Crosstown LRT” [미술 작품으로 에글린턴 경전철에 생기를 돋워]. 《토론토 스타. 2020년 4월 29일에 확인함. 

인접한 역

편집
1호선 영-유니버시티
로렌스
핀치 방면
1호선 영-유니버시티 데이비스빌
본 메트로폴리탄 센터 방면
5호선 에글린턴 (2023년 개통 예정)
애비뉴
마운트데니스 방면
5호선 에글린턴 마운트플레전트
케네디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