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에너지 조건(energy條件, 영어: energy condition)은 물리적으로 "현실적인" 시공간리치 곡률이 만족시켜야 한다고 가정할 수 있는 여러 조건 가운데 하나이다.[1]:§4.3[2]:174–177[3][4] 아인슈타인 방정식에 따라 시공간의 리치 곡률은 그 위에 존재하는 물질의 에너지-운동량 텐서로 주어지므로, 이는 물리적으로 "현실적인" 물질에 대한 조건으로도 볼 수 있다.

정의

편집

−+++ 계량 부호수를 사용하자. 시공간   위에 에너지-운동량 텐서  가 주어졌다고 하자. 또한, 시공간은 시간 방향(time orientation)이 주어져 있다고 하자. 따라서, 모든 벡터를 미래 방향 시간꼴 벡터 · 과거 방향 시간꼴 벡터 · 미래 방향 영벡터 · 과거 방향 영벡터 · 공간꼴 벡터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운동량 텐서의 대각합  을 정의하자. 그렇다면, 흔히 사용되는 5가지의 에너지 조건은 다음과 같다.[2]:175

  • 영벡터 에너지 조건(零vector energy條件, 영어: null energy condition, 약자 NEC)에 따르면, 모든 미래 방향 영벡터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즉, 빛의 속력으로 움직이는 (무질량) 관찰자는 항상 음이 아닌 에너지 밀도를 관찰한다.
  • 약한 에너지 조건(弱-energy條件, 영어: weak energy condition, 약자 WEC)에 따르면, 모든 미래 방향 시간꼴 벡터장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즉, 빛의 속력보다 느리게 움직이는 (유질량) 관찰자는 항상 음이 아닌 에너지 밀도를 관찰한다.
  • 영벡터 우세 에너지 조건(零vector優勢energy條件, 영어: null dominant energy condition, 약자 NDEC)에 따르면, ① 약한 에너지 조건이 충족되며, 또한 ② 모든 미래 방향 영벡터장  에 대하여,  는 미래 방향 시간꼴 또는 영벡터로 구성된 벡터장이다. 즉, 두 번째 조건에 따르면, 빛의 속도로 움직이는 관찰자는 에너지-운동량이 빛보다 더 빨리 흐르는 것을 관찰할 수 없다. 이 조건은 우세 에너지 조건과 유사하나, 음의 우주 상수를 허용한다.[2]:175
  • 우세 에너지 조건(優勢energy條件, 영어: dominant energy condition, 약자 DEC)에 따르면, ① 약한 에너지 조건이 충족되며, 또한 ② 모든 미래 방향 시간꼴 또는 영벡터로 구성된 벡터장  에 대하여,  는 미래 방향 시간꼴 또는 영벡터로 구성된 벡터장이다. 즉, 조건 ②에 따르면, 빛의 속력 이하로 움직이는 관찰자는 에너지-운동량이 빛보다 더 빨리 흐르는 것을 관찰할 수 없다. 조건 ②에 따르면, 등방 물질의 경우 압력이 항상 에너지 밀도보다 작아야 한다. 이는 물질에서 음속이 빛의 속력보다 더 작아야 하는 조건이다.[1]:91
  • 강한 에너지 조건(強-energy條件, 영어: strong energy condition, 약자 SEC)에 따르면, 모든 미래 방향 시간꼴 벡터장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즉, 강한 에너지 조건을 제외한 에너지 조건들은 다음과 같다.

영벡터 에너지 조건 약한 에너지 조건 영벡터 우세 에너지 조건 우세 에너지 조건
영벡터  에 대하여,   O O O O
시간꼴 벡터  에 대하여,   X O O O
미래 영벡터  에 대하여,  는 미래 시간꼴 또는 영벡터 X X O O
미래 시간꼴 벡터  에 대하여,  는 미래 시간꼴 또는 영벡터 X X X O

평균 에너지 조건

편집

위 에너지 조건들은 각 점마다 성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조건들을 약화시켜, 주어진 세계선의 적분에 관한 에너지 조건들을 정의할 수 있다. 이들을 평균 에너지 조건(平均energy條件, 영어: averaged energy conditions)이라고 한다.[4]:§2.2 (평균이 아닌 에너지 조건들은 양자 역학 효과에 의하여 미세하게 위배될 수 있지만, 평균 에너지 조건들은 양자 효과에 대하여 성립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여겨진다.)

시공간  에서, 매끄러운 곡선   가운데, 임의의  에 대하여 속력  이 미래 방향 시간꼴인 곡선들의 집합을  로 표기하자. 마찬가지로, 속력이 항상 미래 방향 영벡터인 곡선들의 집합을  로 표기하자.

  • 평균 영벡터 에너지 조건(平均零vector energy條件, 영어: averaged null energy condition, 약자 ANEC)에 따르면, 모든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 평균 약한 에너지 조건(平均弱-energy條件, 영어: averaged weak energy condition, 약자 AWEC)에 따르면, 모든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성질

편집

인과 관계

편집

이들 사이의 인과 관계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XYXY를 함의함을 뜻한다.

DEC NDEC WEC NEC
SEC

이름과 달리, 강한 에너지 조건(SEC)은 약한 에너지 조건(WEC)을 함의하지 않는다.

이상 유체

편집

에너지 밀도  , 압력  를 가진 이상 유체

 

의 경우 위 조건들은 다음과 같다.[2]:176

  • 영벡터 에너지 조건:  
  • 약한 에너지 조건:  ,  
  • 영벡터 우세 에너지 조건:   또는  
  • 우세 에너지 조건:  
  • 강한 에너지 조건:  ,  

함의 관계

편집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시공간의 다양한 성질들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대개 일종의 에너지 조건이 필요하다. 각종 주요 정리들을 증명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 조건들은 다음과 같다.[4]:§3.1

  • 영벡터 에너지 조건:
  • 약한 에너지 조건:
    • 블랙홀 열역학의 제3 법칙 (블랙홀의 표면 중력을 유한한 시간 안에 0으로 만들 수 없음)
    • 공간의 위상은 변할 수 없음
  • 우세 에너지 조건:

위배

편집

질량을 갖는 스칼라장(클레인-고르돈 방정식)은 (고전적으로) 강한 에너지 조건을 위배할 수 있다.[4]:§3.2

양자 역학적 효과는 심지어 영벡터 에너지 조건도 위배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3] 그러나 각종 평균화 에너지 조건들은 양자 효과에 대하여 비교적 안전하다고 여겨진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1. Hawking, Stephen; Ellis, George Francis Rayner (1973). 《The large scale structure of space-time》 (영어).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09906-4. 
  2. Carroll, Sean M. (2003). 《Spacetime and geometry: an introduction to general relativity》 (영어). Addison-Wesley. ISBN 0805387323. 2014년 5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6일에 확인함. 
  3. Visser, Matt; Barcelo, Carlos (2000년 9월). 〈Energy conditions and their cosmological implications〉. Cotti, U.; Jeannerot, R.; Senjanovi, G.; Smirnov, A. 《COSMO-99: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Workshop on Particle Physics and the Early Universe, ICTP, Trieste, Italy, 27 September – 2 October 1999》 (영어). World Scientific. 98–112쪽. arXiv:gr-qc/0001099. Bibcode:2000ppeu.conf...98V. doi:10.1142/9789812792129_0014. ISBN 978-981-02-4456-9. 
  4. Curiel, Erik (2017). 〈A primer on energy conditions〉. Lehmkuhl, Dennis; Schiemann, Gregor; Scholz, Erhard. 《Towards a theory of spacetime theories》. Einstein Studies (영어) 13. Birkhäuser. arXiv:1405.0403. Bibcode:2014arXiv1405.0403C. doi:10.1007/978-1-4939-3210-8. ISBN 978-1-4939-3209-2. ISSN 2381-58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