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터
에터(영어: ether) 또는 에테르는 R-O-R'의 일반식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의미한다.[1] 알코올과 에터는 물의 유사체이다. 알코올은 물의 수소 원자 하나가 알킬기로 치환된 형태라면, 에터는 물의 수소 원자 두 개가 알킬기로 치환된 형태이다.[2] R = R' 인 에터를 대칭 에터(symmetrical ether)라 하고, R과 R'가 다른 에터를 비대칭 에터(unsymmetrical ether)라고 한다.[2]
명명법
편집- IUPAC 명명법 : 긴 사슬을 줄기로서 명명하고, 그보다 작은 것을 치환기로 취급하여서 알콕시(alkoxy)그룹으로 명명한다.[3] 따라서 알케인에 에터 그룹이 하나 있는 형태는 알콕시 알케인(alkoxyalkane)과 같이 명명한다.[3]
예) 괄호 밖은 IUPAC 명명법을 사용하였고, 괄호 안은 관용명을 나타내었다.
-
methoxyethane
-
ethoxyethane (diethyl ether)
-
1,2-dimethoxyethane (glycol dimethyl ether, glyme)
성질
편집- 고리 무리가 큰 몇 가지 고리형 에터를 제외하면, 일반적으로 에터는 반응성이 적다.[3] 따라서 많은 유기 반응에서 용매로 사용된다.[3]
- 간단한 에터인 알콕시 알케인(alkoxyalkane)은 CnH2n+2O의 분자식을 가진다.[4] 따라서 알코올인 알칸올(alkanol)과 분자식이 같으므로, 이 둘은 구조 이성질체 관계에 있다.[4]
- 에터는 수소 결합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이성질체 관계의 알코올보다 끓는점이 낮다.[4]
- 작은 분자량의 알콕시 알케인(alkoxyalkane)은 물에 녹는다.[4] 이는 에터와 물이 수소 결합을 하기 때문이다.[5] 그러나 크기가 증가할수록 물에 대한 용해도는 점점 낮아진다.[4] 에터의 산소는 극성을 띠므로 물과 수소 결합을 형성하여 친수성을 나타내지만, 그 이외의 부분은 소수성이므로 크기가 커질수록 물에 대한 용해도는 점점 낮아지게 된다.[5]
- 보통 마취제로 알려진 에터는 CH3CH2OCH2CH3 (다이에틸 에터, diethyl ether)이다.[6]
에터 합성법
편집- Williamson 에터 합성 : 에터는 분자 간 Williamson 합성법으로 만들 수 있다. 이는 총 두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일단 나트륨 금속(Na)이나 NaH 등을 이용하여 알코올(alcohol)로부터 알콕사이드(alkoxide)를 만든다. 다음에 알콕사이드가 입체 장애가 적은 1차 alkyl halide 또는 tosylate와 Sn2반응을 하면 에터가 합성된다.[7]
- 2차 알코올
- 2차 알코올
- 3차 알코올
- 3차 알코올
반응
편집- 할로젠화 수소에 의한 에터의 분해
고리형 에터(cyclic ether)
편집고리형 에터의 명명법
편집IUPAC 명명법 : 줄기 고리가 단일 결합으로 구성된 경우만을 고려하면, 고리를 구성하는 탄소와 산소 수를 모두 합하여서 옥사시클로알칸(oxacycloalkane)으로 명명한다.[4] 여기서 접두사 옥사(oxa)는 시클로 알칸(cycloalkane)에서 탄소가 산소로 치환된 것을 나타낸다.[4] 고리에 연결된 치환기를 명명할 때에는, 고리에 있는 산소 원자에서부터 번호를 붙인다.[4]
관용명 : 몇 가지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이름이 존재한다.
예) 괄호 밖은 IUPAC 명명법을 사용하였고, 괄호 안은 관용명을 나타내었다.
-
oxacyclopropane (oxirane ,epoxide, ethylene oxide)
-
oxacyclobutane (oxetane)
-
oxacyclopentane (tetrahydrofuran(THF))
-
oxacyclohenxane (tetrahydropyran)
-
1,4-dioxacyclohexane (1,4-dioxane)
고리형 에터 합성법
편집에터는 분자 간 Williamson 합성법으로 만들었지만, 이와 유사하게 분자 내 Williamson 합성법을 이용하면 고리형 에터를 만들 수 있다. 한 분자 내에 히드록시기(-OH)와 할로젠 그룹(-X)을 가지고 있으면, 염기 조건에서 다음과 같이 고리형 에터가 합성된다.
고리형 에터 반응
편집epoxide의 산소는 sp3이므로 C-O-C 결합각이 약 109.5°가 되어야하지만, 삼각형의 고리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거의 60°에 가깝다.[13] 따라서 epoxide는 각 무리(angle strain)로 인해서 다른 에터보다 훨씬 반응성이 크다.[13] 대표적인 epoxide 반응의 예로 epoxide의 고리 열림 반응이 있다. 아래 반응들은 모두 Sn2 반응이다.
- 1. 치환기가 많은 부분에 친핵성 공격이 일어나서 고리가 열리는 반응
- •산 조건에서 고리 열림 반응
- 2. 치환기가 적은 부분에 친핵성 공격이 일어나서 고리가 열리는 반응
- •염기 조건에서 고리 열림 반응
- •LiAlH4(LAH)에 의한 고리 열림 반응
- •유기금속화합물에 의한 고리열림 반응
고리형 폴리에터(cyclic polyether)
편집크라운 에터는 1,2-에테인다이올을 기본 단위로 하여서 연결된 형태이다.[4]
크라운 에터의 한 가지 예를 들자면, '18-크라운-6' 이 있는데 이 물질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
18-crown-6
여기서 18은 고리를 구성하는 총 원자 수를 의미하고, 6은 고리를 구성하는 원자 중 산소 원자의 수를 의미한다.[4]
고리의 안쪽은 전자가 풍부하여서 강한 음전하를 띤다.[4] 이는 고리를 구성하는 산소 원자가 비공유전자쌍을 가지기 때문이다.[14]
이러한 음전하 때문에 크라운 에터는 쉽게 루이스 염기(전자를 주는 물질)로 작용하여서, 전자가 부족한 금속 이온과 배위 결합을 할 수 있다.[14]
예를 들면, 벤젠(benzene) 용매에 KMnO4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KMnO4는 이온 결합 물질이므로 벤젠에 거의 녹지 않는다.[14] 이 때 용매에 18-크라운-6을 첨가해 주면, 아래 반응과 같이 18-crown-6이 K+와 배위 결합하여서 착물을 형성하므로 KMnO4를 쉽게 녹일 수 있다.[14]
또한 크라운 에터는 고리의 크기와 양이온의 크기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배위결합한다.[15] 예를 들어, 18-crown-6 고리에 Na+는 너무 작고, CS+는 너무 크므로 K+에 선택적으로 더 강하게 결합한다.[15]
크립탄드(cryptand)
편집크라운 에터의 3차원 유사체를 크립탄드라고 한다.[14] 따라서 크립탄드의 내부는 크라운 에터와 같이 강한 음전하를 띄므로, 알칼리 금속 뿐 아니라 다른 금속에 매우 선택적으로 결합한다.[14]
-
2.2.2-Cryptand
같이 보기
편집참고 문헌
편집- L.G.Wade, Jr., 화학교재편찬위원회 역 (1996). 《유기화학, 3rd edition》. 서울: 淸文閣. ISBN 8970882243.
- Peter Vollhardt, Neil Schore (2009). 《Organic Chemistry: Structure and Function, 6th edition》.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ISBN 9781429239240.
- T.W.Graham Solomons, Graig B.Fryhle, 이창규•한인숙 역 (2008). 《유기화학, 9th edition》. 경기도: 자유아카데미. ISBN 9788973387083.
- Harold Hart, 채우기•박봉서•김성식 역 (1996). 《유기화학, 9th edition》. 서울: 교보문고. ISBN 8970851291.
- John McMurry, 이영행 외 41명 역 (2008). 《유기화학, 7th edition》. 서울: 사이플러스. ISBN 9788992603065.
- Janice Gorzynski Smith, 유기화학교재연구회 역 (2008). 《유기화학, 2nd edition》. 경기도: 자유아카데미. ISBN 9788973386970.
각주
편집- ↑ 네이버 백과사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가 나 [L.G.Wade, Jr., 화학교재편찬위원회 역, 유기화학, 3rd edition, 서울: 淸文閣, 1996, p.741.]
- ↑ 가 나 다 라 마 [Peter Vollhardt, Neil Schore, Organic Chemistry: Structure and Function, 6th edition,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2009, p.347.]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Ibid., p.348.]
- ↑ 가 나 [T.W.Graham Solomons, Graig B.Fryhle, 이창규•한인숙 역, 유기화학, 9th edition, 경기도: 자유아카데미, 2008, p.484.]
- ↑ [Harold Hart, 채우기•박봉서•김성식 역, 유기화학, 9th edition, 서울: 교보문고, 1996, p.241.]
- ↑ [L.G.Wade, Jr., 화학교재편찬위원회 역, op. cit., p.754.]
- ↑ 가 나 다 라 마 바 [Peter Vollhardt, Neil Schore, op. cit., p.375.]
- ↑ [Ibid., p.356.]
- ↑ [John McMurry, 이영행 외 41명 역, 유기화학, 7th edition, 서울: 사이플러스, 2008, p.632.]
- ↑ [Ibid., p.633.]
- ↑ [Peter Vollhardt, Neil Schore, op. cit., p.357.]
- ↑ 가 나 [Janice Gorzynski Smith, 유기화학교재연구회 역, 유기화학, 2nd edition, 경기도: 자유아카데미, 2008, p.329.]
- ↑ 가 나 다 라 마 바 [Peter Vollhardt, Neil Schore, op. cit., p.349.]
- ↑ 가 나 [Harold Hart, 채우기•박봉서•김성식 역, op. cit., p.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