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댐
영주댐(榮州dam)은 경상북도 영주시 평은면 내성천에 위치한 다목적 댐이다. 4대강 정비 사업의 일환으로 2009년 12월 공사에 착수하여 2016년 12월 본댐을 준공하였다. 중형 댐으로 사업비는 1조 1천억 원이 투입되었다. 저수용량은 약 1억 8천만 톤 규모이다.
다른 도시나 시내로 나가지 않고 평은면 내로 이사가고자 하는 주민들을 위하여 영주호 이주단지가 건설되었다. 이 사업으로 인하여 평은면 소재지와, 중앙선 승문역 - 옹천역 구간이 수몰되었다.
- 하천명: 내성천
- 위치: 경상북도 영주시 평은면 용혈리 973-1
- 유역면적: 500km2
- 연평균유입량: 316.6백만m3
- 유효저수용량: 160.4백만m3
- 총저수용량: 181.1백만m3
- 형식 : 복합댐
- 좌안 : 콘크리트 중력식댐(193m)
- 우안 :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207m)
- 사업기간: 2009. 12 - 2016. 12
유사조절지
편집- 위치 : 경북 영주시 이산면 신천리 산 38-8 (영주댐 상류 13km 지점)
- 길이 : 287m
- 높이 : 10m ~ 18.3m
- 형식 : 콘크리트댐식 고정보
연혁
편집- 1999 예비타당성 조사 : 이후 주민 및 정치권 반대로 무산
- 2009 착공
- 2016.12 준공
- 2019.09 발전 등 각종 설비 하자담보책임기간 종료 전 시험담수
- 2019.12 발전 등 각종 설비 하자담보책임기간 종료
갤러리
편집-
상류 방향(영주댐 방향). 장마 직후, 영주댐이 소량 방류 중이라 흙탕물이 흐르고 있음.
-
하류 방향
부정적 영향
편집내성천의 물이 막히면서 녹조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내성천의 모래밭은 자갈밭으로 변화하였으며, 흰수마자 등 다양한 생물종이 댐 건설 도중에 이미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2]
영주댐 건설로 인하여 면사무소와 평은초등학교가 있던 평은면 금광리·강동리 등 면의 중심 마을이 수몰되었다. 면사무소는 2011년 12월 7일 주민투표를 거쳐[3] 위치를 확정한 뒤 2015년 3월 16일 평은리 영주호이주단지로 이전하였다.[4]
영주댐 수몰 지역에는 도 지정 문화재로 지정된 괴헌고택 등이 위치하고 있었다.[5] 고택들은 평은면 금광리 산73 일대에 모두 이전, 복원될 예정이다.[6] 한편 2014년의 발굴조사에서 금강사(金剛寺) 터와 가마 터, 각종 건물 유구가 조사되었고, 구리 거울 등 청동기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유적이 다종다양하게 발견되었으나, 그 터는 모두 담수되었다.[7][8]
각주
편집- ↑ 통합물관리 시설 낙동강 권역부문 - 한국수자원공사
- ↑ 김기범 (2014년 5월 9일). “보이나요, 이제라도 ‘댐’을 멈춰야 하는 이유”. 경향신문. 2018년 7월 18일에 확인함.
- ↑ 최슬기 (2011년 12월 7일). “‘영주댐 피해 조사위 구성’ 주민 조례안 각하”. 경향신문. 2018년 7월 18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평은면사무소가 영주호 이주단지로 이전하였습니다.
- ↑ 최슬기 (2010년 11월 5일). “‘괴헌고택’ 현상변경 승인 없이 공사 강행”. 경향신문. 2018년 7월 18일에 확인함.
- ↑ 권진한 (2018년 6월 17일). “영주댐 수몰지역 문화재 이건·복원 ‘큰산 넘었다’”. 경북일보. 2018년 7월 18일에 확인함.
- ↑ 김기범 (2014년 5월 13일). “[단독]영주댐 수몰 예정지서 문화재 대거 출토”. 경향신문. 2018년 7월 18일에 확인함.
- ↑ 김기범 (2014년 5월 18일). “영주댐 수몰 예정지 문화재 발굴현장 가보니… “금강사터, 조사 연장해야””. 경향신문. 2018년 7월 18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
편집- 국토교통부 (2016년 10월 24일). “영주다목적댐 준공…낙동강 수질개선·국민 물복지 증대”.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0년 7월 31일에 확인함.
- 뉴스타파 (2017년 9월 25일). “죽음의 댐”. 2020년 7월 31일에 확인함.
- 이상훈 (2019년 9월 18일). “영주댐 시험담수, 안전성 평가와 내성천 생태환경 종합진단”. 《환경부》. 2020년 7월 3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