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시의 역사

본 문서는 경상북도 영천시의 역사에 대해 서술한 문서이다.

조선시대 이전

편집
  • 삼한시대 부족국가 골벌국(骨伐小國)이 형성되었다.
  • 신라시대 절야화군(切也火郡)으로 칭하였다.
  •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임고군(臨皐郡)으로 개칭하고, 양주(현 양산시)에 속했다. 영현으로 도동현(道同縣), 임천현(臨川縣), 장진현(長鎭縣), 신령현(新寧縣), 맹백현(黽白縣)을 관할하였다.
  • 925년(신라 경애왕 2년) 고울부(高鬱府)로 개칭하고, 도동현, 임천현, 맹백현, 이지현(梨旨縣)을 관할하였다.
  • 940년(고려 태조 23년) 도동현·임천현을 병합하고 영주군으로 개칭하였다.
  • 995년(고려 성종 14년) 자사(刺史)를 두었다.
  • 1018년(고려 현종 9년) 안동대도호부(현 경주시)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
  • 1172년(고려 명종 2년) 감무(監務)를 두면서 독립하였다.
  • 1383년(고려 우왕 9년) 영주(永州)로 승격하고, 지주사(知州事)를 두었다.

조선시대 이후

편집

1914년 이후

편집

1914년 행정구역 조정

편집

조선총독부령 제111호로 다음과 같이 행정구역이 정해졌다.

세부 내용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영천군 원림면(遠林面) 당외동/곡산동, 우계동/도부동, 부제동/삼려동, 석촌, 용강동/용평동, 구리동/덕양동 화산면 당곡동, 부계동, 삼부동, 석촌동, 용평동, 유성동
영천군 명산면(鳴山面) 상대전동/하대전동/오미동 일부, 대소동/창녕동/봉계동/석동/녹전동 일부/(신녕군 대량면)하명동 일부, 직동/도림동/녹전동 일부/(신녕군 고현면)하흥동, 삼귀동/녹전동 일부/오미동 일부, 죽곡동/하대내동/월천동 화동면 대전동, 녹전동, 도림동, 오미동, 죽곡동
영천군 자천면(紫川面) 공덕동/천상동, 가라동/입석동/보덕동, 오동/(신녕군 지곡면)오동동 일부, 동부동/서부동/중계동/(신녕군 신촌면)대제동 일부, 견암동/양지동/효동 일부/횡계동 일부, 횡계동 일부 신촌면 공덕동, 입석동, 오동, 자천동, 정각동, 횡계동
영천군 내동면(內東面) 망정동/포목동 일부, 문내동/도장동/문외동 일부, 야사동/포목동 일부, 조교동 일부, 관덕동/창구동 일부 영천면 망정동, 문내동, 문외동, 야사동, 조교동, 창구동
영천군 내서면(內西面) 노상동/교촌동/(내동면)창구동 일부, 양구동/서과동 일부/지침동 일부/(내동면)창구동 일부, 구호동/지소동/성내동/서과동 일부/지침동 일부, 화룡동 교촌동, 과전동, 성내동, 화룡동
영천군 완산면(完山面) 금로동/부흥동, 도동/(칠백면)도동동 일부, 범어동, 내동/외동 금로동, 도동, 범어동, 완산동
영천군 우곡면(又谷面) 동괴동/서괴동/점촌/용연동, 본촌, 봉동 일부/주막동 일부, 작산동/주막동 일부, 신동 괴연동, 본촌동, 봉동, 작산동, 채신동
영천군 아천면(阿川面) 운천동/심곡동/동산동, 반곡동/매곡동/용천동/전산동, 신기동 일부, 양항동/임고동, 전천동/언하동/신기동 일부/(내동면)창구동 일부 임고면 매호동, 삼매동, 신기동, 양항동, 언하동
영천군 환귀면(還歸面) 고천동/장재동, 구계동/덕연동, 수평동/양암동/(흥해군 북안면)신촌 일부, 우항동, 임천동/차산동/행화동/평천동/(흥해군 북안면)신촌 일부, 황강동, 신평동/방목동/효동, 대환동/선원동 고천동, 덕연동, 양평동, 우항동, 평천동, 황강동, 효동, 선원동
흥해군 북안면(北安面) 금대동/신기동, 가정동/사동/차동/우봉동, 수성동 금대동, 사동, 수성동
청경면 고도동, 오류동, 전사동, 창상동, 창하동
영천군 추곡면(追谷面) 단포동/(흥해군 북안면)단포동 일부, 대성동, 의곡동/대곡동, 도암동/대추동 일부, 용강동/대추동 일부, 부동, 원구동/상리동/학동 일부, 학동 일부, 신기동/월천동/장척동/전사동 일부 단포동, 대성동, 대의동, 도암동, 용전동, 부동, 상리동, 학동, 해선동
영천군 북습면(北習面) 상계동/지동/후곡동/성동, 하계동/대재동/대포동, 포목동/목성동/봉수동, 송천동/덕산동/월평동, 내신동/외신동/신기동/유룡동, 신촌동/학산동, 삼괴동/죽계동/봉계동, 부룡동/용호동/(신녕군 아촌면)대평동 일부, 장하동/용평동/회룡동/오천동, 죽전동/구정동, 부흥동/지곡동/학곡동 청통면 계지동, 계포동, 보성동, 송천동, 신원동, 신학동, 애련동, 용천동, 원촌동, 죽정동, 치일동
영천군 산저면(山底面) 평촌동/대정동, 쌍계동, 삼산동/서운동, 덕동/성동, 오수동, 어부동/상평동/하우동/용연동 일부, 신당동/호령동/용연동 일부 대평동, 쌍계동, 서산동, 신덕동, 오수동, 우천동, 호당동
영천군 고견면(古見面) 용교동/용대동, 대동/도미동, 입석동/섬촌동, 덕천동/덕동/대성동, 제내동/원산동/(거여면)신흥동 일부 금호면 교대동, 대미동, 석섬동, 성천동, 원제동
영천군 거여면(巨余面) 지정동/관지동, 덕성동 일부/냉천동, 덕성동 일부, 죽방동/봉산동/곡촌동, 월하동/신흥동 일부, 황정동 관정동, 냉천동, 덕성동, 봉죽동, 신월동, 황정동
영천군 창수면(蒼水面) 남성동 일부, 삼수동/가라동/용호동, 신대동, 오종동/단계동, 안기동/원방동/마단동 남성동, 삼호동, 신대동, 오계동, 원기동
영천군 칠백면(七百面) 가객동/구복동, 유곡동/대배동, 도동동 일부/(우곡면)봉동 일부, 가야동, 어은동/신전동 일부, 신촌/신전동 일부 구암동, 대곡동, 도남동, 약남동, 어은동, 호남동
영천군 모사면(毛沙面) 강회동/마음동, 상구동/하구동/교동/구교동, 대재동/(흥해군 북안면)대창동 일부, 사리 일부/(흥해군 북안면)대창동 일부, 본촌동/용전동/용호동, 원촌/송호동/용교동/산잠동, 병암동/송구동/세동, 용덕동/사리 일부, 개상동/효일동/지일동, 어방동, 오길동/평촌동/제내동, 운잠동/운천동/동방동, 상조동/하조동, 직천동/정상동 대창면 강회동, 구지동, 대재동, 대창동, 용전동, 용호동, 병암동, 사리동, 신광동, 어방동, 오길동, 운천동, 조곡동, 직천동
영천군 비소면(比召面) 고지동/신계동/팔암동 일부/(경주군 서면)상추리 일부, 괴화동/중도동/연화동/신평동 일부, 서당동/오산동/냉정동/가천동 일부, 신리동/신평동 일부, 원내동/포광동/가천동 일부, 효동/장재동 북안면 고지동, 도천동, 서당동, 신리동, 옥천동, 효동
영천군 원곡면(原谷面) 중리/당동, 도유동, 명주동/용주동, 나현동/북동, 상동/감동, 신대동, 용계동/용당동 당동, 도유동, 명주동, 북동, 상동, 신대동, 용계동
영천군 원당면(元堂面) 관동, 내포동/용호동, 반계동, 송계동/옥포동/(우곡면)주막동 일부/(흥해군 북안면)조암동, 신촌/(경주군 서면)상추리 일부, 원당동, 임포동/(비소면)팔암동 일부, 자포동 관동, 내포동, 반계동, 송포동, 신촌동, 원당동, 임포동, 자포동
흥해군 북안면 반정동/저현리/경리/유하동 일부, 유상동/백안동/(영천군 우곡면)배안동, 유하동 일부, 차당동 반정동, 유상동, 유하동
고촌면 차당동
영천군 고촌면(古村面) 가수동/독정동, 답곡동, 덕암동, 정점동/덕성동, 동도동/(추곡면)전사동 일부, 삼산동/산수동, 삼귀동, 월성동/삼포동/수흥동, 상덕동/하덕동, 흑석동/상계동, 미농동/성부동/오소동, 사광동/청경동/괴정동, 초일동, 칠전동, 파계동 가수동, 답곡동, 덕암동, 덕정동, 동도동, 삼산동, 삼귀동, 삼포동, 상덕동, 석계동, 오룡동, 청정동, 초일동, 칠전동, 파계동
영천군 자양면(紫陽面) 신당동/도일동, 노항동, 상원동/월연동/인구동, 용화동, 상구동/중구동/하구동, 상기동/하기동/탑전동/(자천면)효동 일부/(청하군 죽남면)하거동 일부/상거동, 회룡동/관공동/토동, 하신동/용정동/상신동, 일견동/검단동/내검동/(청하군 죽남면)하거동 일부 자양면 도일동, 노항동, 용산동, 용화동, 삼귀동, 보현동, 성곡동, 신방동, 충효동

1914년의 행정구역

편집

1914년 행정구역을 현재와 비교하면 다음의 표와 같다.[6]

1914년 현재
구·읍·면 동·리
신녕면
(新寧面)
치산리, 화남리, 부산리, 화서리, 왕산리, 화성리, 매양리, 가천리, 연정리, 신덕리, 완전리 영천시
신녕면
치산리, 화남리, 부산리, 화서리, 왕산리, 화성리, 매양리, 가천리, 연정리, 신덕리, 완전리
신촌면
(新村面)
공덕리, 법화리, 상송리, 오동리, 옥계리, 용소리, 입석리, 자천리, 정각리, 죽전리, 하송리, 횡계리 영천시
화북면
공덕리, 법화리, 상송리, 오동리, 옥계리, 용소리, 입석리, 자천리, 정각리, 죽전리, 하송리, 횡계리
지곡면
(知谷面)
오산리 오산리
구전리, 금호리, 삼창리, 안천리, 월곡리, 온천리, 용계리 영천시
화남면
구전리, 금호리, 삼창리, 안천리, 월곡리, 온천리, 용계리
화동면
(華東面)
대천리, 사천리, 선천리, 신호리, 죽곡리 대천리, 사천리, 선천리, 신호리, 죽곡리
도림리, 녹전리, 대전리, 오미리 영천시 도림동, 녹전동, 대전동, 오미동
영천면
(永川面)
도동, 교촌동, 과전동, 괴연동, 금노동, 망정동, 문내동, 문외동, 범어동, 본촌동, 봉동, 성내동, 야사동, 완산동, 작산동, 조교동, 창구동, 채신동, 화룡동 도동, 교촌동, 과전동, 괴연동, 금노동, 망정동, 문내동, 문외동, 범어동, 본촌동, 봉동, 성내동, 야사동, 완산동, 작산동, 조교동, 창구동, 채신동, 화룡동
금호면
(琴湖面)
교대리, 냉천리, 대곡리, 오계리, 어은리, 관정리, 남성리, 대미리, 봉죽리, 구암리, 약남리, 삼호리, 덕성리, 석섬리, 성천리, 신대리, 신월리, 원기리, 원제리, 호남리, 황정리 영천시
금호읍
교대리, 냉천리, 대곡리, 오계리, 어은리, 관정리, 남성리, 대미리, 봉죽리, 구암리, 약남리, 삼호리, 덕성리, 석섬리, 성천리, 신대리, 신월리, 원기리, 원제리, 호남리, 황정리
도남리 영천시 도남동
임고면
(臨皐面)
신기리, 언하리 신기동, 언하동
양항리, 선원리, 덕연리, 삼매리, 평천리, 황강리, 효리, 금대리, 사리, 수성리, 우항리, 고천리, 매호리, 양평리 영천시
임고면
양항리, 선원리, 덕연리, 삼매리, 평천리, 황강리, 효리, 금대리, 사리, 수성리, 우항리, 고천리, 매호리, 양평리
화산면
(花山面)
가상동, 당곡동, 당지동, 대기동, 대안동, 덕암동, 부계동, 삼부동, 석촌동, 암기동, 연계동, 용평동, 유성동, 화산동, 효정동 영천시
화산면
가상리, 당곡리, 당지리, 대기리, 대안리, 덕암리, 부계리, 삼부리, 석촌리, 암기리, 연계리, 용평리, 유성리, 화산리, 효정리
귀호동 영천시
화남면
귀호리
매산동 영천시 매산동
청통면
(淸通面)
쌍계리, 서산리, 오수리 쌍계동, 서산동, 오수동
계지리, 계포리, 대평리, 보성리, 송천리, 신덕리, 신원리, 애련리, 용천리, 우천리, 원촌리, 죽정리, 치일리, 호당리 영천시
청통면
계지리, 계포리, 대평리, 보성리, 송천리, 신덕리, 신원리, 애련리, 용천리, 우천리, 원촌리, 죽정리, 치일리, 호당리
고촌면
(古村面)
가수동, 상덕동, 삼포동, 석계동, 답곡동, 덕암동, 덕정동, 동도동, 삼산동, 삼귀동, 오룡동, 차당동, 청정동, 초일동, 칠전동, 파계동 영천시
고경면
가수리, 상덕리, 삼포리, 석계리, 답곡리, 덕암리, 덕정리, 동도리, 삼산리, 삼귀리, 오룡리, 차당리, 청정리, 초일리, 칠전리, 파계리
청경면
(淸鏡面)
고도동, 대성동, 대의동, 단포동, 도암동, 부동, 상리동, 오류동, 용전동, 전사동, 창상동, 창하동, 학동, 해선동 고도리, 대성리, 대의리, 단포리, 도암리, 부리, 상리리, 오류리, 용전리, 전사리, 창상리, 창하리, 학리, 해선리
북안면
(北安面)
상리, 당리, 북리, 도유리, 명주리, 용계리, 신대리, 신리, 효리, 도천리, 옥천리, 서당리, 고지리, 임포리, 반계리, 자포리, 신촌리, 관리, 원당리, 내포리, 반정리, 송포리, 유하리, 유상리 영천시
북안면
상리, 당리, 북리, 도유리, 명주리, 용계리, 신대리, 신리, 효리, 도천리, 옥천리, 서당리, 고지리, 임포리, 반계리, 자포리, 신촌리, 관리, 원당리, 내포리, 반정리, 송포리, 유하리, 유상리
대창면
(大昌面)
직천리, 운천리, 용전리, 어방리, 오길리, 용호리, 신광리, 조곡리, 대재리, 구지리, 사리리, 대창리, 강회리, 병암리 영천시
대창면
직천리, 운천리, 용전리, 어방리, 오길리, 용호리, 신광리, 조곡리, 대재리, 구지리, 사리리, 대창리, 강회리, 병암리
자양면
(紫陽面)
보현리, 도일리, 충효리, 삼귀리, 용산리, 신방리, 노항리, 성곡리, 용화리 영천시
자양면
보현리, 도일리, 충효리, 삼귀리, 용산리, 신방리, 노항리, 성곡리, 용화리

1934년 개편

편집

1934년 개편으로 일부 면이 합면되었다.

도령 제83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화동면 도림동, 녹전동, 대전동, 오미동 영천면 일부
화동면 죽곡동, 대천동, 신호동, 사천동, 선천동 화북면 일원
지곡면 일원
신촌면 일원
고촌면 일원 고경면 일원
청경면 일원

이후 개편

편집

1983년 행정구역
금호읍 도남동, 청통면 오수·쌍계동, 화산면 매산동이 영천시에 편입되었다.[7]

대통령령 제11027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8](행정동(법정동))
금호읍 도남동 영천시 봉작동(도남동)
청통면 오수동, 쌍계동 교동(오수동, 쌍계동)
화산면 매산동 명산동(매산동)

1986년 행정구역
화북면 삼창출장소가 화산면 귀호동을 편입하여 화남면으로 승격하였다.[9]

대통령령 제11874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화북면 삼창동, 안천동, 금호동, 온천동, 구전동, 신호동, 죽곡동, 사천동, 대천동, 선천동 화남면 일원
화산면 귀호동

1987년 행정구역
임고면 언하·신기동이 영천시 동부동에 편입되었다.[10]

대통령령 제11874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행정동(법정동))[11]
임고면 언하동, 신기동 영천시 동부동(언하동, 신기동)

1989년 행정 구역
청통면 서산리가 영천시에, 화북면 용계·월곡리가 화남면에 편입되었다.[12][13]

대통령령 제12557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행정동(법정동))[14]
화북면 용계리·월곡리 화남면 일부
청통면 서산리 영천시 대전동(서산동)

각주

편집
  1. 칙령 제98호 지방제도의개정에관한안건
  2. 칙령 제36호 지방제도와관제개정에관한안건
  3. 칙령 제49호 지방 구역 정리 건 (1906년 9월 24일)
  4. 정요근 (2014년 12월). “GIS 기법의 활용을 통한 조선후기 越境地의 복원”. 《역사학보》 (역사학회) (224). doi:10.16912/khr.2014.12.224.109. 
  5. 조선총독부령 제4호 (1913년 1월 23일)
  6.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년)
  7. 대통령령 제11027호 (1983년 1월 10일)
  8. 시조례 제197호 (1983년 2월 8일)
  9. 대통령령 제11874호 경기도남양주군조안면등면설치와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6년 3월 27일)
  10. 대통령령 제1200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의명칭변경에관한규정 (1986년 12월 23일)
  11. 시조례 제364호 (1986년 12월 31일)
  12. 대통령령 제12557호 시·군·자치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8년 12월 22일)
  13. 군조례 제1092호 (1988년 12월 31일)
  14. 시조례 제470호 (1988년 12월 3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