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파동맥

심장에서 폐로 산소가 제거된 혈액을 운반하는 폐 순환의 동맥
(오른허파동맥에서 넘어옴)

허파동맥 또는 폐동맥(pulmonary artery)은 심장 오른쪽의 산소 농도가 낮은 혈액허파로 운반하는 허파순환동맥이다. 가장 큰 허파동맥은 허파동맥줄기, 폐동맥간(pulmonary trunk) 또는 주폐동맥(main pulmonary artery)이라고 불린다. 가장 작은 허파동맥은 세동맥으로, 폐포를 둘러싸고 있는 모세혈관으로 이어진다.

허파동맥
심장을 열어 앞에서 본 그림. 하얀 화살표 방향이 정상적인 혈류 방향을 나타낸다. 허파동맥은 우측 상단에 표시되어 있다.
정보
발생기 구조동맥줄기
기관계심혈관계, 호흡계
기원우심실
식별자
라틴어arteria pulmonalis
영어pulmonary artery
MeSHD011651
TA24074
FMA66326

구조

편집

허파동맥은 심장의 오른쪽으로 돌아온 온몸순환의 혈액을 허파의 모세혈관으로 보내는 혈관이다. 다른 기관으로 가는 동맥들은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지만, 허파동맥을 통해서는 심장으로 돌아온 산소가 부족한 정맥혈이 운반된다. 허파동맥줄기는 심장의 오른쪽에서 시작하여 여러 작은 동맥들로 나눠지고, 최종적으로는 세동맥까지 작아져 기체 교환이 일어나는 허파의 모세혈관이 된다.

허파동맥줄기

편집
 
가슴고해상도 컴퓨터단층촬영(HRCT) 볼륨 렌더링 사진. 앞쪽 가슴벽, 기도, 허파뿌리 앞쪽의 허파혈관들은 허파순환을 더 잘 보여주기 위해 사진에서 제거되었다.

허파동맥은 허파동맥줄기로서 섬유심장막(우심실심실유출로, 또는 동맥원뿔심장막)에서 시작된다.[1] 심실유출로는 허파동맥판 뒤쪽에서 왼쪽과 위쪽으로 주행한다.[1] 허파동맥은 이후 대동맥활 아래, 왼쪽 주기관지 앞에서 오른쪽과 왼쪽 허파동맥으로 갈라진다.[1] 허파동맥줄기는 짧고 넓은데 그 길이는 대략 5cm,[2] 직경은 약 2-3cm이다.[3][4]

허파동맥줄기는 오른쪽과 왼쪽 허파동맥으로 갈라진다.[5] 왼쪽이 오른쪽보다 길이가 짧으며,[1] 왼허파동맥은 내림대동맥 뒤쪽, 왼쪽 주기관지에서 아래로 주행하여 왼쪽 허파뿌리로 들어간다. 몸의 위쪽에서 왼허파동맥은 몸쪽 내림대동맥과 동맥관인대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2] 오른허파동맥은 기관갈림 아래에서 몸의 정중선을 가로질러 주행하여 오른쪽 주기관지 앞에 이른다.[1]

가지

편집
 
먼쪽 끝에서 허파동맥(아래에 표시)은 폐포에 이르면 모세혈관이 된다.

왼허파동맥은 두 개의 엽동맥으로 나누어져 왼쪽 허파의 두 엽에 하나씩 분포한다.[6]

오른쪽 허파뿌리에서는 오른허파동맥이 오른위엽기관지 앞에 위치하는 위엽가지와, 중간기관지와 함께 주행하며 오른중간엽과 오른아래엽에 혈액을 공급하는 엽사이동맥으로 갈라진다.[1]

양쪽 허파동맥은 각각에 대응하는 허파의 엽에 혈액을 공급하는 가지를 낸다. 이 가지들은 엽동맥(lobar arteries)이라고 한다.[7] 엽동맥은 분절동맥(segmental arteries, 대략 각 구역당 1개가 존재)으로 다시 갈라진다. 분절동맥은 기관지의 뒤가쪽 표면에서 분절기관지와 함께 주행한다.[7] 분절동맥은 세분절동맥(subsegmental pulmonary arteries)으로 갈라진다.[7] 최종적으로는 소엽속동맥(intralobular arteries)이 형성되며 끝난다.[8] 허파동맥은 폐포에 혈액을 공급한다. 대조적으로 기관지동맥은 시작 지점이 다르며 허파의 기관지에 혈액을 공급한다.[1]

발생

편집

허파동맥은 동맥줄기와 여섯째 인두굽이에서 발생한다. 동맥줄기는 심장 발생동맥원뿔 이전에 형성되는 구조물이다.[9]:157

발생 3주에는 심장속막대롱(영어판)이 심장에 가장 가까운 부분에서 팽대된 부분을 만든다. 팽대된 부분은 심장팽대(영어판)라고 하며 심장팽대의 위쪽 부분이 동맥줄기로 발달한다.[9]:159–160 동맥줄기의 기원은 궁극적으로 중배엽이다.[9]:157 심장 발생 중에 심장 조직은 접히면서 동맥줄기가 드러나 최종적으로는 좌심실우심실로 발달한다. 두 심실 사이에서 심실사이막이 발달하며 동맥줄기 양쪽에서 두 개의 팽대 부분이 형성된다. 동맥줄기가 대동맥과 허파동맥으로 갈라지기 전까지 팽대는 계속해서 커진다.[9]:176–179

초기 발생 중 동맥관이 허파동맥과 대동맥활을 연결하여 혈액이 허파를 우회하여 순환할 수 있도록 한다.[10]:791

기능

편집

허파동맥은 우심실에서 허파로 산소가 부족한 혈액을 운반한다.[11] 이 혈액은 폐포에 인접한 모세혈관을 따라 흘러가 호흡을 통해 산소가 채워진다.[12]

허파동맥과 대조적으로 기관지동맥은 허파 자체에 영양을 공급한다.[10]:790

허파동맥압

편집

허파동맥압 또는 폐동맥압(pulmonary artery pressure, PA pressure)은 허파동맥줄기에서 측정된 혈압이다. 혈압 측정은 허파동맥줄기로 카테터를 삽입하여 이루어진다.[13] :190–191 평균 압력은 일반적으로 9-18mmHg이다.[14] 또한 좌심방에서 측정되는 허파동맥쐐기압은 6-12mmHg로 측정된다. 좌심실부전,[13]:190–191 승모판 협착, 그 외 겸상 적혈구 빈혈 등 다른 질병이 있을 때 허파동맥쐐기압이 상승할 수 있다.[15]

임상적 중요성

편집

허파동맥은 여러 임상적 상태와 연관되어 있다. 폐고혈압은 허파동맥의 압력이 증가한 상태를 가리키며, 평균 허파동맥압이 25mmHg보다 큰 경우로 정의된다.[13]:720 CT 스캔 등을 통해 측정했을 때 허파동맥의 직경이 29mm 이상인 경우에도 폐고혈압의 기준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16] 흉부 X선에서 내림 허파동맥 직경이 16mm 이상인 경우에도 폐고혈압을 시사한다.[17] 폐고혈압은 심부전과 같은 심장의 문제나 COPD 같은 기도와 허파의 질환, 피부경화증, 폐색전증이나 겸상 적혈구 빈혈로 인한 혈전 등의 혈전증의 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13]:720–721

폐색전증은 색전이 허파순환에 박힌 색전증을 말한다. 특히 오랫동안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가 지속된 이후, 심부정맥 혈전증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폐색전증은 뇌졸중 환자에서 흔한 사망의 원인이다.[13]:720–721 허파동맥이 오른허파동맥과 왼허파동맥으로 갈라지는 지점에 큰 색전이 박히는 것을 안장 색전(saddle embolus)이라고 한다.[18]

허파동맥과 관련된 다양한 병리를 조사하기 위해 여러 동물 모델이 활용되었다. 허파동맥의 돼지 모델이 가장 자주 사용된다.[19]

추가 이미지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Ryan, Stephanie (2011). 〈2〉. 《Anatomy for diagnostic imaging》 Thi판. Elsevier Ltd. 126, 133쪽. ISBN 9780702029714. 
  2. Cheitlin MD, Ursell PC (2011). 〈Cardiac Anatomy〉. Chatterjee K. 《Cardiology: An Illustrated Textbook》. JP Medical Ltd. 6쪽. ISBN 9789350252758. 
  3. Edwards, P D; Bull, R K; Coulden, R (1998년 10월 1일). “CT measurement of main pulmonary artery diameter.”. 《The British Journal of Radiology》 71 (850): 1018–1020. doi:10.1259/bjr.71.850.10211060. ISSN 0007-1285.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4. Truong, Quynh A.; Massaro, Joseph M.; Rogers, Ian S.; Mahabadi, Amir A.; Kriegel, Matthias F.; Fox, Caroline S.; O'Donnell, Christopher J.; Hoffmann, Udo (2012년 1월 1일). “Reference Values for Normal Pulmonary Artery Dimensions by Noncontrast Cardiac Computed Tomography”. 《Circulation: Cardiovascular Imaging》 5 (1): 147–154. doi:10.1161/CIRCIMAGING.111.968610. PMC 3275437. PMID 22178898. 
  5. “Pulmonary Vasculature”. 《University of Virginia School of Medicine》. 2013. 2017년 6월 24일에 확인함. 
  6. Kandathil, Asha; Chamarthy, Murthy (2018년 6월). “Pulmonary vascular anatomy & anatomical variants”. 《Cardiovascular Diagnosis and Therapy》 8 (3): 201–207. doi:10.21037/cdt.2018.01.04. ISSN 2223-3652. PMC 6039811. PMID 30057869. 
  7. “Pulmonary Artery Anatomy”. 《University of Virginia School of Medicine》. 2013. 2017년 6월 24일에 확인함. 
  8. Takahashi M, Fukuoka J, Nitta N, Takazakura R, Nagatani Y, Murakami Y, 외. (2008). “Imaging of pulmonary emphysema: a pictorial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3 (2): 193–204. doi:10.2147/COPD.S2639. PMC 2629965. PMID 18686729. 
  9. Schoenwolf GC, Larsen MJ, Bleyl SR, Brauer PR, Francis-West PH (2009). 《Larsen's human embryology》 4, Thoroughly rev. a updat판. Philadelphia: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Development of the Urogenital system쪽. ISBN 9780443068119. 
  10. Braunwald E (1992). 《Heart Disease: A Textbook of Cardiovascular Medicine》 Four판. Philadelphia: W.B. Sanders. 
  11. “22.4 Gas Exchange – Anatomy and Physiology”. 《opentextbc.ca》. 2020년 10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22일에 확인함. 
  12. “Exchanging Oxygen and Carbon Dioxide – Lung and Airway Disorders”. 《MSD Manual Consumer Version》 (영어). 2019년 5월 22일에 확인함. 
  13. Colledge NR, Walker BR, Ralston SH, Britton R, 편집. (2010). 《Davidson's Principles and Practice of Medicine.》 21판.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ISBN 978-0-7020-3084-0. 
  14. “Normal Hemodynamic Parameters – Adult” (PDF). Edwards Lifesciences LLC. 2010년 11월 1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15. Pashankar FD, Carbonella J, Bazzy-Asaad A, Friedman A (April 2008).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elevated pulmonary artery pressures in children with sickle cell disease”. 《Pediatrics》 121 (4): 777–782. doi:10.1542/peds.2007-0730. PMID 18381543. S2CID 26693444. 
  16. Marini TJ, He K, Hobbs SK, Kaproth-Joslin K (December 2018). “Pictorial review of the pulmonary vasculature: from arteries to veins”. 《Insights into Imaging》 9 (6): 971–987. doi:10.1007/s13244-018-0659-5. PMC 6269336. PMID 30382495. 
  17. Chang CH (December 1965). “The normal roentgenographic measurement of the right descending pulmonary artery in 1,085 cases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II. Clinical application of the measurement of the right descending pulmonary artery in the radiological diagnosis of pulmonary hypertensions from various causes” (PDF). 《Nagoya Journal of Medical Science》 28 (1): 67–80. PMID 5865788. 2022년 1월 15일에 확인함. 
  18. Jones J, 외. “Saddle pulmonary embolism”. 《Radiopaedia. 2017년 10월 8일에 확인함. 
  19. Pillalamarri NR, Patnaik SS, Piskin S, Gueldner P, Finol EA (January 2021). Ex Vivo Regional Mechanical Characterization of Porcine Pulmonary Arteries”. 《Experimental Mechanics》 61 (1): 285–303. doi:10.1007/s11340-020-00678-2. PMC 8011683. PMID 33814554.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