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로네시아족

(오스트로네시아인에서 넘어옴)

오스트로네시아족(Austronesian peoples,[2] Austronesians[3]) 또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Austronesian-speaking peoples)[4]아시아, 오세아니아, 아프리카에 있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Austronesian language family)의 다양한 사람들이다. 그들은 말레이시아(Malaysia), 동티모르(East Timor), 필리핀(the Philippines), 인도네시아(Indonesia), 브루나이(Brunei), 싱가포르(Singapore), 마다가스카르(Madagascar), 마이크로네시아(Micronesia), 폴리네시아(Polynesia), 뉴질랜드(New Zealand)와 하와이(Hawaii)의 폴리네시아인(Polynesian), 멜라네시아(Melanesia)의 비 파푸아 부족들(non-Papua peoples) 등지에서 다수를 차지하는 타이완 원주민을 포함한다. 또한 이들은 태국파타니(Patani) 지방, 베트남참 족(Cham peoples) 지역, 캄보디아(Cambodia), 하이난(海南, Hainan)에서도 발견된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들이 거주하는 영역을 집단적으로 오스트로네시아라고 한다.

오스트로네시아족
Austronesian peoples

아미족의 전통 부족 춤
총인구
400,000,000+[1]
인구분포
언어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포모사어파)
종교
기독교, 이슬람, 힌두교, 불교, 케바티난, 애니미즘
민족계통
하위분파 말레이족
폴리네시아인
포모사인
참족
자와족
순다족

선사시대 그리고 역사

편집
 
얼굴에 타투를 한 타이완의 아타얄 부족 여인
 
일본 통치기에 동경제국대학교 인류학과를 방문한 루카이족 마을의 추장

고고학적 증거가 남부(동남아시아말레이시아)와 중국 본토 지역 사이의 기술적인 관련을 증명하고 있다. 반면, 고고학적, 언어학적 조합의 증거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북부(화난타이완) 기원설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왔다. 중국화 이전(특히, 한족들이 통치 패권을 잡기 전), 오스트로네시아어 화자들은 타이완을 지나 중국 남부 해안에서 통킹만까지 확산되었다. 그 시기, 한족들은 남진을 하여 양쯔강에서 또는 양쯔강 어귀에서 통킹만에 이르는 해안 지역에서 모든 본토에 남아 있는 오스트로네시아어 부족들을 중국화 시켰다. (오늘 날 그 과정은 타이완에서도 계속되고 있다.) 

[5] 최근 조치에서, 모든 오스트로네시아어는 10개의 하위군으로 분류되었다. 모든 비포모사 어는 하나의 하위분류로 하고, 나머지 아홉개는 타이완에서만 알려져 있다.[6] 
이러한 유형이 타이완에서 동남아 내륙, 말레이시아, 그리고 궁극적으로 저 멀리 태평양까지 유입되는 농경 부족의 확산에 의해 가장 잘 설명이 될 수 있는 지는 논란이 되어 왔다. 비록 ‘폴리네시아 특급열차’라는[7][8] 용어로 이름 붙은 이 모형이 광범위하게 유효한 데이터로 주장되고 있지만, 여러 우려들이 제기되었다.[9] 이 모델에 대한 대안은 멜라네시아 또는 동남아시아에서 오스트로네시아어족들의 토착 기원설이다.

이주와 분산

편집

재배된 코코야자의 게놈 분석은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의 운동에 빛을 주었다. 10개의 미세 위성 유전자를 조사함으로써, 연구원들은 코코야자에 2개의 유전학적인 뚜렷한 부분 모집단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하나는 인도양에서 기원한 것이었고, 나머지는 태평양에서 기원한 것이었다. 그러나, 두 개체 사이에, 유전자 전이의 혼성이 있었다는 증거는 있다. 코코야자가 해양 살포에 대해 이상적으로 적응했다는 것을 가정하면, 한 곳에서 온 개체가 바다에 떠서 다른 개체로 갔다는 것도 가능하게 보인다. 그러나, 혼성이 일어난 위치는 마다가스카르와 아프리카 동부 해안으로 제한되며, 세이셸은 배제되었다. 이러한 패턴은 오스트로네시아 항해자들의 무역로로 알려진 것과 동시에 일어난다. 덧붙여, 창시자효과로부터 기인한 개체군 병목현상을 경험한 남미의 동부 해안에 있는 유전학적으로 뚜렷한 코코야자 하위 개체가 있다. 그러나, 그 선조들이 태평양 코코야자이며, 그것은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미국 대륙까지 항해했을 것이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14]

지리적 분포

편집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은 원양 항해(ocean-going sailing) 기술을 최초로 발명하였다. 이로 인해 인도-태평양 지역(Indo-Pacific region) 대부분을 식민지화할 수 있었다.[15] 16세기 근세 식민 시대(Colonial Era) 이전, 오스트로네시아 어족은 세계에서 가장 광범위한 언어로, 동태평양 이스터 섬(Easter Island)에서 서인도양 마다가스카르(Madagascar)에까지 이르렀는데 이는 지구 면적 절반에 해당한다.[16]

 
프랑스령 폴리네시아(French Polynesia) 투아모투 군도(Tuamotus) 내 랑이로아 환초(Rangiroa island)의 코코야자, 오스트로네시아에서 전형적으로 보이는 섬 풍경, 코코야자는 열대 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카누 식물(canoe plants)로서 태평양제도와 마다가스카르로 확산시켰다.[17][18][19]

오늘날 오스트로네시아 계열 언어는 지구 전 인구의 4.9%에 해당하는 약 3억 8,600만 명이 사용하고 있어, 5번째로 큰 어족에 해당한다. 가장 많은 사용자를 가지고 있는 오스트로네시아어로는 말레이어(Malay)(인도네시아어와 말레이시아어), 자바어(Javanese), 필리핀어(Filipino)(타갈로그어)가 있다. 어족에는 1,257개 언어가 속해 있어, 어족 중 2번째로 많은 언어를 거느리고 있다.[20]

오스트로네시아 구사가 가능한 원주민들을 포함하는 지리적 지역을 오스트로네시아라고도 한다.[21] 하위지역(subregion)으로는 말레이 반도(Malay Peninsula), 대순다열도(Greater Sunda Islands), 소순다열도(Lesser Sunda Islands), 제도 멜라네시아(Island Melanesia), 제도 동남아(Island Southeast Asia, ISEA), 말레이 군도(Malay Archipelago), 해양 동남아시아(Maritime Southeast Asia, MSEA), 멜라네시아(Melanesia), 미크로네시아(Micronesia), 근 오세아니아(Near Oceania), 오세아니아(Oceania), 태평양 제도(Pacific Islands), 원 오세아니아(Remote Oceania), 폴리네시아(Polynesia), 왈라세아(Wallacea)가 있다.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에서는 국수주의적 용어로 누산타라(Nusantara)가 이들 제도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흔히 사용되고 있다.[21][22]

 
현대 오스트로네시아 분포도(짙은 파랑) 및 과거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이주 및 접촉하였으나 현재에는 거주하지 않는 곳으로 추정되는 지역(연두색)(Blench, 2009)[23]

역사적으로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은 유독 '섬세계(island world)'에서 살고 있다. 오스트로네시아 지역 역시 상당한 계절성 강우가 내리는 열대 기후(tropical climate) 혹은 아열대 기후(subtropical climate)가 우세한 태평양 및 인도양 섬들에 거의 대다수 살고 있다. 이들은 큰 섬이나 내륙지역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제한하였다.[24][25]

이들 중에는 대만 원주민(Taiwanese indigenous peoples)들도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은 브루나이(Brunei), 동티모르(East Timor), 인도네시아, 마다가스카르, 말레이시아, 미크로네시아, 필리핀제도, 폴리네시아의 주류 종족이기도 하다. 또한 싱가포르(Singapore)의 말레이족, 뉴질랜드·하와이·칠레의 폴리네시아인, 호주의 토레스해협도민(Torres Strait Islanders), 멜라네시아와 뉴기니 해안의 비(非) 파푸안 족(non-Papuan peoples), 코모로(Comoros)의 시부시어(Shibushi) 사용자, 레위니옹(Réunion)의 말라가시어(Malagasy) 및 시부시어 사용자도 포함된다. 또한 이들은 태국 남부(Southern Thailand) 지역, 베트남 및 캄보디아의 참족(Cham people) 지역, 중국 하이난(Hainan, 海南) 참족 지역, 미얀마 메르구이 군도(Mergui Archipelago)에서도 발견된다.[16][24][26]

근대에 이르러서는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미국, 캐나다, 호주, 영국, 유럽, 코코스 제도(Cocos Islands), 남아프리카, 스리랑카, 수리남(Suriname), 홍콩, 마카오, 서아시아 국가 등지로도 이주하였다.[27]

일부 연구자들은 현재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살고 있지 않는 지역에서도 과거에는 정착 혹은 접촉이 있었다고 주장한다. 이들의 주장은 가능성 있는 가설로 이어지기도 하지만 최소한의 증거만으로 뒷받침되는 상당히 논쟁적인 주장을 펼치기도 한다. 2009년 로저 블렌치(Roger Blench)는 역사적 서술, 외래어, 이식된 동식물, 유전자, 고고학적 유적, 물질 문화 흔적 등 다양한 증거를 제시하여 오스트로네시아 분포도 확장판을 제시하였다. 여기에는 아메리카 대륙 및 일본의 태평양 연안, 일본 야에야마 제도(八重山諸島), 호주 해안, 스리랑카, 남아시아 연안 지역, 페르시아 만(Persian Gulf), 인도양 제도 일부, 동아프리카, 남아프리카, 서아프리카를 포함한다.[23]

 
지도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분포(호주 지도 주목)를 보여준다. 이것은 대략적인 오스트로네시아인의 분포와 일치한다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은 이름과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이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한 국가에서 원주민인 오스트로네시아인의 인구 통계는 분리하기 힘들다. 따라서, 싱가폴, 하와이와 같이 여러 민족이 섞여 사는 경우에는 자료 확인이 어렵다.
  2. Diamond, JM (2000). “Taiwan's gift to the world”. 《Nature》 403 (6771): 709–710. doi:10.1038/35001685. PMID 10693781. 
  3. Gray, RD; Drummond, AJ; Greenhill, SJ (2009). “Language Phylogenies Reveal Expansion Pulses and Pauses in Pacific Settlement”. 《Science》 323 (5913): 479–483. doi:10.1126/science.1166858. PMID 19164742. 
  4. According to the anthropologist Wilhelm Solheim II: "I emphasize again, as I have done in many other articles, that 'Austronesian' is a linguistic term and is the name of a super language family.
  5. “Prehistoric Settlement of the Pacific, Volume 86, Part 5”. 
  6. Blust R (1999). 〈Subgrouping, circularity and extinction: some issues in Austronesian comparative linguistics〉. Zeitoun E, Jen-kuei Li, P. 《Selected papers from the Eigh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ustronesian Linguistics》. Taipei: Academia Sinica. 31–94쪽. ISBN 9576716322. OCLC 58527039. 
  7. Diamond, Jared M. (1988). “Express train to Polynesia”. 《Nature》 336 (6197): 307–8. doi:10.1038/336307a0. 
  8. Diamond 1998, 336ff쪽
  9. Richards, Martin; Oppenheimer, Stephen; Sykes, Bryan (1998). “mtDNA suggests Polynesian origins in Eastern Indonesia”. 《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63 (4): 1234–6. doi:10.1086/302043. PMC 1377476. PMID 9758601. 
  10. Dyen, Isidore (1962). “The lexico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Malayapolynesian languages”. 《Language》 38 (1): 38–46. JSTOR 411187. 
  11. Isidore Dyen (1965). “A Lexico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the Austronesian Languages”. 《Internationald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Memoir》 19: 38–46. 
  12. Oppenheimer, Stephen (1998). 《Eden in the east: the drowned continent》. London: Weidenfield & Nicholson. ISBN 0-297-81816-3. 
  13. Cristian Capelli, James F. Wilson, Martin Richards, Michael P. H. Stumpf, Fiona Gratrix, Stephen Oppenheimer, Peter Underhill, Vincenzo L. Pascali, Tsang-Ming Ko, & David B. Goldstein; Wilson; Richards; Stumpf; Gratrix; Oppenheimer; Underhill; Pascali; Ko; Goldstein (2001). “A Predominantly Indigenous Paternal Heritage for the Austronesian-Speaking Peoples of Insular Southeast Asia and Oceania”. 《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68 (2): 432–443. doi:10.1086/318205. PMC 1235276. PMID 11170891. 
  14. Gunn, Bee; Luc Baudouin; Kenneth M. Olsen (2011). “Independent Origins of Cultivated Coconut (Cocos nucifera L.) in the Old World Tropics”. 《PLoS ONE》 6 (6): e21143. doi:10.1371/journal.pone.0021143. PMC 3120816. PMID 21731660. 
  15. Meacham, Steve (2008년 12월 11일). “Austronesians were first to sail the seas”. 《The Sydney Morning Herald》. 2020년 7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28일에 확인함. 
  16. Bellwood, Peter; Fox, James J.; Tryon, Darrell (2006). 《The Austronesians: Historical and Comparative Perspectiv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Press. ISBN 9781920942854. 2020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23일에 확인함. 
  17. Burney DA, Burney LP, Godfrey LR, Jungers WL, Goodman SM, Wright HT, Jull AJ (August 2004). “A chronology for late prehistoric Madagascar”. 《Journal of Human Evolution》 47 (1–2): 25–63. doi:10.1016/j.jhevol.2004.05.005. PMID 15288523. 
  18. Gunn BF, Baudouin L, Olsen KM (2011년 6월 22일). “Independent origins of cultivated coconut (Cocos nucifera L.) in the old world tropics”. 《PLOS ONE》 6 (6): e21143. Bibcode:2011PLoSO...621143G. doi:10.1371/journal.pone.0021143. PMC 3120816. PMID 21731660. S2CID 14226647. 
  19. Dewar, Robert E.; Wright, Henry T. (1993). “The culture history of Madagascar”. 《Journal of World Prehistory》 7 (4): 417–466. doi:10.1007/BF00997802. hdl:2027.42/45256. S2CID 21753825. 
  20. Blust, Robert (2016). 《History of the Austronesian Languages》.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21. Abels, Birgit (2011). 《Austronesian Soundscapes: Performing Arts in Oceania and Southeast Asia》. Amsterdam University Press. 16–21쪽. ISBN 9789089640857. 2020년 7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6월 4일에 확인함. 
  22. Embong, Abdul Mutalib; Jusoh, Juhari Sham; Hussein, Juliani; Mohammad, Razita (2016년 5월 31일). “Tracing the Malays in the Malay Land”.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19: 235–240. doi:10.1016/j.sbspro.2016.05.011. ISSN 1877-0428. 
  23. Blench, Roger (2009). 〈Remapping the Austronesian expansion〉 (PDF). Evans, Bethwyn. 《Discovering History Through Language: Papers in Honour of Malcolm Ross》. Pacific Linguistics. ISBN 9780858836051. 2020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23일에 확인함. 
  24. Blust, Robert A. (2013). 《The Austronesian languages》. Asia-Pacific Linguistic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hdl:1885/10191. ISBN 9781922185075. 
  25. Bulbeck, David (December 2008). “An Integrated Perspective on the Austronesian Diaspora: The Switch from Cereal Agriculture to Maritime Foraging in the Colonisation of Island Southeast Asia”. 《Australian Archaeology》 67 (1): 31–51. doi:10.1080/03122417.2008.11681877. hdl:1885/36371. S2CID 141892739. 2020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10일에 확인함. 
  26. Cheke, Anthony (2010). “The timing of arrival of humans and their commensal animals on Western Indian Ocean oceanic islands”. 《Phelsuma》 18 (2010): 38–69. 2017년 4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월 21일에 확인함. 
  27. Goss, Jon; Lindquist, Bruce (2000). “Placing Movers: An Overview of the Asian-Pacific Migration System” (PDF). 《The Contemporary Pacific》 12 (2): 385–414. doi:10.1353/cp.2000.0053. hdl:10125/13544. 2017년 8월 1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월 21일에 확인함. 

도서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