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개구리

개구리의 일종

옴개구리(학명Glandirana emeljanovi 글란디라나 에멜랴노비[*])는 옴개구리속에 속한 개구리의 일종이다. 주름돌기개구리라고도 한다. 제주도를 제외한 한반도 전역과 중국 동북부에 분포한다. 몸의 표면 전체가 좁쌀 모양의 돌기로 덮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반도와 중국의 옴개구리는 일본 옴개구리(Glandirana rugosa)와 같은 종으로 여겨지기도 했으나, 최근의 유전자 연구는 둘이 서로 다른 종임을 지지하고 있다.[3][4]

옴개구리
옴개구리(충청남도 서산시)
옴개구리(충청남도 서산시)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양서강
목: 개구리목
과: 개구리과
속: 옴개구리속
종: 옴개구리
학명
Glandirana emeljanovi
Nikolsky, 1913
  • Rana emeljanovi­ (Nikolsky, 1913)
  • Rana rugosa emeljanovi­ (Terentjev & Chernov, 1940)
향명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2]

형태

편집

주둥이부터 총배설강까지의 길이는 3 ~ 6 cm이다.[5] 몸집은 암컷이 수컷보다 크다. 몸의 표면은 좁쌀 모양의 돌기로 덮여 있다. 흑갈색 또는 회색 바탕의 등면에는 이 돌기들과 함께 짧은 융기선들이 뚜렷하다. 물갈퀴는 뒷발에만 있다.

올챙이의 양 눈은 등에 있고, 몸통, 꼬리, 지느러미 전체에 얼룩덜룩한 무늬가 산재해 있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입판의 치열은 위에 1열, 아래에 3열이 있는데, 아래 첫 번째만 둘로 나뉜다.[6]

생태

편집

계곡, 하천, 농경지, 수로, 물웅덩이, 저수지, 습지 등에 서식한다. 알은 30 ~ 60개를 불규칙한 작은 덩어리로 낳으며, 연못이나 고인 물에 사는 물풀의 잎 뒷면에 붙인다. 4월부터 활동을 시작하며 5 ~ 8월의 짝짓기철이 오면 물풀이 우거진 물가에 모여 시끄럽게 운다. 일찍 번식한 경우에는 부화한 올챙이가 그해에 변태하지만, 늦게 번식한 경우에는 올챙이인 채 겨울을 나고 이듬해 여름에 변태를 한다.[7] 피부에서 독 성분을 분비한다. 수컷은 몸 안쪽에만 울음주머니가 있어 작은 소리를 내어 짝을 부른다. 주로 곤충과 거미를 잡아먹는다. 수명은 6 ~ 8년이다.[5]

각주

편집
  1. “옴개구리”. 《한국의 멸종위기종》. 국립생물자원관. 2024년 8월 14일에 확인함. 
  2. IUCN SSC Amphibian Specialist Group (2020). Glandirana emeljanovi. 《IUCN 적색 목록》 (IUCN) 2020: e.T58591A63878188. doi:10.2305/IUCN.UK.2020-1.RLTS.T58591A63878188.en. 2021년 11월 19일에 확인함. 
  3. Yang, Suh-Yung; 외. (2000). “Genetic diversity and speciation of Rana rugosa (Amphibia; Ranidae)” (PDF).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4 (1): 23-30. 
  4. Kim, Dong Youn (2021). 《Phylogeography and taxonomic status of Korean Glandirana emeljanovi (Anura: Ranidae)》 (PDF)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5. 이정현; 박대식 (2016). 《한국 양서류 생태 도감》. 자연과생태. 218-220쪽. ISBN 978-89-97429-62-2. 
  6. Park, DS; 외. (2006).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anuran tadpoles in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9 (5): 425-432. 
  7. Khonsue, Wichase; Matsui, Masafumi; Hirai, Toshiaki; Misawa, Yasuchika (2001). “Age determination of wrinkled frog, Rana rugosa with special reference to high variation in postmetamorphic body size (Amphibia: Ranidae)”. 《Zoological Science》 18 (4): 605-612. doi:10.2108/zsj.18.605. 

외부 링크

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국립생물자원관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된 자료를 바탕으로 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