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카만도코로
와카만도코로(일본어: 若政所 わかまんどころ[*], 생년 미상 - 게이초 6년 8월 20일[1] (1601년 9월 16일)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여성이다. 남편은 도요토미 히데츠구이다. 아버지는 이케다 츠네오키이고, 어머니는 알려지지 않았다[2]. 형제로는 이케다 테루마사 등이 있다.
이름은 알려지지 않았다. 다른 이름은 와카고젠(若御前)이다. 법명은 致祥院殿栄岳利盛[3]이다. 관위는 정2위였다는 기록이 있다[4].
개요
편집일반적으로 와카만도코로는, 아버지가 섭정ㆍ관백직이면서도 자신도 같은 공경의 정실에게 사용하는 칭호이다[5].
생애
편집혼노지의 번 후, 아버지 이케다 츠네오키는 하시바 히데요시에게 차남 이케다 테루마사를 히데요시의 양자로 삼고, 딸 (와카만도코로)를 미요시 노부요시 (후의 도요토미 히데츠구)에게 시집보내기로 약속했다[8][9].
와카만도코로가 히데츠구에게 시집갔을 때, 미코시후쿠(御輿副)를 이케다 가신 코사이 마타이치[10]가 맡았다고 한다[11][12]. 히데츠구와의 사이에서 자녀는확인되지 않았다.
분로쿠 2년 (1593년) 12월 16일에, 히데요시로부터 히데츠구, 히데츠구의 어머니 닛슈니와 와카만도코로에게 고려 대구가 보내졌다[13][14].
분로쿠 3년 (1594년), 히데츠구의 딸인 야오히메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약혼자였다고 한다)의 병이 낫기 위한 기도를 위해 서장을 보낸 모습이 보여진다[15].
사망년도의 표기는 없으나, 야오히메의 기일이 7월 13일이라는 사료가 있어, 히데츠구의 할복 사건 이전에 사망한 것이 아닌가하는 추측이 있다[16].
와카만도코로도 히데츠구 사건 이전에 사망했다는 사료도 있지만[17], 구명되어 친정으로 돌려보냈다고 하는 사료[18]의 성립이 빨라 신빙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각주
편집- ↑ 《『池田氏家譜集成』九巻所収『池田家年譜』》.
- ↑ 『新訂 寛政重修諸家譜 第五』 1964, 46쪽.
- ↑ 《『東西歴覧記』》.
- ↑ 교토 묘신지 탑두의 세이아쿠인(盛岳院)의 과거장(過去帳)에 쓰여있다
- ↑ 『九条家歴世記録』에서 관백 쿠죠 유키이에의 차남 쿠죠 미치후사의 정실・렌테이인에 대해 와카만도코로라는 호칭이 사용되었다
- ↑ 『系図纂要』에서는 차녀라 기록되어있다
- ↑ 키쿠테이 하루스에의 딸의 이치노다이가 정실로, 와카만도코로를 측실 내지 사망했다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적어도 와카만도코로 (키타노만도코로에 비해 젊은 만도코로라는 뜻으로 여겨진다)라는 호칭을 받은 것으로 보아, 와카만도코로가 정실임은 틀림 없어 보인다.
- ↑ 《『池田軍記』》 (PDF).
- ↑ 타니구치 카츠히로 저 『織田信長家臣人名辞典』에서, 이케다 츠네오키의 사위로 알려진 오다 노부후사가 혼노지의 변 전년에 "츠네오키의 둘째 딸"과 결혼했다고 하는 기술이 있다. 만약 츠네오키의 차녀가 와카만도코로라면, 히데츠구와는 재혼인 셈이다.
- ↑ 코사이시 서류(庶流) 출신. 『香西史』의 코사이 가계도의 코사이 누이도노스케(香西縫殿助)가 『吉備群書集成』에 의하면 마타이치의 형에 해당하므로, 양자의 기술이 맞다면, 코사이 모토사다의 대조카에 해당한다.
- ↑ 《『吉備群書集成. 第六輯』》.
- ↑ 코사이 마타이치는 미코시후쿠(御輿副)를 맡은 것으로 덴쇼 11년 (1583년) 7월 26일에 가증되었기 때문에, 히데츠구와 와카만도코로의 결혼은 그 이전이라 할 수 있다.
- ↑ 《『史籍集覧. 25』収録『駒井日記』》.
- ↑ 히데츠구의 어머니와 함께 히데요시의 증답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이를 통해 정실임을 알 수 있다
- ↑ 《『兼見卿記』》.
- ↑ 쿠로카와 도유, 카미무라 관광편 (1910). 《『黒川道祐近畿游覧誌稿』》. 淳風房. 98쪽.
- ↑ 《『古老物語聞書』》.
- ↑ 오다 규이치. 《『大かうさまくんきのうち』》.
- ↑ 『池田家年譜』에서는 와카만도코로를 가리켜 "히데츠구 공 렌쥬(秀次公簾中)"라고 하고 있으나, 간에이 18년에 이케다 미츠마사와 이케다 미츠나카가 에도 막부에 제출하기 위해 작성한 『池田家系図』에서는 간단하게 "히데츠구의 아내(秀次室)"라고 쓰여있다
참고 문헌
편집- 《新訂 寛政重修諸家譜 第五》. 속군서류종완성회. 1964년 11월 3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