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지선 완비 준 리만 다양체
리만 기하학에서 측지선 완비 준 리만 다양체(測地線完備準Riemann多樣體, 영어: geodesically complete pseudo-Riemannian manifold)는 그 측지선들이 중간에 임의로 끊기지 않는 준 리만 다양체이다.
정의
편집가 준 리만 다양체라고 하자. 만약 다음 조건이 성립한다면, 를 측지선 완비 준 리만 다양체라고 한다.
- 임의의 및 에 대하여, 이며 이며 모든 에 대하여 인 측지선 이 존재한다.
즉, 측지선 완비 준 리만 다양체는 측지선이 갑자기 끊기지 않는 준 리만 다양체이다. 예를 들어, 유클리드 공간이나 콤팩트 리만 다양체는 측지선 완비 리만 다양체이지만, 유클리드 공간의 (전체 공간이 아닌) 열린집합은 측지선 완비 리만 다양체가 아니다.
준 리만 다양체 및 임의의 점 가 주어졌을 때, 초기 속도에 측지선을 대응시키는 지수 사상
을 정의할 수 있다. 물론, 정의역 는 의 근방을 포함한다. 측지선 완비성은 위 지수 사상이 전체에 정의될 수 있음을 뜻한다.
리만 다양체 속의 점 의 단사성 반지름(單射性半-, 영어: injectivity radius)은 가 단사 함수가 되는 들의 상한이다. (물론 이 개념은 리만 다양체가 아닌 준 리만 다양체에 대하여 무의미하다.)
확장 불가능성
편집준 리만 다양체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확장 불가능 준 리만 다양체(擴張不可能準Riemann多樣體, 영어: inextendable pseudo-Riemannian manifold)라고 한다.
성질
편집임의의 준 리만 다양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함의 관계가 성립한다.
리만 다양체의 경우, 호프-리노프 정리(Hopf-Rinow定理, 영어: Hopf–Rinow theorem)에 따르면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여기서, 임의의 연결 리만 다양체 위에는 표준적인 거리 함수를 줄 수 있는데, 위의 "완비 거리 공간" 및 "유계 집합"은 이 거리 함수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호프-리노프 정리는 리만 다양체가 아닌 준 리만 다양체의 경우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클리프턴-폴 원환면은 그 반례이다.
다만, 콤팩트 로런츠 다양체의 리만 곡률이 어디서나 0이라면, 이는 항상 측지선 완비 다양체이다.[1][2]
예
편집호프-리노프 정리를 만족시키지 않는 로런츠 다양체의 대표적인 예는 클리프턴-폴 원환면(Clifton-Pohl圓環面, 영어: Clifton–Pohl torus)이다.[3]:193, Example 7.16 이는 콤팩트 공간이지만, 확장 불가능 다양체가 아니다.
원점을 제거한 평면 위에 다음과 같은 로런츠 계량을 주자.
이를 클리프턴-폴 평면(Clifton-Pohl平面, 영어: Clifton–Pohl plane)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변환들은 위의 등거리 변환이다.
이제, 로 생성되는 이산 부분군을 생각하자. 이에 대한 몫공간
은 원환면 과 미분 동형이며, 특히 콤팩트 공간이다. 을 클리프턴-폴 원환면이라고 한다.
은 콤팩트 로런츠 다양체이지만, 이는 측지선 완비 다양체가 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측지선
은 에서 정의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측지선
역시 에서 정의되지 않는다.
사실, 다음과 같은 좌표 변환을 가하자.
그렇다면, 클리프턴-폴 평면의 계량은 다음과 같다.
이는 자연스럽게
위에 정의된다. 즉, 단사 등거리 변환
이 존재하며, 그 상은
이다. 을 확장 클리프턴-폴 평면(擴張Clifton-Pohl平面, 영어: extended Clifton–Pohl plane)이라고 하며, 이는 과 달리 측지선 완비 다양체이다.[4]:§1.3 그러나 의 경우 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었던 자기 등거리 변환이 존재하지 않는다.
역사
편집호프-리노프 정리는 하인츠 호프와 빌리 루트비히 아우구스트 리노프(독일어: Willi Ludwig August Rinow, 1907~1979)가 1931년에 증명하였다.[5]
클리프턴-폴 원환면은 1962년에 이턴 클리프턴(영어: Yeaton H. Clifton)과 윌리엄 폴(영어: William Pohl)이 발견하였으나, 출판하지 않았다.[6]:95
각주
편집- ↑ Carrière, Yves (1989). “Autour de la conjecture de L. Markus sur les variétés affines”. 《Inventiones Mathematicae》 (프랑스어) 95 (3): 615–628. doi:10.1007/BF01393894. ISSN 0020-9910.
- ↑ Urtsever, Ulvi. “A simple proof of geodesical completeness for compact space‐times of zero curvature”. 《Journal of Mathematical Physics》 (영어) 33 (4): 1295–1300. doi:10.1063/1.529706.
- ↑ O’Neill, Barrett (1983). 《Semi-Riemannian geometry with applications to relativity》. Pure and Applied Mathematics (영어) 103. Academic Press. ISBN 978-008057057-0.
- ↑ Bavard, Christophe; Mounoud, Pierre (2013). “Sur les surfaces lorentziennes compactes sans points conjugués” (PDF). 《Geometry and Topology》 (프랑스어) 17: 469–492. doi:10.2140/gt.2013.17.469.
- ↑ Hopf, Heinz; Rinow, Willi (1931). “Ueber den Begriff der vollständigen differentialgeometrischen Fläche”. 《Commemtarii Mathematici Helvetici》 (독일어) 3: 209–225. ISSN 0010-2571.
- ↑ Wolf, Joseph A. (2011). 《Spaces of constant curvature》 (영어) 6판.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Chelsea Publishing. doi:10.1090/chel/372. ISBN 978-0-8218-5282-8. MR 2742530.
외부 링크
편집- “Complete Riemannian space”.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Hopf-Rinow theorem”.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Weisstein, Eric Wolfgang. “Complete Riemannian metric”.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Weisstein, Eric Wolfgang. “Hopf-Rinow theorem”.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Completeness implies geodesic completeness, a more conceptual way?” (영어). StackEx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