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골자리 V382

용골자리 V382(영어: V382 Carinae) 또는 용골자리 x용골자리에 있는 분광형 G의 황색 극대거성이다. 이 별은 밝기가 작은 폭에서 변하는 변광성으로 평균 겉보기 등급은 3.93이다. 변광성 일반 목록(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에는 이 별을 세페우스자리 델타형 변광성으로 분류하고 있으나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3] 변광주기가 556일이라는 주장이 나온 적이 있으나 실제 밝기변화 간격은 정확히 규칙적이지는 않다.[6] 지구로부터 8900 광년 떨어져 있으며 반지름은 태양의 700배이다.

용골자리 V382
명칭
다른 이름 용골자리 x, HR 4337, HD 96918, CP−58°3189, FK5 1289, HIP 54463, SAO 238813, GC 15329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별자리 용골자리
적경(α) 11h 08m 35.39s[1]
적위(δ) −58° 58′ 30.1″[1]
겉보기등급(m) +3.83[2] (3.84 - 4.02[3])
절대등급(M) −9.0[4]
위치천문학
연주시차 0.52 ± 0.17 밀리초각[1]
거리 8900 광년(2700 파섹)[4]
성질
광도 316,000 L[4]
분광형 G0-4-Ia+[4]
추가 사항
질량 20 M[4]
표면온도 5,200 K[4]
중원소 함량 (Fe/H) 0.38[5]
표면 중력 (log g) 0.70[5]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이 별은 밤하늘에 보이는 항성들 중 제일 밝은 황색 극대거성으로 카시오페이아자리 로보다 밝아 맨눈으로 쉽게 볼 수 있다. 다만 천구 위치상 북반구에서 이 별을 볼 수 있는 곳은 그리 많지 않다. 스펙트럼에서 적외선 초과 현상이 관측되어 적색 초거성으로 부푸는 과정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타 황색 극대거성들이 보통 쭈그러들면서 표면온도가 올라가는 것에 비해 드문 사례이다.[4][7]

각주

편집
  1.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2. Ducati, J. R. (2002).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CDS/ADC Collection of Electronic Catalogues》 2237. Bibcode:2002yCat.2237....0D. 
  3. Samus, N. N.; Durlevich, O. V.; 외. (2009).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VizieR On-line Data Catalog: B/gcvs. Originally published in: 2009yCat....102025S》 1. Bibcode:2009yCat....102025S. 
  4. Achmad, L.; 외. (1992). “A photometric study of the G0-4 Ia(+) hypergiant HD 96918 (V382 Carinae)”. 《Astronomy and Astrophysics》 259: 600–606. Bibcode:1992A&A...259..600A. 
  5. Luck, R. Earle (2014). “Parameters and Abundances in Luminous Stars”. 《The Astronomical Journal》 147 (6): 137. Bibcode:2014AJ....147..137L. doi:10.1088/0004-6256/147/6/137. 
  6. Van Leeuwen, F.; Van Genderen, A. M.; Zegelaar, I. (1998). “Hipparcos photometry of 24 variable massive stars (α Cygni variables)”.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Series》 128: 117. doi:10.1051/aas:1998129. 
  7. Stothers, R. B.; Chin, C. W. (2001). “Yellow Hypergiants as Dynamically Unstable Post–Red Supergiant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560 (2): 934. Bibcode:2001ApJ...560..934S. doi:10.1086/322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