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삼(圓衫)이란 한복에서 혼례복의 일종을 일컫는 것으로 원삼은 앞깃이 둥글기 때문에 둥근 원 자를 쓰며 활옷과 함께 대표적인 왕실의 혼례복이다. 대례복이며 색깔은 지위를 의미했으며 황후는 황원삼(黃圓衫), 왕비는의 홍원삼(紅圓衫), 빈궁(嬪宮)은 자적 원삼(紫赤圓衫) 등으로 불려 지위에 따라 구분됐다. 그 중에서 녹원삼은 공주와 옹주 및 정조 때 이후로는 서민들에게도 퍼져 대부분의 서민들도 혼례 때만큼은 입도록 허용됐다.[1]

원삼

원삼과 활옷과는 비슷하지만 소매나 옷길이가 좀 짧은 형태이다. 원삼의 시초는 통일신라 시대이며 당나라에서 많은 복식 제도가 들어오면서 이 형태도 들어온 것이다. 왕비의 원삼은 자적색, 또는 다홍색 길에 홍황두색의 색동을 써 여러 천을 사용한다.[1] 후에 조선 초 명나라의 의복인 장배자의 영향을 받아 예복으로 쓰이게 되었다.[2] 원삼은 특별히 대례복(활옷이나 원삼을 가리킴)으로 쓰이던 옷인 만큼 그 아름다움이 활옷과 비등할 정도로 뛰어났으며 길상을 상징하는 문양이나 자수를 새겨 특별한 일임을 강조했다.[3] 간혹 원삼이나 당의 등 의례복에는 표면 전체에 꽃이 표현된 경우도 있었다.[4]

이에 대한 제한을 보면 원삼은 치마저고리 위에 덧입었으며 궁중에서는 원삼을 청색으로 입어 서민과 구분지었고 서민들의 녹원삼에는 금박장식을 할 수 없게 제한했다. 조선 말 이후 간소화되면서 원삼은 현재 폐백 복장으로 남아 있다.[5]

사진자료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심화진, 《우리옷 만들기》,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년, 35쪽, 204쪽
  2. 박영규, 《조선 왕실과 외척》, 김영사, 2003년, 46쪽
  3. 김지영, 《규방공예》, 컬처라인, 2000년, 27쪽
  4. 이상희,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2004년, 넥서스북스, 102쪽
  5. '한복'에 귀하게 사용된 색이 따로 있다는데…[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1-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