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알찬 글 후보/락토페린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아래의 내용을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
- 사용자:LR0725 제안: 영위백 문서 번역 이후, '락토페린 수용체', '락토페린 펩타이드', '분리와 정제' 문단을 새로 만들고 '진단적 가치' 문단에서 대변 락토페린에 관한 내용을 추가했습니다. 또한 출처 보강 이후 서술 수정하는 작업도 끝마쳐서 알찬 글이 될 만하다고 생각하여 후보로 올립니다. / 2022년 9월 18일 (일) 22:41 (KST)
기준
- 믿을 수 있는 높은 품질
- 전문적인 기준이 적용된 잘 짜여진 글인가?
- 주요한 사실과 세부사항, 문맥이 포함된 포괄적인 글인가?
-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 기반한 확인이 이루어진 인용을 통한 신뢰할 수 있는 글인가?
- 편향된 시각이 없는 중립적인 글인가?
- 주요한 내용의 변함이 없이 안정된 글인가?
- 세부적인 양식 기준: 편집 지침과 다음 조건에 적합하는가?
- 초록 문단에 전체 문서의 내용이 간단히 잘 요약되어 있는가?
- 목차의 구성이 알찬가?
- 인용이 일관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가?
- 멀티미디어: 저작권에 대한 설명이 충족하는 미디어 사용 정책에 일치하는 멀티미디어 자료가 있는가?
- 길이: 불필요한 세부사항 없이 주요 주제에 중점을 두고 있는가?
의견
생성한 문서: 트랜스페린, 특이과립, 샘꽈리세포, 락토페리신 --LR 토론 / 기여 2022년 10월 9일 (일) 19:39 (KST)
믿을 수 있는 높은 품질: 전문적, 객관적으로 잘 짜여졌고 주요한 사실과 세부사항 및 문맥이 아주 구체적이고 전체적인 구조 또한 안정적이다. 출처는 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으로 아주 신용도 높은 기관이다.
멀티미디어: 매체 자료 또한 시인성 있게 구성되어 있다.
길이: 전문적인 지식을 요구하는 문서라고 생각하면 적절한 분량이라고 말할 수 있다.
- @Hyeok4230: 이 역시 찬성에 해당하는 의견일까요? Nt 2022년 10월 10일 (월) 00:04 (KST)
- @Monocular Diplopia: 못 보신 거 같아서 다시 핑 드립니다. --LR 토론 / 기여 2022년 10월 20일 (목) 00:05 (KST)
- 구조 문단에도 사진이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TsarReich (토론) 2022년 12월 12일 (월) 21:22 (KST)
- 사실 맨 밑에 보시면 PDB 갤러리 틀이 있긴 합니다. 그중 하나를 적절히 삽입했습니다. 다만 이게 이해에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어서요...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13일 (화) 13:00 (KST)
- 그러면 그 틀에 있는 사진 몇 장만 가져와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문서 맨 밑에 문헌 형식으로 있는 것보다는 글 바로 옆에 있는게 이해에 더 도움이 될 거니까요. TsarReich (토론) 2022년 12월 13일 (화) 16:15 (KST)
- 적당한 게 있으면 넣어보겠습니다.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13일 (화) 16:36 (KST)
- @TsarReich: 혹시 글의 다른 부분에 대해선 의견을 주실 수 있을까요?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13일 (화) 16:37 (KST)
- 관련 주제에 대해 알고 있는 게 없어서 따로 의견을 내야겠다 하는 거는 없네요. 하나 의견이라고 한다면 1-2문장씩만 있는 문단이 있는데 문단을 충분히 설명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 외에는 링크되어 있는 없는 문서들만 생성하셔도 좋은 글임은 틀림없을 것 같습니다. TsarReich (토론) 2022년 12월 13일 (화) 20:21 (KST)
- 아마 괴사성 장염 문단과 나노기술 문단 얘기신 것 같습니다. 분명 있는 내용이지만 다른 하위 문단에 들어갈 수 없어 저렇게 배치됐는데, 좀 더 보충할 필요가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의견 감사합니다.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13일 (화) 20:55 (KST)
- @TsarReich: 일단 관련 있는 논문들을 긁어 와서 살짝 보충했는데 좀 더 할 수 있으면 보충해 보겠습니다. 링크되어 있는 없는 문서들은 나름 몇 개 생성했는데도 이런 빈곤한 실정이네요. 다시 한 번 의견 감사합니다.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13일 (화) 21:31 (KST)
- 관련 주제에 대해 알고 있는 게 없어서 따로 의견을 내야겠다 하는 거는 없네요. 하나 의견이라고 한다면 1-2문장씩만 있는 문단이 있는데 문단을 충분히 설명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 외에는 링크되어 있는 없는 문서들만 생성하셔도 좋은 글임은 틀림없을 것 같습니다. TsarReich (토론) 2022년 12월 13일 (화) 20:21 (KST)
- 그러면 그 틀에 있는 사진 몇 장만 가져와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문서 맨 밑에 문헌 형식으로 있는 것보다는 글 바로 옆에 있는게 이해에 더 도움이 될 거니까요. TsarReich (토론) 2022년 12월 13일 (화) 16:15 (KST)
- 사실 맨 밑에 보시면 PDB 갤러리 틀이 있긴 합니다. 그중 하나를 적절히 삽입했습니다. 다만 이게 이해에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어서요...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13일 (화) 13:00 (KST)
- 이번에도 좋은 기여 감사드립니다! 단백질 후보는 처음 보는지라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게 힘들었네요^^ 평가하는데 영어위키의 알찬 글인 en:Serpin, en:Proteasome도 참고했습니다. 제가 조금 수정한 부분도 있는데, 의도를 몰라 수정하지 못한 부분도 말씀드리고, 의견도 드리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 기능 문단에 '촉매 활성과 기능을 가지고 있다' 라는 내용이 오타로 보이는데 수정 부탁드립니다.
- Lf와 LF의 표기가 공존하여 의도하신 대로 통일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생체내 발현 문단에서 트랜스페린의 혈청유래와 세포통과 기전의 존재성 사이에 어떤 관련이 있는지 한눈에 이해하기 힘들어 조금만 더 풀어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락토페린의 항생물질로서의 역할을 기능 문단에서도 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임상적 중요성 문단으로 완전히 분리시키신 것 같은데, 항생기능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임상적 중요성 문단의 요약 정도로) 한두문단이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 감사합니다! 행복한 연말 되세요:)――사도바울 (💬✍ℹ️) 2022년 12월 15일 (목) 02:29 (KST)
- 1은 촉매로서의 활성을 가져서 기능을 한다는 건데 다시 바꿔보겠습니다. 2. 는 보통 Lf로 쓰는 거 같아 고치겠습니다. 나머지도 고쳐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15일 (목) 02:37 (KST)
- 3번은 우선 레퍼런스 원문을 이용해 좀 보충했는데, 4번은 따로 분리되어 있는 게 낫지 않을까요?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15일 (목) 03:56 (KST)
- 빠른 수정 감사합니다!
- 3번은 트랜스페린과의 관계가 문서에서 잘 소개되지 않는 것 같아서 그렇습니다. 트랜스페린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는 저로서는 트랜스페린에 대해 트랜스페린 문서 외에 (1) 락토페린은 트랜스페린 단백질의 일종이고 (2) 철 이온이 트랜스페린에서 락토페린으로 이동한다는 내용밖에 알 수 없습니다. 결과적으로 '트랜스페린이 혈청에서 젖샘으로 수송되어야 한다'고 추측한 근거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인 설명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 4번은 문단을 합치자는게 아니라 '항생기능'에 대해 기능 문단에서도 어느 정도 소개해야하지 않나 싶어서 드린 말씀입니다. 임상적 중요성 문단이 분리되어 있는 것은 동의합니다. 다만 문서 전반에서 락토페린의 면역기능에 대한 설명이 나타나는데, 그에 비해 기능 문단에서는 락토페린의 면역 기능에 대한 설명이 효소 활성 소문단에서 기술하는 항암기능밖에 없는 것 같아서 아쉬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임상적 중요성 문단에 소개된 락토페린의 면역기작 부분을 아예 기능 문단으로 옮기고 임상적 중요성 문단에서는 clinical usage와 연관지어서만 간결히 필요한 부분만 집약하여 소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긴 합니다. ――사도바울 (💬✍ℹ️) 2022년 12월 15일 (목) 11:58 (KST)
- @Sadopaul: 3번의 문장을 좀 수정했습니다. 이동이 있다고 연구에서 주장하는 이유는 트랜스페린이 혈관 밖의 분비세포 기저막에도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연구에서는 면역조직화학적으로 트랜스페린과 락토페린의 위치를 찾아냈네요. (원문: However, the nonhomogeneous distribution of transferrin in alveolar secretory cells and also in connective tissue, especially near blood vessels, suggests a transference of transferrin from blood to milk. The high concentration of transferrin in the basal membrane of the secretory cells, mainly in those near capillary vessels, could indicate the existence of a receptor-mediated mechanism of transference. )
- 4번의 경우는 기능 쪽인 것 같다는 말씀이 맞는 것 같아서 아예 활성 관련 내용을 전부 기능 문단의 하위로 옮기고 임상적 중요성 문단에는 진단과 실제 질병 적용 관련 내용만 있는 문단만 남겼습니다.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15일 (목) 14:02 (KST)
- 찬성 제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사도바울 (💬✍ℹ️) 2022년 12월 15일 (목) 15:39 (KST)
- 구성이 알차네요. 검토 중에 락토페린 수용체 문단에서 "중뇌의 미세한 혈관"이란 말에서 미세한 혈관과 모세혈관의 차이가 있나요? 없다면 후자를 쓰는 것이 어떤가 싶어서요. Magica (토론) 2022년 12월 16일 (금) 01:34 (KST)
- @Sungwiki: The 105-kDa Lf receptor characterized on activated human T-cells (6) is expressed at the cell surface of platelets (7), megacaryocytes (8), dopaminergic neurons, and mesencephalon microvessels (9). 원문이 이런데 microvessel은 일반적으로 영위백 본문에도 나와 있지만 세동맥, 모세혈관, 세정맥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입니다. "Microvessels comprise capillaries, arterioles, and postcapillary venules, (...)" 레퍼런스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16일 (금) 01:43 (KST)
- 확인했습니다. 45번 각주에 오류가 나오는 것 같은데, 그것만 해결되면 찬성하도록 하겠습니다. Magica (토론) 2022년 12월 16일 (금) 01:45 (KST)
- @Sungwiki: 41번 각주 이름을 Sheep로 지정해놓고 sheep로 쳐놨네요. 수정했습니다.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16일 (금) 01:50 (KST)
- 찬성 수고하셨습니다. 좋은 기여에 언제나 감사드립니다:) Magica (토론) 2022년 12월 16일 (금) 01:53 (KST)
- 감사합니다!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16일 (금) 01:55 (KST)
- 찬성 수고하셨습니다. 좋은 기여에 언제나 감사드립니다:) Magica (토론) 2022년 12월 16일 (금) 01:53 (KST)
- @Sungwiki: 41번 각주 이름을 Sheep로 지정해놓고 sheep로 쳐놨네요. 수정했습니다.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16일 (금) 01:50 (KST)
- 확인했습니다. 45번 각주에 오류가 나오는 것 같은데, 그것만 해결되면 찬성하도록 하겠습니다. Magica (토론) 2022년 12월 16일 (금) 01:45 (KST)
- @Sungwiki: The 105-kDa Lf receptor characterized on activated human T-cells (6) is expressed at the cell surface of platelets (7), megacaryocytes (8), dopaminergic neurons, and mesencephalon microvessels (9). 원문이 이런데 microvessel은 일반적으로 영위백 본문에도 나와 있지만 세동맥, 모세혈관, 세정맥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입니다. "Microvessels comprise capillaries, arterioles, and postcapillary venules, (...)" 레퍼런스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16일 (금) 01:43 (KST)
ja:ラクトフェリン#歯周病治療 일위백의 동일 문서 해당 문단을 번역하여 '치주 질환' 문단을 새로 생성하였습니다. 레퍼런스도 하나 추가했고요.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16일 (금) 02:51 (KST)
선정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Magica (토론) 2022년 12월 29일 (목) 00:40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