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KIWI/전체기사/2024년 7호
한국 위키미디어 협회가 드디어 독자적인 사무실을 열었습니다. 앞으로 오프라인 모임 개최와 에디터톤 등을 위해 개방할 예정입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이번 호에서 먼저 눈에 띄는 내용은 설문 조사의 결과입니다. 위키백과를 이용하는 분들은 누구이며 어떤 관심사를 갖고 어떤 활동을 하는지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하였습니다. 아직은 그저 읽기만 할 뿐 편집하지 않으시는 분들도 많고, 무엇을 어떻게 편집하는 게 좋을지 모르겠다는 분도 계시고, 직접 편집하기에는 자신의 지식이 부족하다며 자신 없어 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이 모든 분이 적절히 참여할 수 있는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하겠습니다.
과학의 달 에디터톤은 고민이 많습니다. 오래된 행사이다 보니 참여율이 점점 낮아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더욱 활발한 참여를 위해 어떤 방식으로 변화하여야 할지 의견을 구합니다. 한편 함께 진행된 기후 변화 봉사 프로그램은 나름대로 성과가 있었습니다. 협회는 전문적인 문서의 확보를 위해 앞으로도 봉사 프로그램을 꾸준히 운영할 생각입니다만 일반 사용자들의 자발적인 참여 역시 중요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위키문헌의 옛한글 프로젝트는 올해도 순항 중입니다. 올해는 국립중앙도서관과 협업하여 보다 큰 프로젝트로 진행 중입니다.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국립중앙도서관과 협업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위키백과 편집에 익숙지 않은 분들을 위한 시각편집기 도움말 개선을 마쳤습니다. 마음에 드실지 모르겠습니다. 도움말에 대해서는 이후로도 더 간결하고 보기 쉽고 알기 쉽도록 보강 사업을 계속할 예정입니다.
올해의 ESEAP 컨퍼런스는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에서 열렸습니다. 위키미디어 프로젝트들은 수많은 언어가 함께 하는 국제 협업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국제적 공조 역시 소홀히 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올해 ESEAP에서는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 간략한 소개를 실었습니다.
날이 벌써 무더워지고 있네요. 슬슬 여름입니다. 모두 건강하시고 늘 건승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위키커뮤니티를 쇄신하려는 사용자들이 정책과 지침을 갈고닦는 절차탁마를 통해 위키를 바꾸어 나갑니다.
오늘의 화제는 2024년 4월 위키백과에 새로이 도입된 빠른삭제기준 정책입니다.
위키백과에서 문서를 삭제하기 위해서는 삭제 토론을 거치거나 명확한 사유가 있어야 합니다.
빠른 삭제 기준 정책은 삭제 토론을 거치지 않고 빠르게 삭제해도 무방한 경우들을 구분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빠른 삭제를 도입하고자 하는 최초의 노력은 2019년에 진행되었지만, 총의에 이르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나 기나ㅏㄴ님의 노력으로 2023년과 2024년에 걸쳐 마침내 2024년 4월 한국어 위키백과의 정책으로 도입되었습니다.
빠른삭제기준은 영어 위키백과의 Criteria for speedy deletion 정책을 한국어에 맞게 번역한 것입니다. 토론란을 통해 정책 도입 토론 전 의견 요청을 하여 기존의 한국어 위키백과 삭제 기준을 빠른 삭제 기준으로 통합할 지와 어떤 사유의 도입을 뒤로 미룰지를 사용자들이 논의하였습니다. G1, G3, G11과 같이 알파벳과 숫자 조합으로 사유를 정리하는데 대한 이견이 있었으나 한국어를 잘 모르는 타언어 위키백과의 사용자들이 호환되는 신청 코드로 쉽게 이해하는 국제화가 되어 있는 쪽이 더 좋다는 쪽에 의견이 모였습니다. 빠른삭제기준의 정립으로 보다 투명한 관리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 사용자들은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번호 기나ㅏㄴ님의 기고문인 풍요로운 지식의 정원을 가꾸는 법칙에서 빠른 삭제 기준 도입의 취지와 설명에 대해 함께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새로운 제안들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에디터톤을 상설적으로 제안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를 개선하자는 제안이 논의중입니다.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다양한 칭호를 가지는 왕족과 귀족에 대해서 일반적인 표기 용례를 정하는 제안이 논의중입니다.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thumb/1/12/VisualEditor-logo.svg/200px-VisualEditor-logo.svg.png)
위키백과에서 오래활동한 사용자들은 [[Source Editor]]가 익숙하지만, 새로운 사용자들에게는 프로그래밍에 가까운 원본 편집기는 어려운 장벽이었습니다. 새로운 사용자들을 위해 한글이나 MS 워드와 같은 문서 편집 프로그램에 가까운 시각 편집기가 도입이 되었지만, 시각 편집기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도움말은 부실했습니다. 이번에 한국 위키미디어 협회의 의뢰로 Twotwo2019 사용자가 시각편집기 도움말을 한국어 위키백과에 맞게 번역하였습니다. 한국어 위키백과를 시작하려는 지인들에게 위키백과에 입문하기 쉬운 시각편집기 편집 방법을 소개해 보세요.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thumb/2/27/March_2024_WMKR_demographic_survey_report.pdf/page1-220px-March_2024_WMKR_demographic_survey_report.pdf.jpg)
한국 위키미디어 협회는 2024년 2월 29일부터 3월 17일까지 18일간 진행된 커뮤니티 설문조사를 통해 3년만에 커뮤니티의 사용자 층에 대한 조사하였습니다.
조사 대상은 활동적인 사용자, 위키백과를 떠난 사람들, 기여한 적이 전혀없는 독자 3가지 분류입니다. 본 설문조사로 도출된 결과는 4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20주년 조사에 이어, 올해도 “편집할 수 있는 지 몰랐다”는 독자가 많았습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여전히 “새 사용자 경험”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설문 조사 결과, 많은 독자분들이 위키백과를 찾아주시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독자들은 현재 활동중인 편집자들과는 다른 수단으로 위키백과를 접근합니다. 예를들어, 데스크탑이 아닌 모바일을 통해 위키백과를 접근하는 사용자가 다수였습니다. 또한, 여성과 중장년층 독자의 분포가 활동하는 편집자들에 비해 많기에 그들을 포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사용자들에게 적극적으로 활동을 지원해주고, 다양한 주제의 온/오프라인 행사를 진행하는 것을 원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문가 초청과 분야별 지식 공유와 같은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합니다 대한민국의 인구 분포와 마찬가지로, 수도권 집중이 극심한 가운데 지방의 사용자간의 교류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지역 커뮤니티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위키백과에 지속적으로 기여하는 사람들에게 적절한 리워드 및 인센티브를 통해 성과를 격려하고, 커뮤니티 참여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여, 보다 질 높은 문서의 작성과 지식 공유 문화 향상을 이루어야 합니다”
본 설문조사의 상세한 보고서는 보고서 파일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반갑습니다:) 위키백과 관리자 기나ㅏㄴ입니다. 봄은 너무나도 빨리 저물었으며 입하(立夏)가 지난 지도 오래입니다. 날에 따라서 후텁지근할 때가 있고 아직은 비가 오면 으슬으슬하기도 합니다. 차츰 다가오는 무더위에 대비할 때인 것 같습니다.
여러 번 독자 기고 제의를 받았으나 피치 못할 사정으로 계속 거절해 오다가 이제서야 쓰게 됩니다. 좋은 기회를 제게 주신 한국 위키미디어 협회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제가 위키백과에 가입한 시점은 2021년 11월 중순 쯤입니다. 저는 글쓰기나 번역에는 재능이 없지만, 관리 활동 보조에만큼은 적극 참여해 왔기에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사용자분들께서 저를 신임해 주신 것 같습니다. 이에 2022년 올해의 위키인 신인상이라는 저에게는 다소 과분한 상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저는 주로 반반달리즘 분야에서 활동해 왔습니다. 부족한 실력이지만, 지난 호 기고에서 Respice post te님께서 언급하신 RedWarn을 비롯한 여러 스크립트를 제작, 번역하여 한국어 위키백과에 가져와 관리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그러나 이 외의 분야에서는 활동하지 않았었는데, '밥값'은 해야 할 것 같아 저에게 있어서 처음이자 가장 큰 프로젝트를 주도하게 되었습니다. 삭제 정책을 바로 잡는 일입니다. 따라서 이번 기고에서는 현재 진행형인 삭제 정책의 대대적인 개편에 대해 얘기하고자 합니다.
이번 개편의 핵심은 '빠른 삭제 기준' 도입입니다. 영어 위키백과의 빠른 삭제 기준은 2004년에 도입되었으며, 한국어 위키백과가 이를 받아들이기까지 20년이 걸렸습니다. 우리 정도 크기의 언어판 중 빠른 삭제 기준이 없는 곳은 한국어 위키백과뿐이었습니다. 이제라도 우리는 이 기준을 받아들였지만, 기준 없이 관리해 왔던 시간이 너무 긴지라 한국어 위키백과의 현실에 맞지 않은 점이 많이 보입니다. 삭제 신청을 처리할 때 가장 많이 보였던 사유 중에는 '등재 기준 미달'이나 '독자 연구'가 있는데 이제는 이를 이유로 한 삭제 신청이 불가능해졌습니다. 즉 삭제 토론을 통해서만 삭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등재 기준보다 조금 느슨한 중요성 입증 개념을 최근에 도입하였습니다.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빠른 삭제 기준의 도입은 더 투명하고 일관된 삭제를 가능하게 합니다. 기존의 정책은 관리자의 주관에 크게 의존했으며, 삭제 여부를 판단하는 데 명확한 기준이 부족했습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 간의 논쟁이 빈번했고, 기준 없는 상태에서의 운영은 많은 혼란을 야기했습니다. 새로운 제도의 도입과 수정으로 관리자는 명시된 기준을 따라 삭제를 결정하고, 삭제 토론도 더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것입니다.
현재 도입된 기준을 설명드리겠습니다. 크게 일반(G), 문서(A), 넘겨주기(R), 파일(F), 분류(C), 사용자 문서(U), 그리고 틀(T)로 나뉘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빠른 삭제 기준 문서를 참고해 주세요. 내용이 너무 방대하여 중요한 내용만 간략히 설명하겠습니다.
G는 모든 이름공간에 적용되는 규칙으로, G1부터 G14까지 있습니다. 일반적인 반달리즘이나 무의미한 문서는 G1, G2, G3로 삭제 신청이 가능합니다. 끊긴 넘겨주기는 넘겨주기 항목이 아닌 G8으로 요청해 주셔야 합니다. 초안에서 일반 문서로의 넘겨주기는 G13에 포함됩니다. G14는 동음이의어 문서의 기준에 관한 것이며, 가능하면 2개 이상의 문서를 포함하고 있어야 함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A는 일반 문서에 관한 것입니다. A1과 A3는 비슷하게 들리지만, 완전히 다른 의미이기에 구별되어야 합니다. A1은 G1처럼 말이 안 되지는 않으나 문맥이 없는 문서이며, A3은 질문 등 위키백과 일반 문서에 전혀 어울리지 않은 케이스에 적용됩니다. A5는 단순히 다른 위키프로젝트와 다루는 내용이 같다고 삭제되는 것이 아닌 해당 위키프로젝트로의 이동 결정이 나거나 이동이 되었을 때 적용됩니다. 위에서 언급한 중요성 입증이 도입됨에 따라 세 가지 새로운 기준(A7, A9, A11)도 채택되었습니다. A7은 개인, 동물, 단체, 웹 콘텐츠, 사건, 가상의 창조물
에 한해서 적용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은 문서 등재 기준과 세부 등재 기준을 참고하시면 되며, ‘가상의 창조물’은 한국어 위키백과에만 도입된 개념인지라 주석의 설명을 보시고 판단하시면 되겠습니다. A11은 발명, 규정, 발견, 주장, 아이디어, 이론
으로 제한되며, 이는 영어 위키백과의 ‘obvious invented’을 자세히 풀어 쓴 내용입니다. 다만 이를 독자 연구와 혼동하면 안됩니다.
R2는 일반 문서에서 다른 이름공간으로의 넘겨주기에 해당하며, R3는 전혀 사용되지 않는 오타 넘겨주기에 해당합니다. F9은 G12와 독립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T 항목들은 도입은 하였지만 테스트 중입니다. 만약 사용량이 저조하거나 잘못된 사용이 보인다면 삭제해도 될 것으로 보입니다.
식별자를 포함한 넘겨주기에 관한 기준은 거의 존재하지 않습니다. G14에 의해 동음이의어 문서로의 넘겨주기는 ‘(동음이의)’로 끝나는 경우에만 존치하며 나머지는 삭제 대상입니다. 동음이의어 문서로의 넘겨주기를 제외한 넘겨주기는 다른 빠른 삭제 기준에 해당하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 빠른 삭제 대상이 아닙니다. 이에 따른 혼란을 예상하고 있으며, 지침의 개정이나 다른 대안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삭제 신청 방법은 기존과 유사합니다. 예를 들어, {{풀기:ㅅ|광고}}
를 사용하면 자동으로 g11이 적용됩니다. 또한, 삭제 이유를 더 자세히 설명하고 싶을 경우에는 두 번째 변수에 상세한 이유를 적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풀기:ㅅ|광고|광고인 상세한 이유 작성}}
과 같이 작성하면 됩니다. 또는 단축 틀을 이용하셔도 됩니다. {{풀기:db-g1}}
은 {{풀기:ㅅ|g1}}
와 동일한 결과가 나옵니다. 자주 사용되는 변수는 {{풀기:g1}}
과 같이 작성하여도 됩니다. 또한, 이 단축 틀에도 '|'을 사용하여 상세한 이유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풀기:g5|추방된 A 사용자가 작성한 문서}}
으로 작성 가능합니다. 사용 가능한 변수들이 조금 더 추가되어서 사용하기 편하실 겁니다.
우선 빠른 삭제 기준을 도입하고 이후에 관련한 정책이나 지침들을 보완하고 있습니다. 상황을 보고 도입에 관해 논의할 정책은 삭제 제안입니다. 이는 빠른 삭제 기준에는 해당하지 않지만, 삭제 토론으로 넘기기에는 명백한 지침 위반일 때 사용합니다. 정책과 관련 지침들이 자리 잡고 나서도 상식적으로 삭제되어야 할 문서들이 삭제 토론으로 넘어가는 사례가 자주 발생한다면 도입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삭제 절차를 지침화할 계획입니다. 현재 삭제 정책이 크게 개정되지 않은 상태이기에 함께 바꿔볼 계획에 있습니다.
삭제 정책이 전체적으로 안정화된다면 일반 사용자보다 조금 더 많은 권한을 가진 문서 이동자 도입에 관한 토론도 열릴 것입니다. 문서 이동자 또한 빠른 삭제 기준을 사용하고 있어 논의가 미루어지게 되었습니다.
위에서 언급했듯 정책 및 지침을 개편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부족한 점도 많이 있으니 독자 여러분께서 도와주셔야 정책이 원활히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의견을 주신 분들과 적극적으로 도와주신 분들 너무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공동체 발전에 보탬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오늘 하루도 평안하시길 바라며 이만 줄입니다. 감사합니다.
※ 기고 제목의 '풍요로운 지식의 정원'은 위키백과를, '법칙'은 삭제 정책을 비롯한 위키백과의 뼈대가 되는 정책과 지침을 의미합니다. 정원에 향기롭고 푸른 꽃과 나무들을 심어도 이들의 배치와 다듬은 모양이 엉망이라면 그 정원은 결코 아름답게 보이지 않을 것입니다. 정원의 구성물을 선별하고 만들어내는 것뿐만 아니라 이들이 한데 어우러지도록 관리하는 것도 정원사의 중요한 역할입니다.
2월 문서 탑뷰는 문화예술 분야의 배우들이 차트의 상위권에 진입하였습니다.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thumb/f/fa/%EB%B0%95%EC%8B%A0%ED%98%9C_2018-2.jpg/150px-%EB%B0%95%EC%8B%A0%ED%98%9C_2018-2.jpg)
2월 탑뷰 2위를 차지한 박신혜 배우는 아들이 태어난 2년간 활동을 쉰 후 오랜만에 드라마로 복귀하였습니다.
2003년 《천국의 계단》에서 아역으로 데뷔한 이후 2009년 《미남이시네요》에서 인상깊은 남장여자 아이돌 역할을 맡으며 한류스타로 발돋움 하였습니다. 2024년 1월부터 방영한 드라마 《닥터 슬럼프》로 복귀하자 시청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문서명 | 탑뷰순위 | 최초작성 | 편집횟수 | 바이트 |
---|---|---|---|---|
박신혜 | 2 | 2008 | 1,559 | 35,569 |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thumb/5/5d/Choi_Min-sik.jpg/150px-Choi_Min-sik.jpg)
2월 탑뷰 15위에 오른 최민식 배우는 2024년 개봉한 영화 《파묘》에서 수상한 무덤을 이장하다 괴이한 일에 휘말리는 풍수사 김상덕 역할을 맡아 일약 화제에 올랐습니다.
최민식 배우는 1999년 영화 《쉬리》에서의 북한 특수부대원 역할로 강렬한 인상을 남긴 후 2003년 영화 《올드보이》에서 15년간 군만두를 먹으며 갇혀신 오대수를 맡는 등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연기파 배우로 손 꼽힙니다. 2013년 개봉한 《신세계》와 같은 무게감 있는 범죄 느와르 영화에서도 빼놓을 수 없는 연기들을 선보였습니다.
문서명 | 탑뷰순위 | 최초작성 | 편집횟수 | 바이트 |
---|---|---|---|---|
최민식 | 15 | 2004 | 663 | 24,389 |
파묘 (영화) | 84 | 2022 | 101 | 8.487 |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thumb/b/bf/Timoth%C3%A9e_Chalamet_2017_Berlinale.jpg/150px-Timoth%C3%A9e_Chalamet_2017_Berlinale.jpg)
2월 탑뷰 20위에 오른 티모시 샬라메는 2024년 개봉한 《듄: 파트 2》의 주인공인 폴 아트레이데스 역을 맡았습니다.
2014년 《인터스텔라》의 톰 쿠퍼의 아역 역할로 전세계에 자신을 알린 그는 2017년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영화를 통해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을 하였습니다. 2021년에는 프랭크 허버트의 소설을 드니 빌뇌브 감독이 영화화 한 《듄》의 주인공으로 발탁되며 사막행성에서의 벌어지는 음모와 방황 속에 흔들리는 모습을 잘 연기했다는 평을 받고 있습니다.
문서명 | 탑뷰순위 | 최초작성 | 편집횟수 | 바이트 |
---|---|---|---|---|
티모시 샬라메 | 20 | 2015 | 204 | 47,839 |
3월 문서 탑뷰에서는 대한민국 국민의 노년을 지탱하는 국민연금 개편과 오컬트 영화 파묘가 화두로 떠올랐습니다.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9/93/Retirement1.jpg)
대한민국의 국민연금은 1988년 시행 이래로 도시노동자, 농어촌 자영업자, 전국민 순으로 확대되어 왔습니다. 노인보다 젊은이가 많이 태어나는 시기에는 지속가능해 보였습니다. 그러나 노인인구가 젊은이보다 많아지는 노령화 현상의 심화에 따라 기금고갈 문제가 화두에 올랐습니다. 2007년에 연금 급여 수준을 조정하였지만, 2054년에 기금이 고갈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더 내고 덜받게 되는 개혁안을 언제 어떻게 도입할지에 대한 문제에 대한 사회합의가 필요합니다. .
문서명 | 탑뷰순위 | 최초작성 | 편집횟수 | 바이트 |
---|---|---|---|---|
대한민국의 국민연금 | 6 | 2017 | 78 | 55,099 |
지난 2월 개봉한 오컬트 미스터리 영화 파묘에 대한 세간의 관심이 뜨겁습니다. 파묘는 본디 무덤을 파헤치고 시체를 꺼내는 행위입니다. 대부분 묘소를 다른 곳으로 옮기기 위한 이장을 목적으로 진행됩니다. 영화에서는 풍수사, 장의사, 무속인으로 이뤄진 4명의 팀이 기이한 묘소를 이장해 달라는 의뢰를 받으면서 괴이한 사건에 얽히게 됩니다. 최민식, 김고은, 유해진, 이도현 4명의 배우의 열연으로 섬뜩하고 소름끼치지만 그에 맞서는 이들의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문서명 | 탑뷰순위 | 최초작성 | 편집횟수 | 바이트 |
---|---|---|---|---|
파묘 (영화) | 12 | 2022 | 101 | 8,487 |
4월 문서 탑뷰는 대한민국의 입법부를 선출하는 국회의원 선거제도에 대한 관심이 급상승 하였습니다. 다른 주요 주제로는 10주기를 맞이한 세월호 침몰사고가 5위에 들었습니다.
![](http://up.wiki.x.io/wikipedia/ko/thumb/9/91/Partylist_example.jpg/150px-Partylist_example.jpg)
4월 탑뷰 7위를 차지한 비례대표제는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로 인해 많은 사람의 관심을 받았습니다. 대한민국에서는 2002년 지방선거에 2004년 국회의원 선거부터 비례대표제를 도입하였습니다. 정당이 후보자명부의 순위를 등록하는 엄정구속식 명부제와 지역구 선거 결과와 정당득표율에 따른 비례의석을 연동하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비례대표를 자연수만큼 배분하고 남은 의석은 소수점 아래가 큰 순서대로 남은 의석을 분배하는 최대잉여법을 따릅니다.
문서명 | 탑뷰순위 | 최초작성 | 편집횟수 | 바이트 |
---|---|---|---|---|
비례대표제 | 7 | 2008 | 237 | 29,867 |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2 | 2020 | 518 | 92,824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3 | 2016 | 1,536 | 136,858 |
4월 탑뷰 5위에는 세월호 침몰 사고가 올랐습니다. 2014년 4월 16일에 진도 앞바다에서 세월호가 침몰한 이후 10주기가 된 4월에 많은 사람들이 과거의 사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습니다. 사고 당시 세월호에는 수학여행을 가던 안산시 단원고의 학생들과 제주도로 이사하던 가족 등 다양한 사람들이 타고 있었습니다. 사고 초기의 전원구조라는 오보를 보고 안심하던 사람들은 나중에 기울어진 여객선에 많은 사람들이 남아있었다는 사실을 알고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문서명 | 탑뷰순위 | 최초작성 | 편집횟수 | 바이트 |
---|---|---|---|---|
세월호 침몰 사고 | 5 | 2014 | 2,113 | 137,900 |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thumb/d/d3/Accessibility_for_reading_unpinned-ko.png/150px-Accessibility_for_reading_unpinned-ko.png)
한국어 위키백과를 비롯한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에서 글을 읽을 때는 글씨가 작아서 보기 힘들다거나 밤에 화면이 너무 밝다거나 하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위키미디어 재단 웹 팀에서 이 접근성 문제를 해결할 기능을 곧 추가하기로 하였습니다. 6월초에 도입되는 기능으로 바뀌는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제 로그인 여부에 상관 없이 접근성 메뉴가 모두에게 활성화됩니다. 위키미디어 계정이 없이 위키백과 등을 읽기만 하는 독자도 오른쪽 사이드바나 위쪽에 위치한 접근성 메뉴를 통해 자신에 맞는 설정으로 보이도록 조절할 수 있습니다.
- 텍스트 크기 및 줄 간격 : 사용자에게는 작게 (현재 기본값), 독자에게는 표준 (접근성 향상을 위한 권장값)이 기본 값으로 제공됩니다. 옵션에 따라 글꼴 크기와 줄 간격이 모두 변경됩니다.
- 다크 모드 : 지금까지의 기본값은 라이트 모드이며, 사용자는 사이트 배경이 영구적으로 어두운 다크모드로 보이도록 선택하거나 디바이스 또는 인터넷 브라우저 기본 설정에 따라 적용되는 자동 기능을 추가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콘텐츠 너비 : 현재의 표준 너비와 인터넷 창을 꽉 채우는 넓게 중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thumb/8/89/20240330_%EC%9A%B8%EC%82%B0%EB%AA%A8%EC%9E%84.jpg/400px-20240330_%EC%9A%B8%EC%82%B0%EB%AA%A8%EC%9E%84.jpg)
2024년 3월 30일에 울산광역시에서 오랜만에 지방 거주 사용자들의 위키 오프라인 모임이 열렸습니다.
오프라인 모임에서는 경상도 지역의 커뮤니티를 활성화할 방안으로 대학생/성인 대상의 지역 편집활동 개최를 한후 민간단체와 접점을 늘려가 보기로 하였습니다. 마찬가지로 울산 지역에 필요한 사진을 발굴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콘테스트 방식은 백과사전의 목적에 맞는 사진이 아닌 연출 및 효과가 들어간 사진 위주로 응모되기에 커뮤니티 사용자의 활동을 독려할 방법을 찾기로 하였습니다. 그외에 전체 커뮤니티 활성화 방법으로 유용한 출처를 모으는 작업을 해보자는 제안이 나왔습니다.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thumb/b/bb/20240413_Korean_Wikipedian_Meetsup.jpg/400px-20240413_Korean_Wikipedian_Meetsup.jpg)
이번 4월 오프라인 모임은 서울 종로와 광화문 일대에서 사진을 촬영하고 업로드한 후 자유롭게 모여앉아 친목을 다지는 모임이었습니다. 참여자들 각자의 집에서 출발하면서 촬영한 사진과 새단장을 한 광화문, 경복궁, 종로 일대의 사진을 새로 촬영하여 위키미디어 공용에 올렸습니다.
-
광화문 월대와 해치, *Youngjin
-
보신각, YellowTurtle9
-
청계천. Jjw
더 많은 광화문과 종로의 사진을 아래의 링크로 살펴보세요.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1/1f/Stub_Barnstar.png)
2월 5일부터 3월 10일까지 한 달간 진행된 토막글 개선 에디터톤 프로젝트가 진행되었습니다. 4,000바이트 미만인 문서를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에디터톤을 통해 20명의 사용자가 108개의 문서를 보강하였습니다. 2월 17일 홍대에서 사용자들이 모여 문서를 편집하는 오프라인 모임도 진행되었습니다.
토막글 기여왕은 20문서를 보강한 Twotwo2019님이 차지하였습니다.
가장 많은 바이트가 보강된 문서는 Jjw님이 71,755바이트를 추가한 오스트레일리아 방위군 문서입니다.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thumb/d/d0/Ensign_of_the_Australian_Defence_Force.svg/200px-Ensign_of_the_Australian_Defence_Force.svg.png)
오스트레일리아 방위군(Australian Defence Force, ADF )은 오스트레일리아의 방어를 담당하는 군대이다. 흔히 호주군(濠洲軍)으로 불린다.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해군, 오스트레일리아 육군,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공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1901년 오스트레일리아의 독립과 함께 창설된 해군과 육군은 창설 당시 독립적으로 운용되는 별개의 조직이었다. 1976년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통합군 운용을 위해 현재의 오스트레일리아 방위군을 설립하였다.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thumb/5/50/Venus_symbol_%28heavy_pink%29.svg/150px-Venus_symbol_%28heavy_pink%29.svg.png)
여성 문서 향상 프로젝트는 2024년 3월 25일부터 5월 31일까지 2달간 진행되는 봉사 프로젝트입니다. 여성관련 이슈에 대한 중립적이고 검증된 정보를 제공하고, 한국어 위키백과의 여성 또는 여성주의 문서를 향상시킨 봉사자에게 봉사활동시간을 부여합니다.
여성문서 향상 프로젝트 활동에 따라 작성된 주목할 문서는 Kimyubin님이 작성한 여성 건강 문서입니다.
여성 건강은 여러 독특한 방식으로 남성 건강과 다르다. 인구집단건강의 한 예로, 세계보건기구는 건강을 "질병이나 단지 허약한 상태가 아닐 뿐만 아니라 육체적·정신적 및 사회적인 완전한 안녕상태"로 정의한다. 종종 여성의 생식건강으로만 취급되어 여러 단체는 여성의 전반적인 건강과 관련된 더 넓은 정의를 주장한다. 이러한 차이는 여성이 더 불이익을 받는 개발도상국에서 더욱 악화된다.
주요 사망 원인인 심혈관계 질환, 암, 및 호흡기 질환의 비율은 여성과 남성에서 비슷하지만 여성은 다른 경험을 갖는다. 폐암은 여성의 암 관련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다른 유형의 암을 앞질렀으며 유방암, 대장암, 난소암, 자궁암 및 자궁경부암이 그 뒤를 잇는다. 흡연은 폐암의 주요 원인이지만 비흡연 여성의 암 발병 위험은 비흡연 남성보다 3배 더 높다. 유방암은 선진국 여성에게 가장 흔한 암이자 여성의 주요 만성질환 중 하나이고, 자궁경부암은 개발도상국에서 가장 흔한 암으로 인유두종 바이러스와 관련이 있다. HPV 백신은 선별과 함께 이러한 질병을 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여성에게 중요한 다른 건강 문제로는 심혈관계 질환, 우울증, 치매, 골다공증 및 빈혈이 있다.
과학의 달 에디터톤은 2015년 이래로 열리고 있는 과학기술 관련 문서를 향상하는 에디터톤으로 올해 8번째 개최를 하였습니다. 올해의 특별 테마는 세간을 달구고 있는 AI 인공지능과 우주 탐사를 주제로하여 진행되었습니다.
![]() |
![]() |
2020년대는 생성형 인공지능이 주도할까요? | 마지막 달탐사로부터 50년 우주경쟁이 재시작됩니다. |
2024년 과학의 달 에디터톤에서는 11명의 사용자가 61개의 문서를 생성하였습니다. 올해의 주제인 인공지능 분야에서 1개, 우주탐사 분야에서 15개의 문서가 편집되며 사용자들의 참여가 뜨거웠습니다.
2024년 과학의 달 에디터톤 우승자는 전년에 이어 생화학 분야에서 꾸준히 글을 쓴 Glycong님, 2위는 이번 우주탐사 분야에서 많은 활약을 한 ChongDae님이 선정되었습니다. 이번 에디터톤에서는 자신이 알고 싶은 문서를 다른 사람에게 요청하는 위시리스트 이벤트도 함께 진행되었습니다.
올해 주제 분야에 따른 문서 2개를 소개합니다.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thumb/7/79/ELIZA_conversation.png/200px-ELIZA_conversation.png)
일라이자 효과는 컴퓨터 과학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에 경험, 이해, 공감 등의 인간적 특성을 투영하는 경향을 말한다. 주로 텍스트 인터페이스가 있는 챗봇의 반응을 인간의 것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을 가리키지만, 컴퓨터가 작동하는 영역 전반을 무언가 "생각하다", "알다" 또는 "이해하다"와 같은 용어를 통해 의인화하여 설명할 때 발생하는 범주오류를 뜻하기도 한다. 일라이자 효과의 발견은 인공지능의 개발에 중요하였으며, 튜링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해 명시적 프로그래밍이 아닌 사회공학을 이용한 원리를 입증하였다.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thumb/4/49/Vostok_6_capsule_on_display%2C_2016.jpg/200px-Vostok_6_capsule_on_display%2C_2016.jpg)
보스토크 6호는 최초의 여성 우주 비행사인 발렌티나 테레시코바를 우주로 보낸 유인 우주 비행 임무이다. 보스토크 5호와 함께 발사된 소련 우주 프로그램의 공동 임무였으며 이전의 보스토크 3호 및 보스토크 4호와 마찬가지로 두 우주선은 궤도에서 서로 근접해 무선으로 통신을 하였다. 보스토크 6호가 임무 도중 수집한 데이터를 통해 우주 비행에 대한 여성 신체의 반응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테레시코바가 우주에서 찍은 지구 지평선의 사진은 추후 과학자들이 대기의 에어로졸 층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었다.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thumb/8/88/Change_in_Average_Temperature.svg/langko-300px-Change_in_Average_Temperature.svg.png)
기후변화 문서보강 에디터톤은 과학의 달을 맞이하여 지구에서 일어나고 있는 기후변화에 대한 중립적이고 검증된 정보를 한국어 위키백과에 보완하는 봉사활동 프로젝트입니다. 전지구적인 기후변화가 사막화, 영구동토와 빙하의 해빙, 기상이변, 농어업의 지장, 생태계 붕괴 등 다양한 요인으로 돌아와 인류의 미래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누구나 기후변화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식을 확장해 나갑니다.
지난 4월 한 달간 13명의 봉사자가 17개의 기후변화 주제 문서를 새로 작성하거나 보완하였습니다. 기후변화 관련해서 주목할만한 문서는 탄소발자국 문서입니다.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thumb/3/38/Carbon_footprint_representation.jpg/200px-Carbon_footprint_representation.jpg)
탄소발자국은 활동, 제품, 회사 또는 국가가 대기에 추가하는 온실가스의 총량을 비교할 수 있게 해주는 계산된 값 또는 지수이다. 탄소발자국은 일반적으로 비교 단위 당 톤의 배출량(지구 온난화 지수)으로 보고된다. 예를 들어, 연간 톤의 CO2-eq, 소비용 단백질 킬로그램 당, 이동한 킬로미터 당, 의류 한 벌 당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제품의 탄소발자국은 전 과정 평가 동안의 배출량을 포함한다. 이것들은 공급사슬을 따라 생산된 것부터 최종 소비 및 폐기까지 이어진다.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thumb/f/fa/Wikiquote-logo.svg/150px-Wikiquote-logo.svg.png)
위키인용집 온라인 에디터톤은 인물의 명언, 문학, 소설, 영화 등의 명대사 등 여러 인용문을 한국어 위키인용집에 작성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이번 위키인용집 활동은 4월 30일부터 5월 17일까지 까지 진행되었습니다. 봉사시간을 부여하는 봉사활동 프로그램과 노동절부터 어린이날 연휴까지 매일 3개의 인용문을 추가하는 출석 챌린지가 함께 진행되었습니다.
봉사자와 커뮤니티 사용자가 함께한 위키인용집 온라인 에디터톤에서는 5명의 사용자가 56개 문서에 205개의 새로운 인용문을 추가하였습니다. 올해 위키인용집 기여왕은 15개 문서에 72개 인용문을 추가한 Warmduscherin님이 되셨습니다. 2024년 새로 활동하신 사용자의 우승을 축하합니다.
이번 위키인용집에서 추가된 명언 중 주목할 명언은 아래와 같습니다.
- 수술방 안에는 삶과 죽음만 있다. 무승부는 없다 - 이국종 교수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thumb/d/db/Wikimedia_Korea-National_Library_of_Korea_Agreement_Ceremony.jpg/400px-Wikimedia_Korea-National_Library_of_Korea_Agreement_Ceremony.jpg)
2024년 3월 19일, 한국 위키미디어 협회는 국립중앙도서관과 디지털화 자원의 활용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이번 협약을 통해 국립중앙도서관이 보유한 디지털화된 고문헌 자료를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를 통해 봉사자들이 모여 텍스트데이터로 변환하는 작업 등 다양한 활동을 진행합니다.
협약에 따른 활동으로 2024년 상반기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가 5월 20일부터 7월 31일까지 진행중에 있습니다.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thumb/c/c9/ESEAP_Conference_2024%2C_day_3%2C_Kota_Kinabalu%2C_Malaysia%3B_May_2024_%2822%29.jpg/400px-ESEAP_Conference_2024%2C_day_3%2C_Kota_Kinabalu%2C_Malaysia%3B_May_2024_%2822%29.jpg)
위키미디어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태평양 (ESEAP; East, SouthEast Asia and the Pacific) 지역 컨퍼런스가 2024년 5월 10일부터 12일까지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에서 개최되었습니다. ESEAP 컨퍼런스 2024에서는 지평 너머의 협업(collaboration beyond the horizon)이라는 슬로건 아래 지역내 협력 강화, 지역 사례 발표, 기술적 변화, 재단과 ESEAP의 협력 등을 다루었습니다.
한국 커뮤니티에서는 고영진 매니저가 컨퍼런스 조직위원회의 일원으로서 행사 진행에 참여하였으며, 고영진 매니저와 Twotwo2019 사용자가 대한민국에서의 파노라마의 자유 및 저작권 인식에 대한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thumb/e/ed/ESEAP_Conference_2024%2C_day_3%2C_Kota_Kinabalu%2C_Malaysia%3B_May_2024_%2803%29.jpg/400px-ESEAP_Conference_2024%2C_day_3%2C_Kota_Kinabalu%2C_Malaysia%3B_May_2024_%2803%29.jpg)
위키미디어 공용에 파일을 업로드하는 것에 파노라마의 자유 문제로 제약 받는 나라는 대한민국 뿐만이 아니었습니다.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대만 등에서도 건축물이나 조형물 사진을 업로드 하는 경우 종종 삭제되고 있었습니다. 공용 커뮤니티는 파일 저작권에 대해 보수적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공용의 일부 사용자는 대한민국에서 파노라마의 자유 관련 법령이 사실상 사문화되었다고 근거를 보여주었음에도 법령이 있으므로 삭제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였습니다. ESEAP 컨퍼런스에 참여한 독일 사용자는 대한민국 저작권법을 개정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며, 공용의 사용자들의 생각을 바꾸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 보았습니다.
지역 가맹단체(지부)와 외부협력단체의 협업에 대해 지원하는 얼라이언스 그랜트 펀딩은 파일럿 프로그램이었기 때문에 신규 프로젝트 신청은 받지 않으며, 다른 영역으로 이관한 후 향후 재단사업계획에 따라 지원금 수령 방법을 결정한다고 합니다.
기술적으로 주목할 사항은 보편적 행동 강령(UCoC) 위반에 대한 신고/보고 시스템을 개발중이라고 합니다.
위키미디어 재단에서 공개한 IP 마스킹 기능에 대해서는 IP를 쿠키를 이용한 가상 계정으로 하여 IP주소를 보호하는 취지에는 동의하지만, 대한민국 이동통신사 IP의 유동성을 이용해 한국어 커뮤니티 내에서 악용할 것을 우려한다는 의견을 재단 기술팀에 전달하였습니다.
이번에 새로 도입될 접근성을 위한 글자 크기선택 및 화면 다크모드는 많이 늦었다는 비평이 있었지만 대체로 긍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서는 다양한 민족들이 사용하는 언어의 문헌을 스캔하고 OCR 프로그램으로 판독하여 위키문헌에 수록하는 활동이 활발하다고 합니다. 대체로 스캔이후에 수정해야하는 오자는 페이지 당 1~2자 수준으로 양호하다고 합니다. 한국에서도 옛한글이나 제주어 등에 대한 OCR을 이용한 문헌보준 활동이 가능한지 검토가 필요합니다.
일본 유저그룹에서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젊은 독자는 편집자로 바로 참여한 반면, 중노년층에서는 3~5년 정도 위키백과 독자로 지낸후 편집을 시작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에 더해 2000년대 후반의 일본어 위키백과는 2ch 등 커뮤니티의 영향으로 출처가 포함되지 않은 문서가 많이 생성되었고 이 당시의 사용자 층이 이탈하면서 세대가 교체되었습니다. 2020년대에는 개인 사용자들이 각자 선호분야서 활동하면서 커뮤니티가 다시 건설되고 있습니다.
ESEAP 중 동아시아 지역에 거주하는 대만, 일본 참가자들과는 상호협력행사를 진행하자는 의견교류가 있었습니다.
다음은 참가자의 소감입니다.
Aspere : 국제적으로 열리는 컨퍼런스에 처음으로 참여했습니다. 문화와 언어의 차이는 있어 각자의 활동의 방향성은 가지각색이었으나, 결국 지식의 증대 및 보급이라는 궁극적인 목표는 하나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 각각의 활동하는 목표와 방법을 서로 공유함으로써, 한국어 위키 커뮤니티에서는 여기서 어떤 것을 배워갈 수 있을지를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Twotwo2019 : ESEAP에 다녀왔습니다. 이곳에서 아시아-태평양의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참여자들이 다양한 발표를 해 주셨고, 그와 동시에 아시아 지역의 타 언어판과의 교류도 이루어졌습니다. 대단히 긍정적인 점으로는 일본어 및 중국어판과 깊은 교류와 협력행사를 열자는 데 합의한 것으로, 앞으로 좋은 협력행사가 열리기로 되어 긍정적 결과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thumb/3/3e/240525_wmkr_opening_ceremony_ear_01.jpg/400px-240525_wmkr_opening_ceremony_ear_01.jpg)
2024년 5월 25일 토요일에 새로 이전한 한국 위키미디어 협회 사무소의 개소식이 열렸습니다. 협회의 새로운 출발인 뜻깊은 순간을 기념하고 함께 앞으로 협회의 역할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사무실 모임공간은 회원을 포함한 2인 이상이 위키 편집 및 친목도모 목적으로 신청하면 활용할 수 있도록 방안을 준비하기로 하였습니다.
협회의 회원을 확대하고 커뮤니티가 원하는 바를 마음껏 펼칠 수 있도록 오프라인 모임에 온라인 활동가들을 초청하고, 온라인에서 커뮤니티 사용자들이 바라는 활동을 청취하여 앞으로 새로운 활동을 시도해 보기로 하였습니다. Lua 등 틀을 만드는 방법에 대한 기술모임, 옛한글 OCR 등 기술적 발전에 대한 정보 공유, 에디터톤 지원 신청 양식 표준화 등 커뮤니티가 관심을 갖고 있는 주제에 대한 소통과 접촉을 지속해 나가기로 하였습니다. 또한 정책과 지침에 관심있는 사용자들이 심도있게 논의하는 장을 마련해 보기로 하였습니다.
우리의 이웃 커뮤니티인 대만지부와 일본유저그룹과의 협력에 대한 논의도 오갔습니다. 온라인 공동편집행사와 한국대만일본 사용자가 모이는 소규모 컨퍼런스가 제안되었으며, 그를 위해 숙박을 포함한 지역행사 등 협회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행사를 선행해서 진행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ESEAP 지역내에서 한국지역의 역할분담에 대한 요청이 제기되고 있으므로 장기적으로 지역 전략서밋이나 ESEAP 컨퍼런스에 대한 역량점검 및 준비가 필요합니다.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thumb/4/47/WMKR_Office_-_Dongjak_Hupsung_Huefore.jpg/400px-WMKR_Office_-_Dongjak_Hupsung_Huefore.jpg)
한국 위키미디어 협회의 새로운 사무실 개소를 축하하고, 앞으로 모임공간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다양한 비품을 기증해주신 분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사람들이 모이고 위키를 가꾸어 나갈 수 있는 공간을 꾸미는데 도움주신 것에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소중한 비품을 기증해 주신분들
비품 | 기증자 |
---|---|
프린터 | Manjai |
청소기 | *Youngjin |
냉장고 | Jjw |
커피포트 | 이강철 |
모니터 | Asadal |
웹캠 | (익명) |
블루투스 스피커 | FriedC |
빔 프로젝터 | Ryuch |
선풍기 | Asadal |
화이트보드 | (익명) |
시계 | Motoko C. K. |
전기히터 | Asadal |
전쟁과 평화 에디터톤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thumb/9/92/Battle_of_Inchon.png/200px-Battle_of_Inchon.png)
6월 3일부터 6월 30일까지 호국 보훈의 달을 맞이하여 한국전쟁을 비롯해 전세계에서 벌어졌던 전쟁 그리고 그 전쟁이 종전된 이후의 평화와 관련한 철학적인 논의와 관련된 종전운동, 협의체 구성 등 평화와 관련된 문서를 채우는 에디터톤을 진행합니다.
이번 에디터톤에서는 주별 주제로 지정된 최근 사건, 평화, 한국 등 테마에 맞는 주제를 작성할 경우, 추가 점수와 도서를 별도로 증정받으실 수 있습니다.
6월 15일에는 에디터톤 부속 행사로 전쟁기념관을 방문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포토워크와 오프라인 편집 모임이 진행됩니다.
한국 위키미디어 협회 2024 전략회의
한국 위키미디어 협회의 차기 활동방향을 논의하는 전략회의를 6월 29일~30일까지 1박 2일로 진행합니다.
한국위키미디어협회의 회원분들은 누구나 전략회의의 참여를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전략회의에서는 앞으로의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 논의, 회원 확대, 에디터톤에 대한 재활성화 등을 논의합니다.
여름 위키탐방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thumb/a/ad/Pungnammun1.jpg/200px-Pungnammun1.jpg)
무더운 여름은 일상에서 벗어나 새로운 장소를 탐험하기 좋은 시기입니다. 2024년 여름 위키탐방은 7월중순에서 8월중순까지 한국의 전통문화가 살아숨쉬는 호남의 관문인 전주로 떠납니다. 전주는 후삼국시대에 후백제의 견훤이 도읍한 곳이자, 고려시대 이래로 호남으로 가는 관문 도시였습니다.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thumb/9/91/20240510_XE3_Aurora_Borealis_%28May_10_2024_solar_storms%29_as_seen_from_Krak%C3%B3w_01_postpro.jpg/400px-20240510_XE3_Aurora_Borealis_%28May_10_2024_solar_storms%29_as_seen_from_Krak%C3%B3w_01_postpro.jpg)
2024년 5월에 지구로 불어온 태양폭풍은 20년만에 지구 자기장에 강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본래 북극권과 남극권 주변에서나 볼 수 있는 오로라가 중위도 지방에서 나타났습니다. 대한민국에서는 강원도 화천군에서 오로라 촬영에 성공해서 화제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날아오는 태양풍 입자가 지구자기장을 따라 극지방으로 끌려간 후 마찰하여 빛을 내는 광전현상입니다. 주로 공기가 희박한 열권(80km 이상)의 전리층에 입자가 부딪히는 현상이기에 오로라가 강하게 일어나는 지역은 전파통신이나 전기시설에 장애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2024년 5월 태양폭풍 문서의 갤러리에서 더 많은 오로라의 사진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thumb/f/f8/Seoul_Metro_Line_2_train_arriving_at_Guro_Digital_Complex_%282-09%29.jpg/200px-Seoul_Metro_Line_2_train_arriving_at_Guro_Digital_Complex_%282-09%29.jpg)
지금으로부터 40년전인 1984년 5월 22일에 서울 2호선의 도심을 순환하는 부분이 개통되었습니다.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올림픽에 대비하는 역할로 건설 되기도 하였습니다. 2호선은 서울의 도심과 부도심을 이어줄 뿐만 아니라. 도심에서 방사형으로 뻗어나가는 서울 지하철과 수도권 전철을 연결하는 역할도 하기에 늘 혼잡합니다.
5월 22일의 다른 역사적 사건
- 1882년 - 조미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되다.
- 1960년 - 역사상 가장 큰 규모 9.5의 지진이 칠레 발다비아에서 발생하다.
- 1992년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가 유엔에 가입하다
오프모임 지원
한국 위키미디어 협회는 대한민국에서의 위키미디어 커뮤니티 지원의 일환으로 대한민국에서 자발적으로 열리는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관련 오프라인 모임 비용을 지원합니다. 상업적 활동, 정당 활동, 종교 포교 등은 지원하지 않으며, 위키미디어 사용자의 자발적 모임의 경비를 지원할 뿐, 모임의 주최자는 한국 위키미디어 협회와 별개입니다.
온라인 에디터톤 지원
코로나19로 서로 만남이 어려운 동안 올림픽, HIV/AIDS, 케이팝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에디터톤이 진행되었습니다. 서로 먼거리에 떨어진 사람들이 같은 주제를 함께 편집하는 온라인 에디터톤은 해당 분야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고,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게 할 수 있습니다. 어느 분야든 5명 이상의 참가자가 모인다면 협회의 온라인 에디터톤 지원 프로그램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 위키미디어 커뮤니티 사용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활발한 에디터톤 개최를 부탁드립니다.
한국 위키미디어 협회는 2015년 ‘지식과 정보를 자유롭게 공유’하기 위해 대한민국 지역에서 위키백과 등 위키미디어 프로젝트를 진흥하기 위해 설립된 단체입니다.
협회는 자유 라이선스나 퍼블릭 도메인 등 무료 또는 저작자 표시 하에 자유롭게 사용가능한 교육적 콘텐츠를 수집하거나 개발하여 효과적으로 확산시키는 활동을 지원합니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위키미디어 커뮤니티의 참여자들이 특정 주제를 선정하여 진행하는 에디터톤, 참여자들이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오프라인 모임 등을 지원합니다.
또한, 미국에 위치한 위키미디어재단의 가맹 단체로서 재단의 자원 활동가 등과 협력하여 한국어 위키미디어 커뮤니티의 의견을 조사하고, 재단과 소통하는 등의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이러한 활동을 지속가능하게 하고, 지식 정보를 널리 읽히게 하는데 후원자님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 |
국민은행 821301-00-079110 예금주 : 사단법인 한국 위키미디어 협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