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프로젝트토론:올림픽
올림픽 포털 · 위키프로젝트 올림픽 · 올림픽에 관련된 문서들 |
| ||||||
올림픽 가라테? 올림픽 공수도? 올림픽 카라테?
편집- 가라테 vs 공수도 vs 카라테
- 가타 vs 카타
- 구미테 vs 쿠미테
공수도나 가라테도 여러 분파가 있지만 World Karate Federation이 국제대회를 관할하는데
원래는 대한공수도연맹이 한국에서 가라테의 대표 단체였으나 사유화로 인해 대한체육회에서 짤리고 대한카라테연맹이 대한체육회의 준회원으로 가입해 WKF의 회원단체로 활동중입니다.
그래서 올해 대한체육회측 올림픽 보도자료에서는 카라테 선수로 한명을 파견한다고 보도했습니다.
하지만 카라테는 외래어표기법에 어긋나고 가라테보다 훨씬 덜 쓰이기 때문에 올림픽 및 아시안게임 종목 표제어로 부적합해 보입니다.
[1] 일본 도쿄올림픽위원회 보도자료에서는 가라테, 가타, 구미테를 공식 표기로 사용하는데, 표기법에 맞는 것은 가타이지만 카타가 더 많이 쓰여 통용표기로 존중할 정도가 된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시안게임과 올림픽 종목에서 세 단어의 표제어를 확정하는 토론을 엽니다. --TulipRose2 (토론) 2021년 7월 24일 (토) 13:12 (KST)
- 저는 가라테, 카타, 쿠미테를 선호합니다. --TulipRose2 (토론) 2021년 7월 24일 (토) 13:15 (KST)
- [2] 가타 카타, 구미테 쿠미테는 혼용하고 있는 것으로 정정합니다. --TulipRose2 (토론) 2021년 7월 24일 (토) 15:42 (KST)
- 어... 돈까스 토론에서 고로케, 다시 여기인가요...? 일단, TulipRose2님의 의견을 해당 토론에서 관철하지 않겠다는 전제 하에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봅니다. --trainholic (T, C) 2021년 7월 24일 (토) 20:16 (KST)
- 현행 공수도, 카타, 쿠미테를 선호합니다. 가라테는 보편적인 명칭이긴 하나 空手道라는 원어 표기를 고려한다면 공수도라고 밝혀 적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조직위 측 표기는 한국어 서비스에서 모든 일본어 표기에 있어 국립국어원 표기를 일일히 지켜 적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밥풀떼기" 2021년 7월 24일 (토) 20:49 (KST)
틀:선수단 참가 목록 도입 안내
편집- {{선수단 참가 목록}}
기존에 올림픽 선수단 틀에서 역대 올림픽 참가 내역을 일일히 적어야 했던 것을 자동화된 틀로 개선하였습니다. 이제 앞으로 올림픽이 열릴 때마다 모든 틀을 다니면서 링크를 일일히 추가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사용법은 틀 문서를 참고해주시고, 대회에서 불참하는 등의 변동사항이 생길 경우에는 이곳에서 반영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올림픽 외에도 아시안게임, 팬아메리카 게임, 일부 선수권대회까지 다양한 대회 문서에도 활용할 수 있으니 많은 이용 바랍니다. 모듈 수정을 도와주신 ted님께 다시 한번 감사를 전합니다. --"밥풀떼기" 2021년 8월 10일 (화) 13:34 (KST)
- "중화 타이페이"는 "중화 타이베이"의 오타로 보입니다. 타이완처럼 복잡한 경우도 대응해놨는지 검토해 주세요. 1924년부터 1948년까지는 중화민국 이름으로 중국을 대표하여 올림픽에 출전했습니다. 1952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중국 이름으로 출전하기 시작했고, 타이완으로 밀려난 중화민국은 1956년부터 1972년까지 중화민국 또는 타이완 이름으로 올림픽에 출전했습니다. 1980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올림픽에 돌아오면서 타이완이 쫒겨났다가 다시 중화 타이베이 이름으로 되돌아왔습니다. -- ChongDae (토론) 2021년 8월 10일 (화) 14:17 (KST)
- @ChongDae: 리스트가 워낙 방대한 만큼 오류가 많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앞으로 발견 시 제보에서 그치지 않고 직접 수정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밥풀떼기" 2021년 8월 10일 (화) 22:39 (KST)
- 참고로 해당 틀은 IOC 코드가 아닌 표제어의 명칭 기준이어서 중화민국인 경우에는 '중화민국'이란 이름으로 정상 작동됩니다. --"밥풀떼기" 2021년 8월 10일 (화) 22:42 (KST)
- 중화민국의 경우 조금 복잡합니다. IOC의 공식 입장에 따르면, 중국 대륙에 있던 중화민국 선수단의 기록은 오늘날 중화인민공화국(CHN) 선수단의 기록에 포함됩니다.[3] 반면, 타이완 지역에 있는 중화민국 선수단 기록은 오늘날 중화 타이베이(TPE) 선수단 기록에 포함됩니다.[4] 쉽게 말해, IOC 공식 입장상으로는, 중국 대륙의 중화민국은 팀명을 변경하여 오늘날 중화인민공화국(CHN) 선수단으로 이어진 것이고, 타이완 지역의 중화민국은 팀명을 변경하여 오늘날 중화 타이베이(TPE) 선수단으로 이어진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러시아 제국 선수단 기록은 오늘날 러시아(RUS) 선수단으로 승계되었는데, 이 부분도 반영할 필요가 있겠네요. -- Min's (토론) 2021년 8월 11일 (수) 10:43 (KST)
- 중화민국은 1948년 이전은 "중국"(CHN), 1956~1960은 "중국 (포르모사)"(RCF), 1964~1968은 "타이완"(TWN), 1972~1976은 "중화민국"(ROC)으로 참여했습니다. 1936년도에 CHN/China를 쓰는 건 맞는데 국기는 IOC의 실수로 보이네요. -- ChongDae (토론) 2021년 8월 11일 (수) 15:29 (KST)
- 중화민국의 경우 조금 복잡합니다. IOC의 공식 입장에 따르면, 중국 대륙에 있던 중화민국 선수단의 기록은 오늘날 중화인민공화국(CHN) 선수단의 기록에 포함됩니다.[3] 반면, 타이완 지역에 있는 중화민국 선수단 기록은 오늘날 중화 타이베이(TPE) 선수단 기록에 포함됩니다.[4] 쉽게 말해, IOC 공식 입장상으로는, 중국 대륙의 중화민국은 팀명을 변경하여 오늘날 중화인민공화국(CHN) 선수단으로 이어진 것이고, 타이완 지역의 중화민국은 팀명을 변경하여 오늘날 중화 타이베이(TPE) 선수단으로 이어진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러시아 제국 선수단 기록은 오늘날 러시아(RUS) 선수단으로 승계되었는데, 이 부분도 반영할 필요가 있겠네요. -- Min's (토론) 2021년 8월 11일 (수) 10:43 (KST)
- 물론 당시에는 말씀하신 코드와 이름으로 참가한 것은 맞는데, 오늘날 IOC 기준으로는 대륙의 중국팀은 중화인민공화국(CHN)의 기록에 속하고, 타이완의 중국팀은 중화 타이베이(TPE) 기록에 속합니다. RCF, TWN, ROC는 폐기된 IOC 코드이고요. 마찬가지로 러시아 제국(RU1)도 러시아(RUS) 선수단의 기록에 통합되었습니다. 1960~1972년 동안 당시 RHO 코드명으로 참가했던 로디지아가 짐바브웨(ZIM) 선수단 기록으로 승계되고 RHO 코드는 폐기된 것과 마찬가지라고 보시면 됩니다. -- Min's (토론) 2021년 8월 11일 (수) 16:52 (KST)
ROC
편집ROC는 중화민국 시절의 중국 국가코드입니다.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도 ROC를 써서 복잡해졌네요. {{flagIOC|ROC}}
( 중화민국), {{flagIOC|ROC|2020|하계}}
(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식으로 구분해서 작성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혹시 2020년 대회 문서에서 중화민국이 보이면 수정해주세요. -- ChongDae (토론) 2021년 8월 10일 (화) 14:18 (KST)
1948년 동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관련
편집이 문단은 밥풀떼기, Sangjinhwa 사용자 토론에 있던 문단에서 가져온 것임을 알려드립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4년 4월 9일 (화) 12:49 (KST)
- 본래는 올림픽 토론방에 질문하려 했으나 위키프로젝트 참가자가 아니여서 그런지 토론 내용이 업로드가 안 되어서 올림픽 위키프로젝트 참가자이신 Sangjinhwa님께 질문 남깁니다. 1948년 당시 우리나라 대표팀은 대한민국이 아닌 한국이라는 이름으로 올림픽을 참여했으니까 1948년 올림픽 문서에서 대한민국으로 표기되어 있는 걸 한국으로 표기해야 하지 않을까요? Gksyy (토론) 2023년 7월 19일 (수) 20:31 (KST)
- 1948년 장크트모리츠 동계 올림픽은 1948년 1월 30일부터 2월 8일까지, 1948년 런던 하계 올림픽은 1948년 7월 29일부터 8월 14일까지 개최되었는데 둘 다 1948년 8월 15일에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기 이전에 열렸습니다. 한데 제가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에 들어가보니까 1948년 당시 신문 기사에서는 한국이 아닌 '조선'이라고 불렀다는군요.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3년 7월 19일 (수) 20:38 (KST)
- 해방 이후에도 일제에서 사용했던 조선이라는 이름을 어느정도 계속 사용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영문명은 Korea가 사용되었지만 한글 (한자)으로는 한국과 조선을 혼합해 사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지만 대한민국 대표팀이라는 단어는 사용되지 않았으니 대한민국이라는 이름을 사용되는 게 맞는건가 싶네요. Gksyy (토론) 2023년 7월 19일 (수) 20:47 (KST)
- 1948년 장크트모리츠 동계 올림픽은 1948년 1월 30일부터 2월 8일까지, 1948년 런던 하계 올림픽은 1948년 7월 29일부터 8월 14일까지 개최되었는데 둘 다 1948년 8월 15일에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기 이전에 열렸습니다. 한데 제가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에 들어가보니까 1948년 당시 신문 기사에서는 한국이 아닌 '조선'이라고 불렀다는군요.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3년 7월 19일 (수) 20:38 (KST)
- 밥풀떼기님, 안녕하세요. Gksyy님이 제 사용자 토론에 "1948년에 열린 동하계 올림픽에서 당시 대한민국 대표팀은 대한민국이 아닌 한국이라는 이름으로 올림픽을 참여했으니까 1948년 올림픽 문서에서 대한민국으로 표기되어 있는 걸 한국으로 표기해야 하지 않을까요?"라는 의견을 남겼습니다. 그런데 1948년 장크트모리츠 동계 올림픽은 1948년 1월 30일부터 2월 8일까지, 1948년 런던 하계 올림픽은 1948년 7월 29일부터 8월 14일까지 개최되었는데 둘 다 1948년 8월 15일에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기 이전에 열렸습니다. 한데 제가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에 들어가보니까 1948년 당시 신문 기사에서는 한국이 아닌 '조선'이라고 불렀다는군요. 이 문제는 올림픽 프로젝트 토론에서 논의해야 할 사안으로 보입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3년 7월 21일 (금) 02:08 (KST)
- Sangjinhwa님께서 의견을 구하셔서, 올림픽 문서 편집 참가자로서 저도 의견 남기고자 합니다. 모든 올림픽 선수단 문서는 IOC 코드 기준으로 생성되고 있으며, KOR 코드를 사용하는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의 역사는 1948년부터로 기재되어 있습니다. 당시 명칭으로는 조선, Korea 등으로 사용했다고는 하지만, IOC 코드가 그때부터 지금까지 동일한 것이기에 1948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으로 표기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후 대회에서의 참가 선수단 명칭과 통일성을 지켜야 하는 문제도 있구요. 밥풀떼기 (토론) 2023년 7월 21일 (금) 03:13 (KST)
- 다른 국가의 사례로는 올림픽 독일 선수단이 있습니다. 1896년~1912년 대회에서는 독일 제국, 1928년~1932년 대회에서는 바이마르 공화국, 1936년 대회에서는 나치 독일이었지만 코드가 GER로 동일하여 모두 '독일 선수단'으로 표기합니다. 반면 이 독일이 동서독으로 나뉘던 시절에는 FRG, GDR이라는 별개의 IOC 코드를 받았고 이들은 당시 국명으로 생성되어 있습니다. 밥풀떼기 (토론) 2023년 7월 21일 (금) 03:25 (KST)
- Sangjinhwa님께서 의견을 구하셔서, 올림픽 문서 편집 참가자로서 저도 의견 남기고자 합니다. 모든 올림픽 선수단 문서는 IOC 코드 기준으로 생성되고 있으며, KOR 코드를 사용하는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의 역사는 1948년부터로 기재되어 있습니다. 당시 명칭으로는 조선, Korea 등으로 사용했다고는 하지만, IOC 코드가 그때부터 지금까지 동일한 것이기에 1948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으로 표기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후 대회에서의 참가 선수단 명칭과 통일성을 지켜야 하는 문제도 있구요. 밥풀떼기 (토론) 2023년 7월 21일 (금) 03:13 (KST)
올림픽 국기 틀
편집루아 버전을 이용해서 개선 중입니다. 틀:FlagIOC/시험장 처럼 영어판 문서를 그대로 긁어와도 되고, 번역해도 되고, 기존의 문서에도 영향이 없도록 만들었습니다. 혹시나 기존 틀 중에 특이하게 사용한 경우가 있다면 알려주세요. @Ha98574: -- 2024년 7월 27일 (토) 13:22 (KST) ChongDae (토론) 2024년 7월 27일 (토) 13:22 (KST)
- 네, 확인했습니다. 늘 수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Min's (토론) 2024년 7월 27일 (토) 16:07 (KST)
독립 참가 선수
편집올림픽 독립 참가 선수 이름과 분류에 대한 정리가 필요해보입니다. 대회마다 조금씩 이름과 표현이 달라 분류 등이 제각각인데 정리가 필요해보입니다. 주문서: 올림픽 독립 선수단
- 1992 하계: IOP "Independent Olympic Participants" / 1992년 하계 올림픽 독립 참가 선수단
- 2000 하계: IOA "Individual Olympic Athletes" / 2000년 하계 올림픽 개인 선수단
- 2012 하계: IOA "Independent Olympic Athletes" / 2012년 하계 올림픽 독립 선수단
- 2016 하계: IOA "Independent Olympic Athletes" / 2016년 하계 올림픽 독립 선수단
- 2020 하계: ROC / 2020년 하계 올림픽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선수단
- 2024 하계: AIN "Individual Neutral Athletes" / 2024년 하계 올림픽 개인 중립 선수
- 2014 동계: IOP "Independent Olympic Participants" / 2014년 동계 올림픽 독립 참가 선수단 (2014년 동계 올림픽 인도 선수단)
- 2018 동계: OAR "Olympic Athletes from Russia" / 2018년 동계 올림픽 러시아 출신 선수단
- 2022 동계: ROC / 2022년 동계 올림픽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선수단
러시아의 ROC/OAR 팀은 단체 구기 종목을 포함해서 참가했기에 "선수단"으로 불러도 되겠지만, 다른 경우는 "선수단"이 아닌 "참가 선수" 식으로 문서를 만드는게 맞아보입니다. 그리고 선수(단) 자체와 선수단의 개인을 분류에서 어떻게 하는게 좋을지도 의견 남겨주세요. -- ChongDae (토론) 2024년 8월 17일 (토) 22:35 (KST)
- 영어 표기를 고려했을 때 현재로서는 크게 문제가 있어보이지는 않습니다. 다시 말해서 올림픽 독립 선수단을 주문서로 두고 각 선수단의 명칭을 달리 하는 것은 사실관계 그대로를 반영한 것이기 때문에 어떤 정리가 요구되지는 않아 보입니다.
- 선수단 문제의 경우에도 아무리 개인이라 하더라도 결국에는 '선수단'의 하나로서 올림픽에 출전하고 메달 수가 집계되므로 그렇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올림픽 난민 선수단도 정치적인 이유로 자신의 조국 자격으로 참가하지 못하고 난민 자격을 인정받아 출전한 선수들을 아우르는 표현이며 매 대회마다 '선수단'으로서 편성됩니다. 이 점에서 2024년 하계 올림픽 개인 중립 선수는 2024년 하계 올림픽 개인 중립 선수단으로 옮겨야 하겠습니다. 선수단 자체와 선수단의 개인 분류라는 말씀은 제가 이해를 잘 못했습니다. 밥풀떼기 (토론) 2024년 8월 20일 (화) 17:53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