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고슬라비아 인민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유고슬라비아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또는 유고슬라비아 국가군(세르보크로아트어: Jugoslavenska narodna armija - JNA, Југословенска народна армија - ЈНА / Jugoslovenska narodna armija - JNA; 마케도니아어: Југословенската народна армија - ЈНА; 슬로베니아어: Jugoslovanska ljudska armada - JLA), 또는 간단하게 JNA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군대였다.
Jugoslavenska Narodna Armija Југословенска народна армија Jugoslovenska narodna armija Jugoslovanska ljudska armada | |
---|---|
창립일 | 1945년 (창설) 1992년 (해산) |
국적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
군종 | 유고슬라비아 지상군 (KoV) 유고슬라비아 해군 (JRM) 유고슬라비아 공군 (JRV) 유고슬라비아 영토방위군 (TO) |
지도부 | |
본부 |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
통수권자 | 요시프 브로즈 티토 (1945년~1980년) 유고슬라비아 연방 대통령 (1980년~1992년) |
국방장관 | 연방 인민국방부 장관 |
총참모장 | 육군 원수 (1945년~1980년) 육군 장군 혹은 함대 제독 (1980년~1992년) |
인사 | |
징집 연령 | 15세 ~ 65세 징병은 18세 이상 |
병력 | 약 20만 명 |
예비군 | 3,200,000명가량 |
기원
편집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서부터 시작했다. 유고슬라비아 전선에서 JNA의 전신인 유고슬라비아 인민해방군 파르티잔(NOVJ)을 중심으로 한 저항 운동이 발효하면서 파르티잔은 1941년 12월 22일 현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루도에 본부를 세웠다.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이 추축국으로부터 나라를 해방시킨 후, 이 날을 공식적으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국군의 날"로 기념하게 되었다.
1945년 3월, 파르티잔이 명칭을 정식으로 육군으로 바꾸었으며 1945년 12월 22일에는 "인민군"이라는 칭호를 달게 되었다.[1]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p.202, Trifunovska
참고 문헌
편집- Trifunovska, Snezana, Yugoslavia Through Documents: From Its Creation to Its Dissolution,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994 ISBN 0-7923-2670-9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