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노빈
윤노빈(尹老彬, 1941년~)은 대한민국의 대학교수이자 월북한 사람이다. 부산대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던 1982년 가족과 함께 월북했다.
윤노빈 尹老彬 | |
---|---|
출생 | 1941년 |
국적 | 대한민국 |
경력 | 부산대 철학과 교수 |
직업 | 대학교수 |
생애
편집1941년 강원도 원주에서 태어났다. 시인 김지하와 강원도 원주중학교와 서울대 문리대 철학과 동창이며, 서로 깊이 교류했다. 이 인연으로 김지하는 2008년 10월 부산대 철학과 개설 60주년 기념식에 강사로 초청받아 강의했다.[1]
서독 프랑크푸르트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967년부터 부산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지냈다.[2] 1982년 9월 가족 5명과 함께 대만으로 유학을 떠났다가 바로 싱가포르에서 입북을 했다. 유학이 아니라 사실상 탈남이자 계획된 월북이었다. 외무장관 출신 최덕신이나 천도교 교령 오익제와 달리 윤노민의 월북 사건은 언론에 단 한 줄도 보도되지 않았다. 당시는 매스컴에도 보도되지 않아 그가 월북한 것조차 잘 알려지지 않았다. 월북한 후 그는 소문에 의하면 대남 방송의 기사작성자로 일하고 있다고 한다.[3][4]
입북 후 ‘조국통일연구원 책임지도원’이란 직위를 갖고 평양에 살고 있다. ‘통영의 딸’ 신숙자씨의 남편인 오길남 박사와 함께 칠보산연락소에서 방송요원으로 활동했었다. 당시 사용한 가명인 ‘정영호’를 정식 이름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대동강구역 동문2동에 살고 있다.[5][6] 독일에서 월북했다가 탈출, 월남한 '오길남'이 전하는 말이다.
'유격훈련'이라는 저 상상을 초월하는 엄청난 고통을 마침내 졸업하고 나서야 노빈은 비로소 북한 당국에 의해 받아들여졌다고 한다. '오길남'이 전하는 바로는, 안팎으로 얼마나 고초가 심했던지 그의 아내 왈 '죽어서라도 남편을 저주하겠다'는 말을 했다고 한다.[7]
윤 교수가 국내에 남긴 단 한 권의 저서가 '신생철학'이다. 1974년 펴냈다.[8] 세계관, 고통, 악마, 언어 등의 범주로 전개한 '신생철학'은 민족적 고통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동양사상의 근원적인 혁명성에서 모티브를 찾는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고 헤겔철학으로 무장되었으며, 그것을 또 한차례 뛰어넘어 동학과 스피노자의 생명철학을 밑에 깔고 제 나름의 철학, 저 유명한 『신생철학』을 창안한 사람”이었다.
70년대 중반에 「한국사상」에 「동학의 세계사상적 의미」발표한 바 있다.
제자의 글이 인터넷에 있다. 나의 스승 윤노빈에 대한 기억-이병길님 홈피에서.[9]
참고 자료
편집- 천재 철학자로 불리다 1982년 가족 5명과 함께 월북한 부산대 철학과 윤노빈 교수의 운명 주성하TV 2022. 1. 25.
- 그의 이웃집에서 살았던 탈북자의 북한에서의 윤노빈의 삶에 대한 증언
각주
편집- ↑ “촛불, 바람소리냐 비냐”. 프레시안. 2008.10.17.
- ↑ “부산 인문학 뿌리와 현장 <3> 실천하는 인문학- (하)산수 이종률과 윤노빈”. 국제신문. 2013년 1월 22일.
- ↑ “H채널, '북으로 간 사람들' 3부작”. 연합뉴스. 2004.03.07.
- ↑ “민족이 걸어야 할 새로운 삶에 대한 성찰”. 평화뉴스. 2011년 8월 5일. 2015년 7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4일에 확인함.
- ↑ “"구국의 소리" 남한출신 3명 신원 추가확인”. 연합뉴스. 1992.06.24.
- ↑ “납북자 21명 평양에 살고 있다 - 평양 거주 단독 확인”. 주간조선 2178호. 2011.11.02.
- ↑ “김지하 회고록 '나의 회상, 모로 누운 돌부처' <111> 윤노빈(尹老彬)”. 프레시안. 2002.07.20.
- ↑ “<책> 월북철학자 윤노빈의 '신생철학'”. 연합뉴스. 2003.06.13.
- ↑ “나의 스승 윤노빈에 대한 기억-이병길님 홈피에서”. 2004.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