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오영(尹五榮, 1907년 ~ 1976년 8월 22일)은 대한민국의 수필가이다.

윤오영
尹五榮
작가 정보
출생1907년
대한제국 한성부
사망1976년 8월 22일 0시 15분[1]
대한민국 서울 성북구 동선동2가 135
국적대한제국의 기 대한제국
일제강점기의 기 일제강점기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언어한국어
모교양정고보
필명치옹, 동매실주인
활동기간1959년 ~ 1976년
장르수필
부모윤용구(부)
주요 작품
<고독의 반추>, <곶감과 수필>, <방망이 깎던 노인>
영향
영향 받은 인물연암 박지원
영향 준 인물피천득

수필집 《고독의 반추》(1974), 《방망이 깎던 노인》(1974) 등과 수필문학론을 정리한 《수필문학입문》(1975) 등을 발간했다.[2]

국문학자 정민은 윤오영의 문체를 일러 간결하고, 함축과 여운이 유장하다고 평했다. 또한 그의 수필을 한국 수필이 거둔 가장 빛저운 수확의 하나로 극찬했다.[3]

생애

편집

어렸을 때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하여 후에 <연암의 문장>, <노계 가사의 재평가> 등 고전 문장가들에 대한 연구의 성과를 남겼다.

양정고보 재학 시절에는 동아일보 학생문예에 시를 발표하기도 하고, 경성시내 문학학생회 회장을 맡았다고 전한다. 1927년 5월에 열린 '전조선중등학생현상웅변대회'에 '자기혁신'을 주제로 참가하기도 했다.[4]
양정고보 졸업 후 보성고보에서 20년여간 국어교사로 교편생활을 하다가 5.16 이후 교원 자격 시비로 인한 무자격 교사 해임 조치[5]로 인해 교직을 떠나 학원 강사로 생계를 이었다. 1959년 《현대문학》지(誌)에 <측상락>(厠上樂)을 발표한 것이 작품활동의 시작이나, 1972년 창간한 《수필문학》지(誌)를 통해 가장 활발히 문단활동을 펼쳤다.

관계

편집

양정고보 재학 때에 3년 후배로 만난 금아 피천득은 고보 졸업 후에도 보성고 교무실을 찾아 만나는 등 지속적으로 교류했다고 전한다. 윤오영의 수필 <비원(秘苑)의 가을>에 등장하는 '금아'가 피천득이며, 반대로 피천득의 수필집 《인연》에 나오는 '치옹'이 윤오영이다.[6]

작품활동

편집

53세가 되던 1959년에 <측상락>(厠上樂)을 《현대문학》지(誌)에 발표하며 등단하였으나, 1972년 창간된 《수필문학》지(誌)에 <수필문학의 첫걸음>, <수필문학론> 등을 연재하며 활발한 문단활동을 펼쳤다. 1974년 수필집 《고독의 반추》[7]는 출간 직후 베스트셀러에 올랐으며,[8] 같은 해에 '수필가협회'에서 발간한 《한국수필 75인집》에 <방망이 깎던 노인>이 수록되었다.[8]
1975년 《수필문학》지(誌)에 연재한 내용을 엮어 《수필문학입문》을 펴내어 수필문학 이론의 정립에 크게 기여하였다.

주요 작품

편집

방망이 깎던 노인〉, 〈달밤〉, 〈양잠설〉, 〈마고자〉, 〈백사장의 하루〉, 〈부끄러움〉

저서

편집

수필집 《고독의 반추》, 《방망이 깎던 노인》, 《곶감과 수필》, 수필지도서 《수필문학입문》[9]

각주

편집
  1. “수필가 윤오영씨”. 동아일보. 1976년 8월 24일. 
  2. 권영민 (2004).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630쪽. ISBN 10-8952104617. 
  3. 윤오영 (2000년 5월 12일). 정민, 편집. 《곶감과 수필》. 태학사. 13~15쪽. ISBN 89-7626-535-1. 
  4. “연사연제결정(演士演題決定)”. 동아일보. 1927년 5월 12일. 
  5. “보성고, 맹휴(盟休) 돌입”. 경향신문. 1963년 3월 12일. 
  6. “강우방의 책읽기 - 윤오영 수필집 '고독의 반추' 삶 관조 깊고 은은한 향기”. 한겨레신문. 1996년 10월 15일. 
  7. 윤오영 (1974) [1974]. 《고독의 반추》. 관동출판사. 
  8. “한국수필 75인집 - 수필가협발간”. 매일경제신문. 1974년 10월 26일. 
  9. 윤오영 (1975) [1975]. 《수필문학입문》. 관동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