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군
의성군(義城郡)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중앙부에 있는 군이다. 오래된 사찰이자 조계종의 중심지 가운데 하나인 고운사, 탑리 오층석탑이 유명하며 특산물로는 마늘, 고추, 사과, 자두, 복숭아, 황토쌀이 있다. 국내 최초의 컬링 전용 경기장이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다. 행정구역은 1읍 17면으로 되어 있으며, 군청 소재지는 의성읍 후죽리이다. 전 지역이 환경부로부터 인증받은 국가지질공원(의성지질공원)이다.
의성군 | |||
---|---|---|---|
| |||
의성군의 위치 |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
행정 구역 | 1읍, 17면 | ||
청사 소재지 | 의성읍 군청길 31 (후죽리 509-2) | ||
단체장 | 김주수(무소속) | ||
국회의원 | 박형수(국민의힘, 의성군·청송군·영덕군·울진군) | ||
지리 | |||
면적 | 1,175.89km2 | ||
인문 | |||
인구 | 50,632명 (2021[1]년) | ||
세대 | 28,798세대 (2021[2]년) | ||
상징 | |||
나무 | 느티나무 | ||
꽃 | 산수유 | ||
새 | 왜가리 |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http://www.usc.go.kr/ |
역사
편집- 신라 경덕왕 때 문소군(聞韶郡)이라는 이름이 의성군의 초기 이름이고 그때 당시에 경북 지역에서 2번째로 컸던 조문국(趙文國)이라는 나라가 의성군의 초기였다.
- 현재 문소군, 조문국의 유적지는 의성향교와 조문국 경덕왕릉 등이다.
- 929년(고려 태조 12년), 후백제 견훤의 공격을 막다가 전사한 홍술장군의 충절을 기려 지명을 '의성(의로운 성)'으로 바꿨다.[3]
- 이후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대구부 의성군·비안군으로 개편하였다.[4]
-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의성군·비안군으로 개편하였다.[5]
- 1906년 상주군 단밀면, 단동면, 단북면, 단남면을 비안군에, 그리고 1907년 비안군 외북면을 의성군에, 1909년 의성군 우곡면을 비안군에 편입하였다.
- (일제 강점기 이후의 행정 구역 개편의 역사는 의성군의 행정 구역#역사를 참조)
- 2023년 6월 21일 전 지역이 의성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받았으며, 지질명소 12개소가 있다.
지형
편집경상북도 중앙부에 있으며, 대부분이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慶尙累層群)의 지질로 되어 있다. 약 1억년 전의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약 7천만년 전 화산 칼데라 등의 지질학적 특징이 있다. 군의 동북쪽을 태백산맥의 일부가 지나므로 산세가 험한 고원지대를 이루고 있으나, 노년기에 달한 구릉지대이므로 비교적 잘 개척되어 있다. 남대천 물길을 따라 남북으로 길게 구봉산이 뻗어 있다. 남서쪽은 신평면을 제외하면 그다지 험하지 않다. 위천 유역은 하천의 침식작용으로 만들어진 안계분지로, 분지 내 안계평야는 넓은 들로 곡창 지대를 이루고 있다.
- 관련 웹사이트: 의성 국가지질공원
기후
편집내륙에 있어 기온의 교차가 심한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강수량이 적다. 연평균 기온 11.6도, 1월 평균 -3.0도, 8월 평균 25.1도, 연평균 강수량 1,011.2mm이다.
의성군 (의성기상관측소, 의성읍 원당리)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역대 최고 기온 °C (°F) | 15.3 (59.5) |
24.1 (75.4) |
27.2 (81.0) |
33.1 (91.6) |
36.3 (97.3) |
36.5 (97.7) |
39.9 (103.8) |
40.4 (104.7) |
35.4 (95.7) |
30.2 (86.4) |
25.4 (77.7) |
19.2 (66.6) |
40.4 (104.7)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4.8 (40.6) |
7.8 (46.0) |
13.4 (56.1) |
20.3 (68.5) |
25.4 (77.7) |
28.6 (83.5) |
30.5 (86.9) |
31.0 (87.8) |
26.6 (79.9) |
21.4 (70.5) |
14.0 (57.2) |
6.8 (44.2) |
19.2 (66.6) |
일일 평균 기온 °C (°F) | −3.0 (26.6) |
−0.3 (31.5) |
5.3 (41.5) |
11.7 (53.1) |
17.1 (62.8) |
21.6 (70.9) |
24.8 (76.6) |
25.1 (77.2) |
19.8 (67.6) |
12.7 (54.9) |
5.5 (41.9) |
−1.1 (30.0) |
11.6 (52.9)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9.6 (14.7) |
−7.5 (18.5) |
−2.2 (28.0) |
3.3 (37.9) |
9.0 (48.2) |
15.2 (59.4) |
20.3 (68.5) |
20.5 (68.9) |
14.4 (57.9) |
6.0 (42.8) |
−1.2 (29.8) |
−7.5 (18.5) |
5.1 (41.2) |
역대 최저 기온 °C (°F) | −23.3 (−9.9) |
−22.1 (−7.8) |
−12.7 (9.1) |
−8.4 (16.9) |
−1.1 (30.0) |
4.1 (39.4) |
10.7 (51.3) |
10.3 (50.5) |
2.1 (35.8) |
−7.3 (18.9) |
−13.7 (7.3) |
−19.2 (−2.6) |
−23.3 (−9.9)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15.5 (0.61) |
22.6 (0.89) |
41.5 (1.63) |
73.6 (2.90) |
78.6 (3.09) |
115.8 (4.56) |
221.4 (8.72) |
229.6 (9.04) |
124.3 (4.89) |
41.5 (1.63) |
30.5 (1.20) |
16.3 (0.64) |
1,011.2 (39.81)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4.2 | 4.7 | 6.9 | 7.5 | 8.0 | 9.0 | 13.7 | 13.7 | 9.1 | 5.3 | 5.8 | 4.7 | 92.6 |
평균 상대 습도 (%) | 64.8 | 61.3 | 60.1 | 57.9 | 62.1 | 67.3 | 76.2 | 76.4 | 76.3 | 73.9 | 71.1 | 67.3 | 67.9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177.9 | 180.3 | 202.2 | 212.5 | 234.6 | 191.3 | 155.0 | 160.8 | 149.8 | 178.7 | 160.2 | 171.0 | 2,174.3 |
출처: 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73년~현재)[6][7] |
지질
편집행정 구역
편집의성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7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성군의 면적은 1,178.82km2이며, 인구는 2020년 8월 기준으로 28,574세대, 51,940명이다. 1965년에는 210,045명을 기록했으나 이후 인구가 급감하였다. 행정 구역별 세대수와 인구는 다음과 같다.[8]
읍면동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 | 행정지도 |
---|---|---|---|---|---|
의성읍 | 義城邑 | 6,594 | 14,050 | 68.81 | |
단촌면 | 丹村面 | 1,117 | 2,142 | 74.18 | |
점곡면 | 點谷面 | 933 | 1,720 | 65.02 | |
옥산면 | 玉山面 | 993 | 1,932 | 104.12 | |
사곡면 | 舍谷面 | 875 | 1,608 | 73.4 | |
춘산면 | 春山面 | 785 | 1,552 | 67.24 | |
가음면 | 佳音面 | 799 | 1,520 | 41.53 | |
금성면 | 金城面 | 2,422 | 4,538 | 74.55 | |
봉양면 | 鳳陽面 | 2,046 | 4,060 | 67.46 | |
비안면 | 比安面 | 1,428 | 2,556 | 65.51 | |
구천면 | 龜川面 | 1,000 | 1,907 | 46.66 | |
단밀면 | 丹密面 | 974 | 1,915 | 54.12 | |
단북면 | 丹北面 | 999 | 1,928 | 23.91 | |
안계면 | 安溪面 | 2,245 | 4,649 | 43.68 | |
다인면 | 多仁面 | 2,139 | 4,100 | 89.78 | |
신평면 | 新平面 | 469 | 833 | 55.87 | |
안평면 | 安平面 | 1,224 | 2,208 | 101.2 | |
안사면 | 安寺面 | 532 | 862 | 61.78 |
군청
편집- 현재 의성군청은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에 위치하고 있다.
인구
편집- 의성군(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9]
연도 | 총인구 | |
---|---|---|
1960년 | 190,667명 | |
1966년 | 203,753명 | |
1970년 | 182,709명 | |
1975년 | 179,570명 | |
1980년 | 146,063명 | |
1985년 | 122,664명 | |
1990년 | 96,897명 | |
1995년 | 77,362명 | |
2000년 | 68,353명 | |
2005년 | 56,712명 | |
2010년 | 51,247명 | |
2013년 | 56,064명 | |
2019년 | 49,621명 | |
2020년 | 51,940명 |
산업
편집농업
편집의성군의 마늘 생산량은 2016년 기준 15,680t으로 전국 3위이며, 한지마늘 기준으로는 전국 1위이다.[10] 한지형 의성 재래종을 의성지역의 기후와 토양에 알맞게 순화 개량한 품종으로, 쪽이 6~8쪽으로 수확시기는 6월 중순 이후이다. 조선 중종 21년(1526년, 약 470여년 전)에 현 의성읍 치선리(선암부락)에 경주 최씨와 김해 김씨 두 성씨가 터전을 잡게 되면서 재배되었다고 전해진다.[11]
문화·관광
편집교통
편집이미 왕복 4차선으로 확장된 국도 제5호선과 왕복 4차선으로 확장 예정인 왕복 2차선 국도 제28호선(비안-봉양구간 왕복 4차선)이 각기 안동, 예천 방면에서 대구, 영천으로 이어진다. 중앙고속도로가 군의 중심부를 관통하며 봉양면에 의성 나들목이 존재한다. 한국철도공사 중앙선 철도가 안동시에서 의성군을 지나 영천시로 연결된다. 그 외 서산영덕고속도로가 있으며, 2016년 12월에 서의성 나들목과 북의성 나들목이 개통되었다. 2017년에는 영천상주고속도로가 개통했으며, 단밀면과 도개면 경계에 있는 낙동강휴게소에서 영천/경주/포항/울산/부산방면 고속버스 환승을 취급한다.
스포츠
편집의성군은 대한민국 컬링의 중심지로 유명하며, 컬링훈련원이 자리해 있다. 2006년 5월에 경북체육회와 의성군 등이 공동으로 투자해 완공된 4시트짜리 훈련원으로, 국제경기규격을 갖춘 국내 유일의 훈련장이었다. 경북체육회의 주도로 2007년 남자부, 2010년 여자부를 창단했으며, 2016년 1월에는 사상 첫 믹스더블 팀을 구성했다.[12]
이 같은 인프라 덕에 대한민국 컬링 선수의 90% 정도가 의성군 출신이며, 2018년 동계 올림픽에 출전한 국가대표팀 15명 중 12명이 의성을 중심으로 한 경북과 대구 출신이다. 또 경북에서 선수로 등록한 컬링 선수는 초중고등부, 일반부 54명에 달하며 선수등록을 하지 않은 부류까지 합하면 80명에 달한다.[12]
교육 기관
편집인물
편집자매 도시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 ↑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 ↑ 의성군 지명 유래 ‘홍술 장군’, 캐릭터 제작·홍보 경북일보 2016년 12월 11일
- ↑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 ↑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 ↑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의성(278)”. 기상청. 2021년 3월 25일에 확인함.
- ↑ “순위값 - 구역별조회 의성(278)”. 기상청. 2021년 10월 2일에 확인함.
- ↑ 읍면별 세대 및 인구(주민등록) - 경상북도 의성군 한국통계정보원 2019년 10월 기준
- ↑ 행정구역(시군구)별, 성별 인구수 한국통계정보원
- ↑ ‘의성 마늘’
- ↑ 의성마늘 특징[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가 나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2/20/0200000000AKR2018022014280005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