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나브 전투아르드 알하팀 전투(Battle of Ard al-Hâtim) 혹은 폰스 무라투스(Fons Muratus)라 불리기도 한다. 이 전투에서 누르 앗 딘(Nur ad-Din) 휘하의 시리아군은 안티오키아의 레몽(Raymond of Antioch) 휘하의 십자군과 그들과 동맹을 맺은 알리 이븐 와파(Ali ibn-Wafa)의 군대를 1149년 6월 29일 격파하였다.

이나브 전투
십자군의 일부

이나브 전투의 그림
날짜1149년 6월 29일
장소
결과 장기 왕조 승리
교전국
안티오키아 공국
하샤하신
알레포의 장기 왕조
다마스쿠스
지휘관
안티오키아의 레몽
알리 이븐 와파†
누르 앗 딘
다마스쿠스의 우누르
병력
알 수 없음 대략 6,000명
피해 규모
상당한 피해를 입음 알 수 없음


배경

편집

누르 앗 딘은 1146년 그의 아버지 장기(Zengi)가 사망한 이후 알레포(Aleppo)의 지배권을 획득하였다. 누르 앗 딘은 알레포의 지배권을 확립한 후 안티오키아 공국(Principality of Antioch)에 대한 공세를 강화했고, 1147년에는 1144년 장기에게 에데사 백작령(County of Edessa)의 수도를 빼앗긴 것에 대한 복수를 위해 조직된 제2차 십자군다마스쿠스 공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내었다. 1149년 7월 누르 앗 딘은 안티오키아를 공략하여 이나브의 요새를 공략하였고, 이 공격에서 다마스쿠스의 우누르(Unur of Damascus)와 투르크만(Turcomans)족 군대의 지원을 받았다. 우누르와 투르크만 족의 지원으로 누르 앗 딘은 대부분 기병으로 이루어진 약 6,000명의 군대를 마음대로 지휘할 수 있게 되었다.

전투

편집

레몽 공작(Prince Raymond)은 하샤하신(Hashshashin)의 지도자이자 누르 앗 딘의 적인 알리 이븐 와파와 동맹을 맺었다. 레몽 공작과 그의 동맹 군세는 가용병력을 전부 집결시키기도 전에 이나브의 구원에 나섰고, 적군이 다가오자 누르 앗 딘은 성에 대한 포위를 풀고 퇴각하였다. 레몽 공작과 이븐 와파는 성벽 근처 대신에 넓은 벌판에 진영을 설치하였다. 누르 앗 딘의 정찰병들은 레몽과 이븐 와파가 노출된 지형에 진영을 설치하였고, 아직 지원군과 합류하지 못했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이에 누르 앗 딘은 밤중에 재빠르게 움직여 신속하게 적진을 포위하였다.[1]

7월 29일, 누르 앗 딘은 공격을 개시했고, 안티오키아 공국군을 격파하였다. 레몽 공작과 이븐 와파 둘 다 난전중에 전사하였다. 이제 무엇보다도 중요한 지중해로 진출할 수 있는 루트를 포함한 안티오키아 공국의 영토 대부분이 누르 앗 딘의 공세에 노출되게 되었다. 누르 앗 딘은 해안가로 달려가, 그의 정복을 기념하기 위해 바닷물에 몸을 담갔다.

 
전투 후에 되찾은 레몽의 시신.

어떤 작가는 이나브에서의 십자군의 패배를 한 세대 전에 일어난 "아제르 상귀니스(Ager Sanguinis)의 패배와도 비교할 만한 재난"[2]으로 평가하였다. 이 전투의 영향으로 하림(Harim)과 아파미야(Afamiya)의 성채가 승세를 타고 진격한 누르 앗 딘에게 함락되었다. 십자군은 하림을 1157년에 탈환하였으나, 1164년에 결국 완전히 상실하고 말았다.

누르 앗 딘은 이 여세를 몰아 안티오키아 공국을 공략하였으나, 함락하는 데 실패하였다. 비록 레몽 공작이 전사함에 따라 안티오키아는 혼란에 빠졌지만, 레몽의 미망인 콘스탄스(Constance)와 주교 리모주의 아이메리(Aimery of Limoges)가 치열한 방어전을 전개하여 누르 앗 딘의 공세를 막아내었고, 예루살렘의 보두앵 3세(Baldwin III of Jerusalem) 역시 안티오키아를 구원하기 위해 북쪽으로 진군함에 따라 누르 앗 딘은 군대를 물릴 수밖에 없었다.

영향

편집

이나브에서의 승리 이후에 누르 앗 딘은 이슬람 세계의 영웅이 되었다. 누르 앗 딘의 목적은 지하드(jihad)를 강화하여 십자군들이 세운 나라들을 멸망시키는 것이었다. 누르 앗 딘은 이미 종교 학교와 새로운 모스크를 알레포에 설치하였고, 자신이 다스리는 영토에서 시아파와 같이 누르 앗 딘이 생각하기에 이교도로 생각되는 이들을 추방하였다. 지하드는 전쟁을 지속해야 하는 명분으로 사용된 기독교 십자군의 존재에 영향을 받았다. 누르 앗 딘은 에데사 백작령의 영토에 대한 공세를 계속하였고, 1154년 다마스쿠스를 자신의 영역에 포함시켰으며, 계속적으로 십자군 세력을 약화시켰다.

각주

편집
  1. Smail, p 183
  2. Smail, p 33

참고

편집
  • Smail, R. C. Crusading Warfare 1097-1193. New York: Barnes & Noble Books, (1956) 1995. ISBN 1-56619-769-4
  • Other sources not ci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