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도 (불교)
2도(二道)는 두 가지 길 또는 두 종류의 길을 통칭하는 낱말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아래 목록은 가나다순으로 나열되어 있다.[1][2][3]
2도
편집교도·증도
편집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난행도·이행도
편집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내도·외도
편집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무간도·해탈도
편집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유루도·무루도
편집유루도(有漏道, 산스크리트어: sāsravamārga)는 유루의 6행관(六行觀)의 수행을 말한다. 6행관은 3계의 인간도와 천상도의 뛰어난 과보를 능히 초감하게 하므로 유루도라고 한다. 세간도(世間道) · 세속도(世俗道) 또는 유루로(有漏路)라고도 한다.[4][5][6][7]
무루도(無漏道, 산스크리트어: anāsravamārga)은 열반을 증득할 수 있게 하는 수행을 말한다. 출세간도(出世間道) · 성도(聖道) 또는 무루로(無漏路)라고도 한다.[4][8][9][10]
《문수사리보살문보리경론(文殊師利菩薩問菩提經論)》 하권과 일여 등의 《삼장법수(三藏法數)》에 따르면, 6바라밀 가운데 보시(布施) · 지계(持戒) · 인욕(忍辱) · 정진(精進) · 선정(禪定)의 5가지 바라밀은 유루도이고 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은 무루도이다.[6][7][10]
정도·사도
편집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같이 보기
편집참고 문헌
편집- 고려대장경연구소. 《고려대장경 전자 불교용어사전》. 고려대장경 지식베이스 / (사)장경도량 고려대장경연구소. 2013년 6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27일에 확인함.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2016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27일에 확인함.
-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2015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27일에 확인함.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11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19일에 확인함.
각주
편집- ↑ 운허, "二道(이도)". 2013년 5월 28일에 확인
"二道(이도):
[1] 교도(敎道)ㆍ증도(證道). 천태종에서는 이것을 약행(約行, 수행자에 대하여)과 약설(約說, 부처님의 설법에 대하여)을 세워 4도로 함. 약행교도(約行敎道)ㆍ약설교도(約說敎道)ㆍ약행증도(約行證道)ㆍ약설증도(約說證道).
[2] 난행도(難行道)ㆍ이행도(易行道).
[3] 유루도(有漏道)ㆍ무루도(無漏道).
[4] 무간도(無間道)ㆍ해탈도(解脫道).
[5] 내도(內道)ㆍ외도(外道).
[6] 정도(正道)ㆍ사도(邪道)." - ↑ 星雲, "二道". 2013년 5월 28일에 확인
"二道: (一)無間道與解脫道。乃斷惑證理之二道。(一)無間道者,謂正斷惑之智慧。其智不為惑所間隔,故稱無間,舊譯為無礙道。(二)解脫道者,謂正證理之智慧。其智離惑之繫縛,自在證理,故稱解脫。凡斷一切惑,必存此二道,無間道乃前念之因道,解脫道為後念之果道。〔俱舍論卷二十五〕
(二)難行道與易行道。淨土宗之判教學說。為龍樹菩薩所判。(一)難行道,指淨土宗以外之教說,謂於此娑婆世界,修六度萬行,入聖得果之道。此法難行,故稱難行道。(二)易行道,指淨土宗之教說,乃念佛往生淨土,於彼土成佛之道。此法易行,故稱易行道。〔十住毘婆沙論易行品、教行信證卷六本〕
(三)有漏道與無漏道。(一)有漏道,乃三乘之行人,見諦以前之一切行法。(二)無漏道,為見諦以後,順諦理所修之行法。漏者,煩惱之意。見諦以前,未斷一毫之煩惱,故稱有漏;見諦以後,已斷一分之煩惱,離煩惱之垢染,故稱無漏。〔俱舍論卷二十三、卷二十四〕
(四)教道與證道。前者乃如來方便教示之道,後者為諸佛所證之實理。〔十地經論卷一、大乘義章卷九〕
(五)謂大小便之二處。佛祖統紀卷三十(大四九‧二九八下):「殘穢在身,為欲蠲除,便在二道成男女根。」〔四分律卷三、佛所行讚卷三〕 p218" - ↑ 佛門網, "二道". 2013년 5월 28일에 확인
"二道: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1.難行道和易行道。凡依經教,在此土積累功勳,斷惑證真,修因得果者,皆屬難行道攝;凡依念佛法門,往生淨土,於彼國中,仗佛威神,終成正覺者,皆屬易行道攝。2.有漏道和無漏道。漏是煩惱的別名,有漏道就是帶有煩惱不清淨的道法,加三乘行人在見到真理以前所修的一切行法是;無漏道是無煩惱及清淨的道法,如三乘行人在見到真理以後而順著真理起修的一切行法是。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一、難行道〕,論云:於五濁惡世,無量佛所求阿鞞跋致,甚難可得。蓋言娑婆世界,塵境麤彊,五欲障蔽,難入於道,故名難行道。(五濁者,劫濁、見濁、煩惱濁、眾生濁、命濁也。梵語阿鞞跋致,華言不退轉。梵語娑婆,華言能忍,謂於此世界能忍受諸惡也。五欲者,色欲、聲欲、香欲、味欲、觸欲也。)
〔二、易行道〕,謂憑信佛語,修行念佛三昧,求生淨土。復乘阿彌陀佛願力攝持,決定往生,故名易行道。(梵語阿彌陀,華言無量壽。)
頁數: 出婆娑論并淨土十疑論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一、教道〕,教道有二:一謂別教菩薩,於十住、十行、十回向位中,依憑佛教方便修行,是名約行教道。二謂如來與住行向諸位菩薩說登十地之法,是名約說教道。(十住者,發心住、治地住、修行住、生貴住、方便具足住、正心住、不退住、童真住、法王子住、灌頂住也。十行者,歡喜行、饒益行、無瞋恨行、無盡行、離癡亂行、善現行、無著行、尊重行、善法行、真實行也。十回向者,救一切眾生離眾生相回向、不壞回向、等一切佛回向、至一切處回向、無盡功德藏回向、隨順平等善根回向、隨順等觀一切眾生回向、真如相回向、無縛解脫回向、法界無量回向也。十地者,歡喜地、離垢地、發光地、焰慧地、難勝地、現前地、遠行地、不動地、善慧地、法雲地也。)
〔二、證道〕,證道亦有二:一謂別教菩薩於初地位中,破無明微細之惑,證中道真實之理,是名約行證道;二謂如來自說,此十地法,我已親證,是名約說證道。
頁數: 出止觀輔行記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一、無間道〕,謂聲聞初果之人,依於八忍,能斷八諦下迷理之惑,此八忍不被見惑之所間隔,是名無間道。(八忍者,苦法忍、苦類忍、集法忍、集類忍、滅法忍、滅類忍、道法忍、道類忍也。八諦者,欲界四諦、色界無色界四諦也。四諦者,苦諦、集諦、滅諦、道諦也。)
〔二、解脫道〕,謂聲聞初果之人,依於八智,能證八諦下無為之理,此八智已離惑縛,是名解脫道。(八智者,苦法智、苦類智、集法智、集類智、滅法智、滅類智、道法智、道類智也。)
頁數: 出析玄記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一、有漏道〕,謂布施、持戒、忍辱、精進、禪定五波羅蜜,能成就世間有漏生死之果,是名有漏道。(梵語波羅蜜,華言到彼岸。)
〔二、無漏道〕,謂般若波羅蜜能成就出世間無漏涅槃之果,是名無漏道。(梵語般若,華言智慧。梵語涅槃,華言滅度。)
頁數: 出文殊師利菩薩問菩提經論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名數)大小便之二處。佛祖統紀三十曰:「殘穢在身,為欲蠲除便在二道成男女根。」【又】無礙道,解脫道也。新譯曰無間道,解脫道。斷惑證理之智慧名也。正斷惑之智慧為無礙道,正證理之智慧為解脫道。無礙者,正對破惑而智不為惑所障礙也。無間者其智不為惑所間隔也。解脫者其智離繫縛於惑也。自在證理之義也。凡斷一切之惑,必存此二道。俱舍論二十五曰:「無間道者,謂此能斷所應斷障。解脫道者。謂已解脫所應斷障最初所生。道義云何?謂涅槃道,乘此能往涅槃城故。」【又】一、難行道,修難行而求佛果之法也,謂在此娑婆世界,欲修六度萬行而因以成佛也,此法難行,故謂之難行道。二、易行道,易修行而求佛果之法也。謂信阿彌陀佛往生淨土而因以成佛者,此法易行,故謂之易行道。是龍樹菩薩所判,而淨土門諸家之教判皆依之。十住毘婆沙論易行品曰:「至阿惟越地者,行諸難行,久乃可得。(中略)或有以信方便易行,疾至阿惟越地(Avaivartya)者。」【又】一、有漏道,三乘之行人於見諦以前之一切行法,悉云有漏道。二、無漏道,三乘之行人於見諦後順諦理所修之一切之行法,皆曰無漏道。漏者,煩惱之異名也,見諦已前,未斷一毫之煩惱,其所修之行法,悉雜煩惱之垢染,故云有漏。見諦以後,已斷一分之煩惱,離煩惱之垢染,故其行法謂之無漏。【又】一、教道。方便教示之道也。二、證道。諸佛所證之實理也。此教證之二道。據十地論一,所謂「歎說者於中有二種:一者為說阿含義,二者為證入義。」而立。大乘義章九曰:「證教兩行出地經論,所言證者,乃知得之別名也。實觀平等契如,故名證。(中略)上德下被為教。」然如天台一家,借此教證二道:一以判今昔之權實,一以釋別教之教權證實。判今昔之權實者,前四時係隨他意之說,故判為教道之方便。第五時,係隨自意之說,故判為教道之真實(玄義三)。釋別教之教權證實者,四教雖均有教證之二道,然藏通之二教,隨於界內之機情而說,故其教勿論,論其所證之理,亦為偏真之空理,則教證均為權也。圓教,能入之教門,所入之理,均隨佛之自意,則教證均為實也。惟別教能入之教門,隨於界外鈍根之機情,次第斷破九界二邊之法,而顯佛界中道之理,是為隨情之權。然所入之理,稱為中道,九界即佛界,不為中偏所隔,故與圓教同為證實也。為釋此教證之權實,借用彼二道之名耳(輔行三),由此而輔行出約行約說二種之教證。約行之教證,就行人之觀行而立教證也。別教之行人,地前之間,依佛之隔歷次第之方便教,修次第之三觀,故以之為教道。至於初地,則自證入圓融之三觀,故以之為證道。蓋地前之觀行,為教道方便。地上之觀行,為證道真實也。約說之教證,就如來之說法而別教證也。佛對於地前之人,通於一教之始終(即地前以上)。就別教之當分,說隔歷次第之法,為約說之教道。又佛對於地前地上之人,詳說中道,為約說之證道。由此而論。於別教論證道,非別教當分之說,乃存行人之親證隔歷(約行之證道),及默示如來已證之圓融而已,因而可知別教之分際。" - ↑ 가 나 星雲, "有漏無漏". 2013년 5월 27일에 확인
"有漏無漏: 為有漏與無漏之並稱。漏,為漏泄之義,即指煩惱。有煩惱而輪迴生死,稱為有漏;無煩惱而能出離生死,稱為無漏。於各種煩惱之間,具有互相隨增(隨順增長)關係者,稱為有漏法;無互相隨增關係者,稱為無漏法。在四聖諦中,苦、集二諦為有漏法,滅、道二諦為無漏法。
關於有漏與無漏之分別,玆略述於下:世間凡夫有漏之身體,稱為有漏身;而無漏清淨之佛身,稱為無漏身。又修行有漏之六行觀,能招感人天三界之果報者,稱為有漏道、有漏路;而修行可證得涅槃道果之行法者,稱為無漏道、無漏路。以世俗之法為對象,所產生之智慧,稱為有漏智;而證知四諦之理,及見道以後的聖者之智慧,稱為無漏智。凡夫於見道之前所作之善,稱為有漏善;見道以後之聖者所作的無煩惱污穢之善,稱為無漏善。以有漏智所作之世俗行為,稱為有漏行;以無漏智所修之四諦觀行,稱為無漏行。以有漏道斷除煩惱,稱為有漏斷;以無漏道斷除煩惱,稱為無漏斷。有漏行能招感人、天等五道之有漏果,故稱為有漏因;無漏行可證得涅槃之無漏果,故稱為無漏因。又凡夫因修行六行觀,而住於四禪、四無色定、四無量心定等禪定中,稱為有漏定,或有漏禪;而聖者以無漏智所發得之禪定,稱為無漏定,或無漏禪,此無漏定生起於無漏九地(未至定、中間定、四根本定、下三無色定)中。
此外,唯識家將佛果之淨識稱為無漏識;將未成佛以前之識,稱為有漏識。然第六、第七識於初地入見道時,稍可轉識得智,故亦可成為無漏識。至於前五識與第八識,則係於初成佛果時,方能轉變為無漏識。又無漏之覺悟,其本來寂然者,稱無漏無為;因作用而起動者,稱無漏有為。〔大毘婆沙論卷二十二、卷一七三、俱舍論卷一、卷二、卷十三、順正理論卷一、卷四十九、成唯識論卷五、卷十、成唯識論述記卷五末、卷十末〕 p2455" 인용 오류: 잘못된<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476DTITLEA6B3BA7CB5LBA7C 有漏無漏]". 2013년 5월 27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 운허, "有漏道(유루도)". 2013년 5월 28일에 확인
"有漏道(유루도): 【범】 sāsravamārga ↔ 무루도(無漏道). 유루의 수도(修道). 세간도(世間道)ㆍ세속도(世俗道)라고도 함. 6행관을 닦아 3계(界) 9지(地) 중 무색계의 최상지인 비상비비상처지(非想非非想處地)를 제하고 다른 8지의 수혹(修惑)을 끊는 행." - ↑ 가 나 星雲, "有漏道". 2013년 5월 27일에 확인
"有漏道: 梵語 sāsravamārga。又作世間道、世俗道、有漏路。為「無漏道」之對稱。有漏之修道,係能招感人天等三界果報之行法,故稱有漏道。即修觀欣上厭下之六行相,以斷下八地修惑之法。六行相,即粗行相、苦行相、障行相等無間道,與靜行相、妙行相、離行相等解脫道。即於無間道緣自地與下地之有漏法,作粗、苦、障等三行相中之任一行相;次於解脫道緣次上地之諸有漏法,作靜、妙、離等三行相中之任一行相,用以次第斷下八地七十二品之修惑。
此外,據俱舍論卷五所舉,有漏道之業具有異熟果、等流果、離繫果、士用果、增上果等五果。又文殊師利菩薩問菩提經論卷下載,六波羅蜜中之布施、持戒、忍辱、精進、禪定等五波羅蜜為有漏道,能成就世間果;般若波羅蜜為無漏道,能成就出世間果,因其已得出世間智故。〔大毘婆沙論卷六十四、卷一六二、成唯識論卷十、百法問答鈔卷七〕(參閱「六行觀」1263、「無漏道」5131) p2456" 인용 오류: 잘못된<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481DTITLEA6B3BA7CB9D 有漏道]". 2013년 5월 27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 가 나 佛門網, "有漏道". 2013년 5월 28일에 확인
"有漏道: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術語)招人天三界果報之行法,謂之有漏道。可成就涅槃果之道,謂之無漏道。以三界盡為有漏,而涅槃為無漏也。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謂布施、持戒、忍辱、精進、禪定五波羅蜜,能成就世間有漏生死之果,是名有漏道。(梵語波羅蜜,華言到彼岸。)" 인용 오류: 잘못된<ref>
태그; "FOOTNOTE佛門網"[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52097E69C89E6BC8FE98193 有漏道]". 2013년 5월 28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 운허, "無漏道(무루도)". 2013년 5월 28일에 확인
"無漏道(무루도): ↔유루도(有漏道). 또는 출세간도(出世間道). 모든 번뇌의 허물을 여읜 무루지(無漏智)로써 닦는 관행(觀行). 소승에서는 견도위(見道位) 이후의 성자(聖者)가 4제(諦)의 이치를 16행상(行相)으로써 관하는 지혜를 말하고, 대승에서는 진여의 이치를 본 근본지(根本智)와 근본지에서 나와서 만유 제법의 모양을 보는 후득지(後得智)와 같은 것을 말한다. 이 도로써 견혹(見惑)과 수혹(修惑)을 모두 끊어 없앤다. ⇒무루단(無漏斷)" - ↑ 星雲, "無漏道". 2013년 5월 28일에 확인
"無漏道: 梵語 anāsrava-mārga。又作出世間道、聖道。為「有漏道」之對稱。相當於四諦中之道諦。即滅除煩惱、趣向涅槃之聖道。以四靜慮、未至定、中間定及下三無色(空無邊處、識無邊處、無所有處)等九地為所依而生起。於四善根位中,世第一法(於上忍位起無間善根之階位)之無間生苦法忍,為無漏之初起;就四沙門果之性而言,初果及第四果乃修無漏道所得者,第二及第三果則通於有漏、無漏二道。
無漏道有加行、無間、解脫、勝進等四道。其中,無間道為諸惑能斷之道,解脫道為正證解脫之道。下八地之修惑雖通於有漏斷(以有漏道斷煩惱),有頂地之染則唯有無漏道能斷之。蓋有頂地為三界九地中之最上地,此地所起之惑,有見惑、修惑之別,其中,見惑雖於見道一時斷之,而修惑則於修道以六行觀先斷下八地之七十二品,次以無漏智斷有頂九品中之下八品,稱為阿羅漢向,最後斷第九品,即是阿羅漢果。又俱舍論卷十七謂,無漏之斷道有等流、離繫、士用、增上等四果,而無異熟果,即說明由無漏道不招感當來愛、非愛之異熟果。〔大毘婆沙論卷六十六、俱舍論卷二十四、順正理論卷五十七〕(參閱「有漏」2452、「定」3171、「無漏斷」5132、「道」5620) p5131" - ↑ 가 나 佛門網, "無漏道". 2013년 5월 28일에 확인
"無漏道: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二道之一。見二道條。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he way of purity, or deliverance from the passions, i.e. 戒定慧 supra; the fourth of
the four dogmas 滅 cessation, or annihilation of suffering.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謂般若波羅蜜能成就出世間無漏涅槃之果,是名無漏道。(梵語般若,華言智慧。梵語涅槃,華言滅度。)" 인용 오류: 잘못된<ref>
태그; "FOOTNOTE佛門網"[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52521E784A1E6BC8FE98193 無漏道]". 2013년 5월 28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