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리농악

裡里農樂

이리농악(裡里農樂)은 지역분류상 호남우도농악에 속하는 농악으로, 1985년 12월 1일 국가무형문화재 제11-3호로 지정되었다.[1] 전라북도 익산에서 전승되는 농악으로 현 이리농악단의 역사는 김형순(金炯淳)이 1952년에 부안에서부터 이주해온 뒤 풍물계를 조직하면서부터 시작된다. 이후 김제·정읍·부안의 전문적 우도굿잽이들을 받아들이면서 높은 수준의 농악단을 양성해왔다.

이리농악
(裡里農樂)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국가무형문화재
종목국가무형문화재 (구)제11-3호
(1985년 12월 1일 지정)
관리이리농악보존회
전승자김형순(설장고)
주소전라북도 익산시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개요

편집

형성과정

편집

현 이리농악단은 예능 보유자 김형순이 부안에서부터 1952년에 이리시로 이주한 뒤 그 다음 해인 1953년부터 풍물계를 조직하여 배산(盃山) 중턱에서 모여 연습하던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1959년 4월 초파일부터 '농악단'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활동하였다. 1983년의 제 1회 전국 농악경연대회에서 이리농악이 최우수상을 받았고, 1985년엔 제 26회 전국민속예술경연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였으며 1985년 12월 1일에 국가무형문화재 지정을 받았다.

특징

편집

이리농악의 특징은 다른 지역에 비해 느린 가락을 많이 쓴다는 것이다. 또한 설장고의 가락과 춤이 발달되어 있고 진법과 상쇠의 부포놀이 및 소고춤의 기법이 다양한 점 또한 이리농악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영남농악과는 달리 북의 존재를 중요시 않고, 쇠꾼과 장고잽이를 위주로 가락을 구사해 간다. 또 가락 하나 하나를 매우 치밀하게 다루며, 동작의 변화를 예고하고 시작과 맺음을 분명하게 한다. 초창기부터 이리(현 익산시) 지역의 마을 농악이 아니라 전북의 우도농악 전문인들을 초빙하여 기량을 닦아나와 전문 농악적인 성향이 보다 크다.

형태

편집

농악 구성원에는 악기잽이와 기수 및 잡색이 있다. 악기잽이로 꽹쇠 4인, 징수 2인, 장고수 5~6인, 북 2인, 소고 상당수, 쇠로된 긴 나발수 1인, 쇄납수 1인을 두는 경향이다. 기수로는 농기수 1인, 용기수 1~2인 및 영기수 2인이 있다. 잡색으로는 대포수, 조리중, 창부, 양반, 각시가 각각 1인씩이며, 무동 2인을 두기도 한다. 기본 가락 중에서 3분박 4박인 예는 인사굿, 좌질굿의 제 4~5마디, 질굿 제 2마디, 이음굿, 긴 삼채, 짧은 삼채, 변형 삼채, 긴 매도지의 제 2·5·6마디, 짧은 매도지의 제 3·4마디, 이리 매도지의 제 4·6·7마디, 달어치기 등이고 4분의 6박은 좌질굿 제 1~3마디, 우질굿 제 2~4마디, 질굿 제 1마디, 긴 매도지의 제 1·3마디, 짧은 매도지의 제 1마디, 이리매도지의 제 1·2·5마디 등이다. 8분의 10박은 오채질굿 일부와 우질굿 제 1마디 등이며 4분의 4박은 첫째마당 입장굿, 이채, 오방진, 진오방진, 묘기 등이고 3분박 3박의 예로는 양산도와 셋째마당 낸드래미가 있다.

내용

편집

이리농악의 주된 구성은 첫째 마당(오채질굿), 둘째 마당(오방진), 셋째 마당(호호굿)이다. 첫째 마당 입장전에 준비로서 다스름굿을 친다. 셋째 마당 끝에 뒷굿을 놀고 퇴장한다. 이 밖에도 치배들이 다른 마을에 걸립을 나갈 때 하는 걸립굿에는 문굿, 들당산굿, 샘굿, 마당밟이 고사굿을 친다. 또 농사를 할 때 치는 보매기굿과 논매기 풍장굿도 있다.

보유자

편집
성명 성별 생년월일 기.예능 주소 지정일자 해제일자 해제사유
김문달 1908.4.7 상쇠 전북 김제군 백구면 부용리 206 1985.12.01
김형순 1933.9.7 설장고 전북 이리시 남중1가동 154 1985.12.01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문화공보부장관 (1985년 12월 2일). “문화공보부고시제654호(중요무형문화재지정및보유자인정”. 관보 제10205호 26쪽, 27쪽. 26-27쪽. ○이리농악...보유자 김문달, 김형순...지정 및 인정일자 : 1985년 12월 1일 

참고 문헌

편집
  • 이소라, 이리농악, 화산문화, 2000.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