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경 (극작가)

이원경(李源庚, 1916년 2월 29일~2010년 12월 3일)은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의 희곡 극작가연극 연출가로 주요적인 활약을 했었던, 이른바 은퇴 배우 출신의 소설가연극 감독이며, 무대 미술가이고 대학 교수교육인이다.

이원경
작가 정보
출생1916년 2월 29일(1916-02-29)
일제 강점기 조선 경성부 종로구역 종로방 서린정
사망2010년 12월 3일(2010-12-03)(94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은평구 갈현동
국적대한민국
언어한국어, 영어, 일본어
직업극작가연극 연출가 및 예술대학 연극 극문학 분야 교수
학력일본 도쿄 니혼 대학영어영문학과 1학년 중퇴(1934년 5월)
일본 도쿄 미술학교 2학년 중퇴(1936년 8월)
경력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대우교수
동국대학교 연극영화학과 객원교수
본관진보
활동기간1937년 3월~2006년 2월 28일
장르극작 희곡 집필
소설 문학 집필
연극 연출 감독
연극 무대 미술 감독
영화 시나리오 각본 집필
번역 문학 집필
수상1978년 대한민국 예술원상
1978년 중앙문화대상
1982년 은관문화훈장
1982년 동랑연극상
1983년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웹사이트이원경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생애

편집
  • 1916년 2월 29일, 경성부 출생.
  • 1937년 3월 중순, 일본 축지소극장에서 연극 작품 《햄릿》에 무대미술가로 데뷔.
  • 1938년 일시 입국하여 극예술연극회의 춘향전의 무대장치 담당으로 참여하였다.
  • 1940년 귀국, 극단 고협(대표 유치진)에서 현진건 원작의 무영탑을 상연할 때 무대미술 등을 담당했다.
  • 1941년 현대극장 창립에 참여, 현대극장 창단동인으로 연극 활동에 참여하면서, 코미칼 희극의 연극배우로도 데뷔하였고, 무대 미술 장치 담당으로도 활동했다. 흑룡강 극단과 조춘(早春)극단의 현대극장 3회 공연작의 무대장치 담당으로 참여했다.
  • 1943년 희곡 《해적 프리헤이즈》로 문단에 등단했다가, 본의 아니게 일본어로 썼으나 자책감에 시달려 일시적으로 1944년 연극계를 잠시 떠났다가, 1945년 8월 15일 광복(8·15 을유해방)이 도래한 뒤 1946년 다시 연극계에 복귀했으나, 1949년 이후부터 배우 분야는 완전히 은퇴하고, 오롯이도 완전히 연극 감독, 연극 연출, 무대 미술 담당, 희곡 극작 등에만 집중하였다.
  • 1950년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객원교수 등을 6개월 동안 잠시 지냄. 바로 이때 당시의 제자 가운데 일원이 바로 소설가 박완서.
  • 1952년 한국 전쟁 중 신청년 악극단의 연극 《격분》의 연출 등을 담당하였다.
  • 1953년 피난지 경북 대구시에서 제작자 박남을 만나 악극 제2의 생명 등 몇 편을 연출하면서 다시 활동을 꾸준히 했다. 극협의 기획담당으로 활동하다, 국립극장 대표 서항석을 만나 국립극단으로 건너갔다.
  • 1954년 극단 민극(국립극단의 전신)의 창립에 참여, 창립멤버로 활동했고 창단기념공연인 파랑새를 명동 시공관에서 연출했다.
  • 1955년 자작 소설 《격퇴(우리는 이렇게 싸웠다)》를 집필.
  • 1955년 국립극단의 수선화를 연출했으며, 그 뒤 서라벌예대 연극학과 객원교수와, 드라마센터 초빙교수,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문예창작학과 대우교수 등으로 교편을 잡았다.
  • 1956년 자신이 집필한 소설을 원작으로써, 이강천 선생이 감독영화 《격퇴(우리는 이렇게 싸웠다)》를, 영화 시나리오 각본 집필 작가 이정선 선생과 함께 공동으로 영화 시나리오 각본·각색·윤색 집필 등을 담당.
  • 1960년 국립창극단의 심청전 연출로 참여했다.
  • 1969년 극본 김대건 신부 와 해결되지 않는... 을 창작, 발표하다.
  • 1970년 서라벌예술대학 학생들의 연극 《한여름밤의 꿈》을 연출했다.
  • 1972년 중앙대 예술대 학생들의 연극 《백의종군》의 연출 등을 맡았다. 그러나 〔에저토 창고극장〕이 경영난으로 폐관의 위기에 처하자 그가 인수하여 운영하였다.
  • 1973년 동국대학교 연극영화학과 객원교수를 잠시 지냄.
  • 1976년 삼일로 창고극장을 열고, 극장장이 되었다. 삼일로 창고극장 대표로 있으면서, 1970년대까지만 해도 거의 드물던 연중무휴공연을 계속 진행하며 연극인과 신인 극작가와 연출가 등을 발굴, 배출했다. 또한 프로덕션 시스템으로 <빨강피터의 고백>을 성공시켰다.
  • 1976년 국립창극단의 춘향전의 연출과 1978년 드라마센터의 오델로의 연출로 활동했다.
  • 1983년 서울예술전문대학 연극학과 객원교수.
  • 1988년 일본에 초청되어 일본 극단 발견의회가 기획한 귀두혹상(鬼頭惑象)의 연출을 맡았다.
  • 2006년 극작가·연극연출가·연극무대미술감독 등의 분야에서 모두 완전히 은퇴.

상훈 경력

편집

저서 및 논문

편집

저서

편집
  • 이원경 연극연출론 (현대미학사, 1997)
  • 불멸의 처 (평민사, 1999)
  • 이원경 연극화술론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연기과, 2003)

논문

편집
  • 연극연출론, 1976
  • '한문권의 한국과 일본의 언어 및 TV방송 화술의 문제점들' <한국연극> 1998년 11월호

기타

편집

배우 추송웅을 발굴하여 스타로 부상시켰다.

평가

편집

박정희·전두환 정권 당시의 광(廣)범위적인 비(非)극장 공연법 등의 개정을 위한 설득과 호소 등의 노력을 기울여 성사시켜, 대학로 극장가를 형성하는 발판을 마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