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각사는 일연스님이 머물면서 삼국유사를 저술한 사찰이다.

이름의 유래

편집

인각사는 화산에 있으며 동구에 바위 벼랑이 우뚝하며 이 수직의 절벽을 학소대라 한다. 이는 학이 집을 짓고 사는 곳이라는 뜻이다. 속전에 옛날 기린이 이 벼랑에 뿔을 걸었다고 하여 인각사라 이름이 지어졌다고 전한다.[1]

역사

편집

인각사는 643년 신라 선덕여왕 11년에 의상대사가 창건했다.[1] 통일신라시대부터 번성하여 고려시대에는 국사 일연 스님이 1284년(충렬왕 10)부터 임종할 때까지 5년 동안 인각사에 머물며 [삼국유사]를 저술하였다. 당시 인각사가 구산문도회를 두 번이나 개최한 것으로 보아 전국 불교의 본산임을 알 수 있다. 조선 후기에 들어서는 퇴락하여 거의 폐사하였으나, 1721년(경종 1) 스님이 화주를 맡고 배흥일이 시주하여 대웅전, 극락전, 승방, 종루 등이 다시 갖추어지는 중수가 이루어졌다.[2] 인각사에서는 2023년 10월부터 불교문화재연구소가 시행한 조사에서, 통일신라와 고려, 조선 각 시대를 대표하는 기와가마 5기와 삼가마1기, 석렬 3기 등을 발견하였다고 밝혔다.[3] 2023년 9월16일 토요일에 '삼국유사 유네스코 기록물 등재 기원 화합 한마당 음악회를 인각사 극락전 앞 특설 무대에서 개최했다.[4] 2024년 10월 5일 삼국유사 유네스코 기록물 등재를 축하하고, 불자와 도시민의 화합을 기원하는 한마당음악회를 인각사 특별무대에서 개최했다.[5]

인각사 보물들

편집

인각사에는 해무리굽 청자, 청동그륵, 청동 이중합, 청동반자, 청동정병 등의 보물들이 출토되었다.[2]

각주

편집
  1. “[반갑다! 문화재] (115) 일연스님이 입적한 절 인각사”. 2023년 6월 18일. 2024년 10월 11일에 확인함. 
  2. “인각사(군위)”. 2024년 10월 11일에 확인함. 
  3. “군위 인각사 인근서 시대별 기와가마 발견”. 2024년 10월 11일에 확인함. 
  4. 대구·경북지사장, 박광호 (2023년 9월 18일). “군위 인각사, 삼국유사 한마당 음악회 개최”. 2024년 10월 11일에 확인함. 
  5. 대구·경북지사장, 박광호 (2024년 10월 6일). “군위 인각사, 삼국유사 한마당음악회 개최”. 2024년 10월 1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