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제군의 국회의원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인제군은 수복지구로서, 1956년 5월 15일 제3대 대통령 및 제4대 부통령 선거가 최초의 선거였다. 국회의원 선거는 1958년 5월 2일 제4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실시되었다.
행정구역 변천
편집대수 | 이름 | 소속정당 | 임기 | 선거구역 | 개표결과 |
---|---|---|---|---|---|
제4대 | 나상근(羅相謹)[1] | 자유당 | 당선 무효 | 인제군 일원(제15선거구) | 보기 |
전형산(全亨山)[2] | 자유당 | 1959년 6월 6일 - 1960년 7월 28일 | |||
제5대 민의원 |
전형산(全亨山)[3] | 자유당 | 1960년 7월 29일 - 1961년 3월 8일 | 인제군 일원(제15선거구) | 보기 |
김대중(金大中)[4] | 민주당 | 1961년 5월 14일 - 1961년 5월 16일 | |||
제6대 | 이승춘(李承春) | 민주공화당 | 1963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 홍천군·인제군 일원(제4선거구) | 보기 |
제7대 | 이승춘(李承春) | 민주공화당 |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 홍천군·인제군 일원(제4선거구) | 보기 |
제8대 | 이교선(李敎善) | 민주공화당 | 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7일 | 홍천군·인제군 일원(제4선거구) | 보기 |
제9대 | 정일권(丁一權) | 민주공화당 |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 속초시·양양군·인제군·고성군 일원 | 보기 |
김인기(金寅起)[5] | 무소속 | 1973년 3월 12일 - 1978년 7월 19일 | |||
제10대 | 정일권(丁一權) | 민주공화당 |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 속초시·양양군·인제군·고성군 일원 | 보기 |
함종빈(咸鍾빈) | 무소속 | ||||
제11대 | 정재철(鄭在哲) | 민주정의당 |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 속초시·양구군·인제군·고성군 일원 | 보기 |
허경구(許景九) | 민주한국당 | ||||
제12대 | 정재철(鄭在哲) | 민주정의당 |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 속초시·양구군·인제군·고성군 일원 | 보기 |
허경구(許景九) | 민주한국당 | ||||
제13대 | 이민섭(李敏燮) | 민주정의당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춘성군·양구군·인제군 일원 | 보기 |
제14대 | 이민섭(李敏燮) | 민주자유당[6]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춘천군·양구군·인제군 일원 | 보기 |
제15대 | 송훈석(宋勳錫) | 신한국당[7]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속초시·양양군·고성군·인제군 일원 | 보기 |
제16대 | 송훈석(宋勳錫) | 새천년민주당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속초시·양양군·고성군·인제군 일원 | 보기 |
제17대 | 박세환(朴世煥) | 한나라당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 일원 | 보기 |
제18대 | 이용삼(李龍三) | 통합민주당 | 2008년 5월 30일 - 2010년 1월 20일[8] | 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 일원 | 보기 |
한기호(韓起鎬) | 한나라당 | 2010년 7월 29일[9] - 2012년 5월 29일 | 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 일원 | ||
제19대 | 한기호(韓起鎬) | 새누리당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 일원 | 보기 |
제20대 | 황영철(黃永哲) | 새누리당[10] | 2016년 5월 30일 - 2019년 10월 31일[11] | 홍천군·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 일원 | 보기 |
제21대 | 이양수(李亮壽) | 미래통합당 | 2020년 5월 30일 - |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 일원 |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