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영양막병
임신 관련 종양 그룹
임신영양막병(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 GTD)은 임신 관련 종양에 사용되는 용어이다. 발생률은 드물며 자궁 내 세포가 통제할 수 없을 정도로 증식하기 시작할 때 나타난다. 임신영양막병을 형성하는 세포는 영양막이라고 하며 임신 중에 자라서 태반을 형성하는 조직에서 나온다.
임신영양막병 | |
---|---|
진료과 | 산부인과, 종양학 |
GTD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다. 어금니 임신으로도 알려진 포상기태는 가장 흔하며 일반적으로 양성이다. 때로는 침습성 병변이나 드물게는 융모막암종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 융모막암종은 빠르게 퍼질 가능성이 높지만[1][2] 화학요법에 매우 민감하고 예후가 매우 좋다. 영양막은 암과 마찬가지로 조직(자궁)을 침범할 수 있기 때문에 세포 생물학자들에게 특히 관심이 있지만, 암과 달리 일반적으로 언제 중단해야 하는지를 알고 있다.
비록 비정상이기는 하지만 자궁에 태아 조직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GTD는 임신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임신영양막병 조직은 정상적인 임신과 동일한 속도로 성장할 수 있으며, 태아의 건강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측정되는 호르몬인 인간 융모성 생식선 자극호르몬을 생성한다.[3]
GTD는 가임기 여성에게 압도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폐경 후 여성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4]
각주
편집- ↑ Seckl MJ, Sebire NJ, Berkowitz RS (August 2010).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 《Lancet》 376 (9742): 717–29. doi:10.1016/S0140-6736(10)60280-2. PMID 20673583. S2CID 32138190.
- ↑ Lurain JR (December 2010).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 I: epidemiology, pathology, clinical presentation and diagnosis of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 and management of hydatidiform mole”.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3 (6): 531–9. doi:10.1016/j.ajog.2010.06.073. PMID 20728069.
- ↑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 Epidemiology, clinical manifestations and diagnosis. Chiang JW, Berek JS. In: UpToDate [Textbook of Medicine]. Basow, DS (Ed). Massachusetts Medical Society, Waltham, Massachusetts, USA, and Wolters Kluwer Publishers, Amsterdam, the Netherlands. 2010.
- ↑ Chittenden B, Ahamed E, Maheshwari A (August 2009). “Choriocarcinoma in a postmenopausal woman”. 《Obstetrics and Gynecology》 114 (2 Pt 2): 462–5. doi:10.1097/AOG.0b013e3181aa97e7. PMID 19622962. S2CID 35996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