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혐오
이 문서에는 심리학 분야의 전문가 참여가 필요합니다. |
자기혐오(自己嫌惡, self-loathing), 또는 자기증오(自己憎惡, self-hatred)란 자기 자신을 극도로 증오하거나, 자기 자신을 싫어하며 자기 자신에 대한 분노감 내지 선입견에 빠져 있는 상태를 말한다. " 그 자기 자신이 속해 있는 가족, 계급, 정신병, 고정관념에 대한 증오 역시 자기혐오라고 칭하기도 한다. 자기공포증 증세와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심리학 및 정신의학에서의 자기혐오
편집"자기증오(self-hatred)"라는 용어는 심리학자와 정신과의사들이 가끔 사용한다. 이들은 자신을 증오하는 사람을 자존감(self-esteem)이 저하된 사람이라고 표현한다.[1] 자기증오, 자책감(self-guilt), 수치심(shame)은 특히 신체이형장애(body dysmorphic disorder)와 같이 자기에 대한 결함 인지를 나타내는 장애와 같은 정신질환에 있어 중요 요인이다. 또한 자기증오는 많은 경계선 성격장애(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등의 인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증상이자,[2] 우울(depression)과 같은 기분장애(mood disorder)의 증상이기도 하다. 또한 생존자의 죄책감(survivor guilt)과 같이 잘못되었다고 인식하는 행동을 질책하는 것과도 관련될 수 있다.
제리 맨더(Jerry Mander) 등의 사회학자들은 TV 프로그램들이 자기증오, 부정적 신체상, 우울을 유도하도록 설계되어, 이후 치료책으로 광고를 사용한다고 본다.[3][4]
사회집단에서의 자기혐오
편집인종, 성별, 종교 집단이 갖는 자기증오는 주류문화 집단의 증오가 내면화되는 결과라고 본다.
미국 흑인
편집미국 흑인(African-American)에 대한 인종차별과 흑인에 대한 미국 미디어의 부정적 묘사는 미국 외부로도 퍼져서, 흑인들의 자기증오를 증가시켰다.[5][6][7]
가톨릭
편집자기증오 혹은 "반가톨릭(anti-Catholic)적 가톨릭은 전통주의 가톨릭(traditionalist Catholic) 입장에서 교리를 개혁하고 가톨릭 교회에 대한 세속적 비판을 하거나 교회의 교리에 세속적인 원칙을 두려는 근대주의 가톨릭(modernist Catholic) 혹은 자유주의 가톨릭(liberal Catholic)에게 행하는 비판을 의미한다.[8][9][10]
유대인
편집시어도어 레싱(Theodor Lessing)은 자신의 책 유대인의 자기증오(Jewish Self-Hatred) (1930)에서 이를 병이라고 묘사하면서, "주류 문화의 과도한 동일시의 상징이자, 선입견의 내면화"로 보았다. 학술연구에서 언급된 자료들로부터의 연구들이 있었는데,유대인들의 정신질환은 핍박과 사회 내 종속적 위치로부터 유래한 열등감과 자기증오로부터 나오기도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 용어는 미국 내 반셈족주의(antisemitism) 때문에 발생한 사회정치적 장벽을 극복하고자, 개종, 타 종교인과의 결혼, 다른 신념으로 아이들 양육하는 것을 통해 자신들의 정체성을 숨긴다고 미국 내 유대인들을 낙인찍는데 사용한다.[11]
관련개념
편집자기비하
편집자기비하(self-deprecation)는 자신을 과소평가, 저평가, 폄하하는 것,[12] 혹은 지나친 겸손함을 말한다.[13][14] 유머와 긴장 완화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15]
자해
편집자해(self-harm)는 우울, 불안, 분노의 배출로서 신체를 스스로 해하려는 느낌을 강하게 받는 상태로, 여러 정신적 장애들과도 연관되어 있다.[16][17][18]
일부 경우 자해는 사고사(accidental death)나 자살(suicide)로 이어진다. 그러나 자살하려는 바람이나 자살 생각하려는 것만으로는 규정된 지시사항이 아니다.[19]
각주
편집- ↑ "I Hate Myself", by PsychAlive
- ↑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 Symptoms”. WebMD. 2012년 6월 17일에 확인함.
- ↑ Kaufman, Ron. “Review of Jerry Mander's Four Arguments For The Elimination Of Television”. TurnOffYourTV.com. 2014년 3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6월 17일에 확인함.
- ↑ See also the arguments related to the Kill your television phenomenon. [모호한 표현]
- ↑ Charles, Christopher A. D. (July 2003). “Skin Bleaching, Self-Hate, and Black Identity in Jamaica”. 《Journal of Black Studies》 33 (6): 711–728. doi:10.1177/0021934703033006001. S2CID 143716772.
- ↑ Hall, Ronald E. (December 2014). “Self-Hate as Life Threat Pathology Among Black Americans: Black Pride Antidote Vis-à-Vis Leukocyte Telomere Length (LTL)”. 《Journal of African American Studies》 18 (4): 398–408. doi:10.1007/s12111-014-9277-6. S2CID 143574951.
- ↑ Hall, Ronald E.; Pizarro, Jesenia M. (March 2010). “Unemployment as Conduit of Black Self-Hate: Pathogenic Rates of Black Male Homicide via Legacy of the Antebellum”. 《Journal of Black Studies》 40 (4): 653–665. doi:10.1177/0021934708318664. S2CID 144185874.
- ↑ Weigel, George (2011년 6월 21일). “Maureen Dowd's Catholic Problem”. 《National Review Online》. 2016년 7월 4일에 확인함.
- ↑ Arkes, Hadley (1996년 11월 1일). “Life Watch: Anti-Catholic Catholics”. 《Crisis Magazine》. 2016년 7월 4일에 확인함.
- ↑ Lawler, Phil (2011년 7월 13일). “Anti-Catholic Catholics”. 《Catholic Culture》. Trinity Communications. 2016년 7월 4일에 확인함.
- ↑ Alperin, Richard M. (September 2016). “Jewish Self-Hatred: The Internalization of Prejudice”. 《Clinical Social Work Journal》 44 (3): 221–230. doi:10.1007/s10615-016-0577-2. S2CID 147008248.
- ↑ “Self-deprecation”. 《The Free Dictionary》. Farlex. 2010년 6월 8일에 확인함.
- ↑ Self-Deprecation - Personality & Spirituality
- ↑ Self-deprecation | Define Self-deprecation at Dictionary.com
- ↑ Hill, Matthew. “The Funny Thing About Work”. Society for Intercultural Training and Research. 2012년 1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5월 4일에 확인함.
- ↑ Laye-Gindhu, Aviva; Schonert-Reichl, Kimberly A. (October 2005). “Nonsuicidal Self-Harm Among Community Adolescents: Understanding the 'Whats' and 'Whys' of Self-Harm”.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4 (5): 447–457. doi:10.1007/s10964-005-7262-z. S2CID 145689088.
- ↑ Klonsky, D. (2007), “The functions of deliberate self-injury: A review of the evidence”, 《Clinical Psychological Review》 27 (2): 226–239, doi:10.1016/j.cpr.2006.08.002, PMID 17014942
- ↑ Muehlenkamp, Jennifer J. (2005). “Self-Injurious Behavior as a Separate Clinical Syndrome.”.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5 (2): 324–333. doi:10.1037/0002-9432.75.2.324. PMID 15839768.
- ↑ “Understanding Suicide and Self-harm”. 《Psychology Today》 (미국 영어). 2019년 2월 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