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가 니까야
(장부에서 넘어옴)
율장 | ||||||||||||||||||||||||||||||||||||||||||||||
|
||||||||||||||||||||||||||||||||||||||||||||||
경장 5부 | ||||||||||||||||||||||||||||||||||||||||||||||
|
||||||||||||||||||||||||||||||||||||||||||||||
|
||||||||||||||||||||||||||||||||||||||||||||||
논장 7론 | ||||||||||||||||||||||||||||||||||||||||||||||
|
||||||||||||||||||||||||||||||||||||||||||||||
|
디가 니까야(Dīgha Nikāya, D, DN) 또는 장부(長部)는 팔리 경장(Sutta Piṭaka) 5부 중 첫 번째 경전 묶음으로, 길이가 긴 경을 모은 것이다.
모두 34개 경이며, 3품(品)으로 나뉘어 있다. 3품은 다음과 같다.
- 실라칸다박가(Sīlakkhanda-vagga, 계온품(戒蘊品)) 13경
- 마하박가(Mahā-vagga, 대품(大品)) 10경
- 빠띠까박가(Pāṭika-vagga, 당학품(當學品)) 11경
한역본은 《장아함경(長阿含經)》(K.0647, T.0001)인데, 구성과 각 경의 성립 시기에 차이가 있다.
성립 시기
편집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구성
편집실라칸다박가
편집- 브라흐마잘라 숫따(Brahmajāla Sutta, 범망경, D1)
- Sāmaññaphala Sutta, 사문과경(D2)
- 암밧타 숫타(Ambaṭṭha Sutta, D3)
- 소나단다 숫타(쏘나단다 숫타, Soṇadaṇḍanta Sutta, D4)
- 꾸따단따 숫타(Kūṭadanta Sutta, D5)
- 마할리 숫타(Mahāli Sutta, D6)
- 잘리야 숫타(Jāliya Sutta, D7)
- Kassapa Sīhanāda Sutta(D8)
- 뽓타빠다 숫타(Poṭṭhapāda Sutta, D9)
- 수바 숫타(Subha Sutta, D10)
- 께왓다 숫타(께밧따 숫타, Kevaṭṭa Sutta, D11)
- 로힛짜 숫타(Lohicca Sutta, D12)
- Tevijja Sutta, 삼명경(D13)
마하박가
편집- Mahāpadāna Sutta(D14)
- Mahanidāna Sutta(D15)
- Mahāparinibbāna Sutta(D16)
- 마하수닷사나 숫타(마하쑤닷싸나 숫타, Mahasudassana Sutta, D17)
- 자나와사바 숫타(자나바싸바 숫타, Janavasabha Sutta, D18)
- 마하고윈다 숫타(마하고빈다 숫타, Maha-Govinda Sutta, D19)
- Mahasamaya Sutta(D20)
- Sakkapañha Sutta(D21)
- Mahasatipaṭṭhāna Sutta(D22)
- 빠야시 숫타(Pāyāsi Sutta, D23)
빠띠까박가
편집- 바띠까 숫타(Pāṭika Sutta, D24)
- Udumbarika Sihanada Sutta(D25)
- Cakkavatti Sihanada Sutta(D26)
- Aggañña Sutta(D27)
- Sampasādaniya Sutta(D28)
- Pāsādika Sutta(D29)
- Lakkhaṇa Sutta(D30)
- Sigālovāda Sutta(D31)
- 아따나띠야 숫타(Āṭānāṭiya Sutta, D32)
- Saṅgāti Sutta(D33)
- Dasuttara Sutta(D34)
각 품의 한역 이름과 한국어판 이름
편집기호 | 이름 | 한역 이름 | 한국어판 이름 |
---|---|---|---|
Sīlakkhanda-vagga | 계온품(戒蘊品) | 계율 근간 품(최봉수) 계행다발의 품(전재성) | |
Mahā-vagga | 대품(大品) | 큰 품(최봉수) 큰 법문의 품(전재성) | |
Pāṭika-vagga | 당학품(當學品) | 파티카 품(최봉수) 빠띠까 품(각묵) 빠띠까의 품(전재성) |
(최봉수=원시불교 원전의 이해(1993), 각묵=디가 니까야(2006), 전재성=디가니까야 전집(2011))
각 경의 한역본과 한국어판 제목
편집기호 | 이름 | 한역본 | 한국어판 제목 |
---|---|---|---|
D1 | Brahmajāla Sutta | 《범동경(梵動經)》(장아함 21) 《범망육십이견경(梵網六十二見經)》(K.0659, T.0021) |
범신 그물 경(최봉수) 범망경(梵網經): 범천의 그물, 견해의 그물(각묵) 하느님의 그물의 경(전재성) |
D2 | Sāmaññaphala Sutta | 《사문과경(沙門果經)》(장아함 27) 《증일아함경》 《적지과경(寂志果經)》(K.0658, T.0022) |
수행자 결과 경(최봉수) 출가의 공덕(沙門果經)(돈연) 사문과경(沙門果經): 출가생활의 결실(각묵) 수행자의 삶의 결실에 대한 경(전재성) |
D3 | Ambaṭṭha Sutta | 《아마주경(阿摩晝經)》(장아함 20) 《불개해범지아발경(佛開解梵志阿颰經)》(K.0657, T.0020) |
암밧타 경(최봉수) 암밧타 경: 천한 사람, 고귀한 사람(각묵) 암밧타의 경(전재성) |
D4 | Soṇadaṇḍanta Sutta | 《종덕경(種德經)》(장아함 21) | 소나단나 경(최봉수) 소나단다 경: 진정한 바라문(각묵) 쏘나단다의 경(전재성) |
D5 | Kūṭadanta Sutta | 《구라단두경(究羅檀頭經)》(장아함 23 ) | 쿠타단타 경(최봉수) 진정한 제사(쿠타단타經)(돈연) 꾸따단따 경: 참된 제사(각묵) 꾸따간다의 경(전재성) 꾸따단따경(이중표) |
D6 | Mahāli Sutta | 없음 | 마할리 경(최봉수) 마할리 경: 출가의 목적(각묵) 마할리의 경(전재성) |
D7 | Jāliya Sutta | 없음 | 잘리야 경(최봉수) 잘리야 경: 생명과 몸은 같은가, 다른가(각묵) 잘리야의 경(전재성) |
D8 | Kassapa Sīhanāda Sutta | 《나형범지경(倮形梵志經)》(장아함 25) | 큰 사자 울음 경(최봉수) 깟사빠 사자후경: 고행과 사문의 본업(각묵) 위대한 사자후의 경(전재성) |
D9 | Poṭṭhapāda Sutta | 《포타바루경(布吒婆樓經)》(장아함 28) | 폿타파다 경(최봉수) 뽓타빠다 경: 인식의 문제, 자아의 문제(각묵) 뽓타빠다의 경(전재성) 뽓타빠다경(이중표) |
D10 | Subha Sutta | 없음 | 수바 경(최봉수) 선(善)의 추구(스바經)(돈연) 수바 경: 부처님의 일대시교—계·정·혜(각묵) 쑤바의 경(전재성) |
D11 | Kevaṭṭa Sutta | 《견고경(堅固經)》(장아함 24) | 케밧다 경(최봉수) 께왓다 경: 진정한 신통(각묵) 께밧따의 경(전재성) 께왓다경(이중표) |
D12 | Lohicca Sutta | 《노차경(露遮經)》(장아함 29) | 로힛차 경(최봉수) 로힛짜 경: 참된 스승, 나쁜 스승(각묵) 로힛짜의 경(전재성) |
D13 | Tevijja Sutta | 《삼명경(三明經)》(장아함 26) | 세 베다 경(최봉수) 삼명경(三明經): 범천의 세상에서 태어나는 길(각묵) 세 가지 베다의 경(전재성) |
D14 | Mahāpadāna Sutta | 《대본경(大本經)》(장아함 1) 《증일아함경》 《칠불경(七佛經)》(K.1182, T.0002) 《비바시불경(毘婆屍佛經)》(K.1177, T.0003) 《칠불부모성자경(七佛父母姓字經)》(K.0747, T.0004) |
큰 이야기 경(최봉수) 대전기경(大傳記經): 위대한 이야기—부처님들의 일대기(각묵) 비유의 큰 경(전재성) |
D15 | Mahanidāna Sutta | 《대연방편경(大緣方便經)》(장아함 13) 《대인경(大因經)》(중아함 97) 《인본욕생경(人本欲生經)》(K.0655, T.0014) 《대생의경(大生義經)》(K.1410, T.0052) |
큰 원인 경(최봉수) 대인연경(大因緣經): 연기에 대한 큰 가르침(각묵) 인연의 큰 경(전재성) |
D16 | Mahāparinibbāna Sutta | 《유행경(遊行經)》(장아함 2) 《성유경(城喩經)》(중아함 3) 《시자경(侍者經)》(중아함 33) 《우세경(雨勢經)》(중아함 142) 《잡아함경》 《별석잡아함경》 《증일아함경》 《대반열반경》(K.0652, T.0007) 《불반니원경》(K.0653, T.0005) 《반니원경》(K.654, T.0006)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雜事)》(K.0893, T.1451) 《대정구왕경(大正句王經)》(K.1234, T.0045) |
큰 반열반 경(최봉수)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부처님의 마지막 발자취들(각묵) 완전한 열반의 큰 경(전재성) |
D17 | Mahasudassana Sutta | 《유행경(遊行經)》(장아함 2) 《대견선왕경(大善見王經)》(중아함 68) 《반니원경》(K.654, T.0006) 《대반열반경》(K.0652, T.0007) |
마하 수다싸나 경(최봉수) 마하수닷사나 경: 대견선왕 이야기(각묵) 마하쑤닷싸나의 경(전재성) |
D18 | Janavasabha Sutta | 《사니사경(闍尼沙經)》(장아함 4) 《인선경(人仙經)》(K.1247, T.0009) |
자나바사바 경(최봉수) 자나와사바 경: 자나와사바가 드려준 범천의 부처님 칭송(각묵) 자나바싸바의 경(전재성) |
D19 | Maha-Govinda Sutta | 《전존경(典尊經)》(장아함 3) 《대견고바라문연기경(大堅固婆羅門綠起經)》(K.1453, T.0008) |
마하 고빈다 경(최봉수) 마하고윈다 경: 마하고윈다의 일대기(각묵) 마하고빈다의 경(전재성) |
D20 | Mahasamaya Sutta | 《대회경(大會經)》(장아함 19) 《잡아함경》 《별석잡아함경》 《대삼마야경(大三摩惹經)》(K.1179, T.0014) |
큰 모임 경(최봉수) 대회경(大會經): 신들의 큰 모임(각묵) 광대한 모임의 경(전재성) |
D21 | Sakkapañha Sutta | 《석제환인문경》(장아함 14) 《석문경(釋問經)》(중아함) 《제석소문경(帝釋所問經)》(K.1252, T.0015) 제석문사연(帝釋問事緣)(잡보장경(雜寶藏經) 73) |
삭카 질문 경(최봉수) 제석문경(帝釋問經): 삭까(인드라)의 질문(각묵) 제석천의 질문의 경(전재성) |
D22 | Mahasatipaṭṭhāna Sutta | 《염처경(念處經)》(중아함 98) | 큰 기억 확립 경(최봉수) 대념처경(大念處經): 마음 챙김의 확림(각묵) 새김의 토대의 큰 경(전재성) |
D23 | Pāyāsi Sutta | 《폐숙경(弊宿經)》(장아함 7) 《비사경(蜱肆經)》(중아함 71) 《대정구왕경(大正句王經)》(K.1234, T.0045) |
파야시 경(최봉수) 빠야시 경: 업과 윤회(각묵) 빠야씨의 경(전재성) |
D24 | Pāṭika Sutta | 《아누이경(阿㝹夷經)》(장아함 15) | 파티카 경(최봉수) 빠띠까 경: 신통 사기꾼(각묵) 빠띠까의 경(전재성) |
D25 | Udumbarika Sihanada Sutta | 《산타나경(散陀那經)》(장아함 8) 《우담바라경(優曇婆邏經)》(중아함 104) 《니구타범지경(尼拘陀梵志經)》(K.1463, T.0011) |
우둠바리카 경(최봉수) 우둠바리까 사자후경: 출가의 목표(각묵) 우둠바리까 사자후의 경 |
D26 | Cakkavatti Sihanada Sutta | 《전륜성왕수행경(轉輪聖王修行經)》(장아함 6) 《전륜왕경(轉輪王經)》(중아함 70) |
바퀴 굴림 경(최봉수) 전륜성왕 사자후경: 우주적 질서와 법(각묵) 전륜왕 사자후의 경(전재성) 전륜성왕사자후경(轉輪聖王獅子吼經)(이중표) |
D27 | Aggañña Sutta | 《소연경(小緣經)》(장아함 5) 《바라바당경(婆羅婆堂經)》(중아함 154) 《백의금당이바라문연기경(白衣金幢二婆羅門綠起經)》(K.1464, T.0010) |
태초 경(최봉수) 세기경(世紀經): 세상의 기원(각묵) 세계의 기원에 대한 경(전재성) 태초경(太初經)(이중표) |
D28 | Sampasādaniya Sutta | 《자환희경(自歡喜經)》(장아함 18) 《잡아함경》 《신불공덕경(信佛功德經)》(K.1248, T.0018) |
청정 경(최봉수) 확신경(確信經): 부처님께 바치는 확고한 믿음(각묵) 견고한 믿음의 경(전재성) |
D29 | Pāsādika Sutta | 《청정경(清淨經)》(장아함 17) | 믿음 경(최봉수) 정신경(淨信經): 청정한 믿음과 마음챙김(각묵) 청정한 믿음의 경(전재성) |
D30 | Lakkhaṇa Sutta | 《삼십이상경(三十二相經)》(중아함 59) | 특징 경(최봉수) 삼십이상경(三十二相經): 서른두 가지 대인의 상호(각묵) 위대한 사람의 특징의 경(전재성) |
D31 | Sigālovāda Sutta, | 《선생경(善生經)》(장아함 16) 《선생경(善生經)》(중아함 33) 《불설시가라월육방예경》(K.0056, T.0016) 《불설선생자경》(K.0718, T.0017) |
시갈라 이야기 경(최봉수) 싱갈라를 가르치다(敎誡싱갈라經)(돈연) 교계 싱갈라 경: 재가자의 삶(각묵) 씽갈라까에 대한 훈계의 경(전재성) 씽갈라를 가르치신 경(이중표) |
D32 | Āṭānāṭiya Sutta | 《비사문천왕경(毘沙門天王經)》(K.1307, T.1244) | 아타나티야 경(최봉수) 아따나띠야 경: 아따나띠야 보호주(각묵) 아따나띠야의 경(전재성) |
D33 | Saṅgāti Sutta | 《중집경》(장아함 9) 《대집법문경》(K.1429, T.0012) |
합송 경(최봉수) 합송경(合誦經): 함께 노래한 부처님의 말씀(각묵) 합송의 경(전재성) |
D34 | Dasuttara Sutta | 《십상경》(장아함 10) 《장아함십보법경》(K.0663, T.0013) |
십상 경(최봉수) 십상경(十上經): 열 개씩 열까지(각묵) 십진의 경(전재성) |
(최봉수=원시불교 원전의 이해, 1993. 돈연=아함경, 1994. 각묵=디가 니까야, 2006. 전재성=디가니까야 전집, 2011. 이중표=정선 디가 니까야, 2014.)
주석서
편집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한국어 번역
편집완역
편집- 전재성 역주, 《(우리말 빠알리대장경)디가니까야 전집》(서울: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11.
- 각묵 옮김, 《디가 니까야: 길게 설하신 경》(울산: 초기불전연구원), 1~3권, 2006.
발췌역
편집- 이중표 역해, 《정선 디가 니까야》(광주: 전남대학교출판부), 2014.
- 전재성 역주, 《(디가니까야 앤솔로지)신들과 인간의 스승: 한권으로 읽는 디가니까야》(서울: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11.
- 돈연 옮김, 불전간행회 편, 《아함경: 인생의 지침》(불교경전 13~14, 서울: 민족사), 제1~2권, 1994. — 제목과 달리 5부를 기준으로 옮긴 책.
- 최봉수 지음, 〈장니카야—남방의 장아함〉, 《원시불교 원전의 이해》(불광불학총서 11, 서울: 불광출판부), 1993, 5장, 195~250쪽.
- 增谷文雄 지음, 이원섭 옮김, 《阿含經이야기》(玄岩新書 43, 서울: 현암사), 1977. — 제목과 달리 일본어역 남전대장경, 즉 5부를 바탕으로 쓴 책이다.
관련 서적
편집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