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설사(典設司)는 조선 시기 궁중의 각종 의례나 행사에 사용되는 천막, 장막을 관리하던 관청이다.

역사

편집

고려 시기에 같은 업무를 관장하던 상사국(尙舍局)이 있었다가 조선조에 들어 정4품 품계의 사막으로 계승되었다. 1403년(태종 3년)에 충순호위사(忠順扈衛司)로 변경하고, 1414년 다시 충호위(忠扈衛)로 변경했다가 1466년(세조 12년) 전설사가 되었다.[1] 시대에 따라 차츰 품계가 낮아져 영조 대에 이르러 종6품 별제(別提)가 관할하게 되었다가 다시 종8품 별검(別檢)이 관할하게 되었다.[2]

고종갑오개혁으로 군국기무처가 설치되고 종래의 육조가 혁파되면서 전설사는 종백부 소속으로 재편되었다.[3]

역할

편집

전설사의 중요 업무는 여러 행사장을 설치하고 관리하는 것이었다. 세조 13년 10월 27일 의경세자정난 공신과 회맹 의식을 갖을 때 단의 배치와 차림을 맡는 등[4] 왕실의 중요 행사를 관장하였고, 사직단에서 지내는 제사의 단을 설치하고 관리하는 것도 전설사의 역할이었다.[5] 과거 시험을 치르는 시험장의 설치와 관리 역시 전설사가 맡았다.[6]

구성

편집

전설사는 병조 소속으로[7] 조선 중기까지 정4품의 수(守)가 관장하여 비교적 중요한 직책으로 여겨졌다. 성종 시기 김제 군수 한치량이 임기 1년만에 전설사 수로 임명되자 사헌부 대사헌이 과한 특혜라며 이를 탄핵하기도 하였다.[8]

영조 4년 이후 종8품 별검이 관장하였으며 소속 관원으로 서원(書員) 1인, 제원(諸員) 14인, 사령(使令) 4인, 군사(軍士) 2인이 배속되었다.[2]

각주

편집
  1. 신숙주·정인지·정현조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고 관제를 다시 정하다 Archived 2019년 2월 21일 - 웨이백 머신, 세조실록 38권, 세조 12년 1월 15일 무오 1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2. 전설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군국기무처에서 의안과 각 부, 각 아문 소속 관청 명세를 올리다, 고종실록 32권, 고종 31년 7월 18일 임진 5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4. 세자가 6공신을 거느리고 북단에서 회맹하다, 세조실록 44권, 세조 13년 10월 27일 기미 1번째기사 , 조선왕조실록
  5. 강문식, 이현진, 종묘와 사직 : 조선을 떠받친 두 기둥, 책과함께
  6. 과거 때 돈화문 개폐 여부에 대한 위장·금란관의 공술 내용. 이에 대한 이진수·김진규 등의 상소문, 숙종실록 52권, 숙종 38년 8월 1일 임자 9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7. 병조 터, 문화콘텐츠닷컴
  8. 대사헌 김유가 정석년·한치형·이회 등의 부당한 인사 철회와 이조 탄핵을 청하다, 성종실록 94권, 성종 9년 7월 6일 을축 3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